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 지금 우리를 위한 새로운 경제학 사용 설명서
장하준 지음, 김희정 옮김 / 부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는 삶이다. 자신의 삶을 소위 전문가라고 하는 경제학자에게만 맡겨서야 되겠는가? 그래서는 자신의 삶에서 주체가 될 수 없다. 남이 하라는 대로 하는 객체가 될 수밖에 없다. 우리는 어릴 적부터 주체적인 삶을 살라고 배워오지 않았던가. 그 배움을 실현하기 위해서라도 경제학자에게 경제를 맡겨만 놓아서는 안 된다.


언론에서 경제 관련 소식을 전할 때 무슨 무슨 교수(소위 경제학을 전공했다는 사람)를 초빙해 그 사람의 말로 현 경제의 상황을 정리하는 경우가 많다. 그것도 언론사에서 선호하는 교수를 초빙해서 그 사람의 의견만 듣는다. 다른 의견은 잘 전해주지 않는다. 따라서 어떤 언론을 접하느냐에 따라 경제에 관해서도 다른 관점을 지닐 수밖에 없다.


각자 다른 관점을 지니는 것이 나쁘다는 말이 아니다. 자신의 관점만이 옳다고 여기고 다른 사람의 관점은 무조건 잘못되었다고 매도하는 태도가 옳지 않다는 말이다. 다른 의견도 있음을 생각해야 하고, 무엇보다도 서로 다른 의견들을 듣고 스스로 판단하는 자세를 지녀야 한다. 


(이 책의 끝부분에서 저자는 바로 다른 의견을 들을 수 있는 귀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변화는 힘들기 때문에 이론은 지적으로는 비관주의, 의지로는 낙관주의를 지녀야 한다고 말한다. 여기에 자신들이 옳다고 주장하는 경제학자들에게 도전할 수 있는 시민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래야만 세상이 변할 수 있다고)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를 읽으면서 든 생각은 이것이다. 경제를 경제학자에게만 맡겨서는 안 된다는 것. 왜냐하면 경제는 바로 우리들의 삶이기 때문이다. 내 생활을 남에게 전적으로 의존해서 시키는 대로 하면 그것이 제대로 된 삶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전문 지식은 꼭 필요하다. 그러나 전문가는 말 그대로 아주 좁은 영역을 잘 아는 사람이기 때문에, 우리 삶에서 하나 이상의 넓은 영역이 결부된 문제(즉 대부분의 문제)에서 다양한 인간적 필요와 물질적 제한, 도덕적 가치를 모두 고려해 제대로 된 판단을 내려 달라고 기대하는 것은 무리이다. 전문 지식을 가지게 되면 시각이 더 편협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전문 지식에 약간 회의론적인 태도를 견지하는 것은 경제학뿐 아니라 삶의 모든 분야에 적용해야 한다. 그러나 과학이라는 포장을 씌운 정치적 주장인 경제학에서는 이 태도가 특히 중요하다.'(441쪽)


이 책을 읽으면 이와 비슷한 말이 계속 나온다. 장하준이 경계하는 것은 바로 남에게 자신의 판단을 의존하는 태도이다. 경제학이라는 학문이 점점 어려운 용어로 포장이 되고, 이해하기 힘든 숫자들로 채워진 통계를 앞세우면 사람들은 자신이 이해할 수 없다고 지레 포기하고 만다.


이런 포기의 순간, 내 삶은 경제학자들의 손에 넘어간다. 아니 경제학자들의 손이라고 하기보다는 경제학자들을 이용하는 정치권력의 손에 넘어간다고 할 수 있다.


많은 정치가들이 경제학자들을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자신의 진영으로 끌어들인다. 무슨무슨 경제학 박사들이 늘 정치권에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리고 이들은 현란한 용어와 통계를 가지고 사람들을 현혹한다. 


나는 모르니, 전문가가 어련히 알아서 했겠어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그래서 내 삶에 대한 주도권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게 된다.


장하준은 이래서는 안 된다고 한다. 경제학이 어렵다고 하지만, 전문가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기본적인 경제학 지식은 지니고 있어야 한다고 한다. 맞는 말이다. 아무리 검색을 하면 다 찾을 수 있는 시대라고 해도, 검색도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러니 경제학에 대한 최소한의 지식을 습득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그런 사람들을 위해서 썼다고 한다.


경제학이 무엇인지, 경제는 어떤 역사를 거쳐왔는지, 경제학에는 어떤 학파들이 있는지를 이야기한 다음에 경제학의 요소라고 할 수 있는 것들을 설명해준다.


경제학 사용하기라는 2부에서 생산의 세계, 금융, 불평등과 빈곤, 일과 실업, 정부의 역할, 국제적 차원(무역과 이민) 등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명쾌하다. 그리고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여러 경제학 이론을 소개하고 있다.


무엇이 문제인지도 알려주고 있으니, 전문가가 아닌 나같은 일반인들이 읽으면 꽤 도움이 된다. 경제학에 대한 거리를 조금은 좁힐 수 있다. 경제학이 무엇보다도 정치와 관련이 있다는 저자의 주장에 공감하게 된다.


그냥 경제학이라고 하기보다는 '정치'경제학이라고 해야 한다는 말을 왜 하는지 이해하게 된다. 경제가 경제로만 떨어져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경제는 정치와 밀접하게 관련이 되고, 경제 정책이라는 말 자체가 이미 정치를 포함하고 있으니, '정치경제'학이 맞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하여