2023 제6회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 - 최후의 심판 + 두 개의 세계 + 삼사라 + 제니의 역 + 발세자르는 이 배에 올랐다
한이솔 외 지음 / 허블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섯 편의 소설이 수록되었다. 당선작 1편과 우수작 4편. 작가들은 낯설다. 낯선 만큼 신선한 느낌을 준다. 과학문학상이라는 이름처럼 소위 SF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쓴 소설. 하긴 소설에서 과학적 상상력은 늘 있어왔던 일이니 새삼스러운 일도 아니다. 다만 요즘 이런 소설들이 장르소설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나오고 있는 것이 예전과 다른 점이라면 다른 점이다.


다섯 편의 소설은 내용이 다르지만, 공간을 기준으로 나누어보면 두 부류로 나뉠 수 있다. 하나는 지구를 공간으로 하는 소설, 다른 하나는 지구가 아닌 우주(공간)를 공간으로 하는 소설.


먼저 지구를 공간으로 하는 소설은 한이솔이 쓴 '최후의 심판'과 박민혁이 쓴 '두 개의 세계', 최이아가 쓴 '제니의 역'이다. 지구가 공간적 배경이지만 사건의 전개는 무척 다르다.


'최후의 심판'이 인공지능을 다루고 있다면, '두 개의 세계'는 알 수 없는 이유로 인간들이 나무로 변해가는 디스토피아(등장인물들의 발언에 따라 디스토피아로 또는 다른 세계로 받아들일 여지를 남겨두고는 있지만, 인간의 관점에서 보면 인간이 나무로 변하는 일은 재앙으로 주로 여겨지니, 디스토피아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의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면, '제니의 역'은 다문화 시대에 소통을 위해 도입한 로봇(인공지능)의 역할을 받아들이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인공지능이 판사가 되어 판결을 한다? 이것은 지금도 상상하고 있는 일이다. 앞으로 인공지능이 수많은 분야에서 인간을 대체할 것이라고 하고, 그에 대비해야 한다고 하는데, 소설은 그 점에 착안하고 있다.


하지만 제목이 최후의 심판이다. 누구를 심판한다는 것일까? 소설에서는 인공지능 솔로 3.0을 재판정에 세운다. 인공지능 판사로 탁월한 판결을 하던 솔로 3.0이 잘못된 판결을 내렸다는 이유로 재판정에 선다.


재판정에서는 검사와 솔로 3.0의 논쟁이 전개된다. 결국 인공지능은 파괴되고 마는데, 최후의 심판이 인공지능이 인간의 자리에 설 수 없다는 말일까? 아니면 인간이 인공지능을 창조해 신의 위치에까지 오르려 하지만 결코 그렇게 될 수 없다는 사실을 말함일까?


결국 최후의 심판은 인간이 인공지능을 심판하지만, 심판 당하는 것은 바로 인간이라는 의미로, 인간은 결코 신이 될 수 없음을 이야기하지 않나 싶은 생각을 하게 하는 소설이었다.


지구에서 일어나는 일을 배경으로 삼는 장르소설은 결국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에 문제가 많다는 점을 생각하게 한다. 그러니 '최후의 심판'과 같은 소설은 인공지능에 대한 인간의 관점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데,'두 개의 세계'와 같은 소설은 지금도 진행 중인 재앙에 대해서, 그것도 인간이 모두 알 수 없는 질병들이 계속 창궐하고 있는 이 세계에 대해서, 우리가 어떤 방식으로 살아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다만, 이 소설은 어떤 사람이 살아남는지를 보여주고 있지 않아서, 다가올 디스토피아를 극복할 인간은 어떤 자세로 살아가는 인간인지가 나타나 있지 않다. 하긴 그것을 어떻게 알겠는가? 우리가 신이 아닌데...


'제니의 역'은 지금 우리 사회를 생각하게 한다. 다문화 가족이 많은 지역에서 어떻게 함께 살아야 하는지 생각하게 하는 소설.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로봇 제니를 도입했다. 각 가정에 도입된 제니는 여러 언어를 통역해서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게 한다. 그럼 된 것 아닌가? 아니다. 권력은 활발한 의사소통을 원하지 않는다.


권력은 일방적인 전달을 원할 뿐이다. 자신의 말을 관철하려고 하지 다른 말을 들으려 하지 않는다. 그런데 자신의 말에 거역할 수 있게, 의사소통이 잘되는 사회가 되면? 그때는 권력구조가 바뀐다.


따라서 권력자들은 언어를 통제한다. 활발한 의사소통을 막는다. 그 점을 다문화 사회에 도입된 의사소통 로봇(일도 잘하는 로봇이니, 만능로봇이라고 해야겠다)인 제니를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제목이 명확하게 해석이 안 되는데, '제니의 역'에서 '역'이라는 말이 역할의 줄임말인지, 또는 수학에서 반대를 뜻하는 '역'인지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이 '역'은 두 개의 의미를 모두 갖고 있다고 보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의사소통이 잘 안되는(이것도 문제다. 다문화 사회에서 의사소통이 잘 되게 하기 위해 한국어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하지만, 반대로 이주민들의 언어를 배워야 한다는 소리는 잘 나오지 않는다. 물론 이주해 온 나라의 언어를 배워야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원주민들도 이주민들의 언어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조금이라도 배워서 소통하려는 자세를 지녀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는데) 사람들에게는 제니의 역할이라고 '역'을 이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니는 원주민과 이주민의 대화가 문제 없이 이뤄지도록 해주고 있기 때문에, 다문화 사회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는 역할을 제니가 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니의 역은 제니의 '역할'이다.


반면에 기존에 권력을 쥐고 있던 사람들에게는 '제니의 역'에서 '역'은 반대다. 부작용이다. 그들의 권력에 도전하기 때문이다.


소설에 나온 이 부분을 보면 이런 사실이 명확해진다.


'... 그는 집사람이 제니를 잘 활용하고 있기는 하나 그것 때문에 자신이 피곤한 일이 많아졌다며 한숨을 쉬었다. 평소 같으면 집사람이 모르고 지나쳤을 내용을 이제는 하나도 빠짐없이 다 챙긴다는 것이다.' (208-209쪽)


의사소통이 원활해 지면서 권력에는 틈이 생긴다. 그동안 알 수 없던 사실들을 알게 되기 때문이다. 알면 과거와는 다르게 행동할 수밖에 없다. 그러니 이들에게 제니는 '부작용'이다. 이들에게 '제니의 역'은 '제니의 부작용'이다. 그리고 이런 권력 지형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소설의 결말 부분이 그래서 더욱 아프게 다가온다. 제니를 파괴하는 원주민 남성. 나중에 제니의 부작용만을 보도하는 언론. 그렇게 사회는 다시 한쪽의 언어만을 강조하게 된다. 그런 사회가 과연 행복한 사회일까? 누군가의 희생 위에 유지되는 사회가.


장르소설의 장점이 잘 나타난 소설이다. '제니의 역'은. 읽으면서 여러모로 토론이 가능한 그런 소설.


우주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도 읽을 만하다. 조서월의 '삼사라'와 허달립의 '발세자르는 이 배에 올랐다'가 이 소설집에 수록된 소설이다.


우주가 배경으로 하고 있는 이유가 지구가 살기 힘들어져서 다른 행성으로 이주해야 하는 상황을 전제로 하고 있다. 지금도 우리는 지구가 인간이 살기 힘든 행성으로 변해간다고 말하고 있지 않은가. 이런 상황에서 우주로 나아가는 소설들이 창작되는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다만 지구를 떠나 다른 행성에 정착하려는 인간들이 어떤 자세를 지녀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특히 '삼사라'는... 산스크리트어로 윤회를 뜻한다고 한다. 인과응보라고 해도 좋겠다. 즉 지구와 똑같은 행태를 보이는 인간들은 다른 행성에 정착할 수 없다. 그들은 다른 행태를 보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않으면 결국 다른 행성에 도달해도 마찬가지일 수밖에 없음을 이 소설 '삼사라'는 보여주고 있다.


마찬가지다. 지구를 파괴한 인간이 어떻게 다른 우주 행성에서 제대로 살아남을 수 있겠는가. '발세자르는 이 배에 올랐다' 역시 마찬가지다. 선장을 제외한 모든 승무원들이 다른 행성의 원료가 되어야 한다는 발상. 이는 지구에서 사는 인간들이 자신들의 행동을 바꿔야 한다는 말에 다름 아니다.


이렇듯 우주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도 결국은 지구로, 인간의 생활로 돌아온다.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질문하게 한다. 


결국 SF라고 하는 장르소설은 인간에 대한 물음이다. 다른 소설들과 같이. 흥미로우면서도 많은 생각을 하게 한 소설집이다. 


특히 이 중에서 '제니의 역'은 함께 읽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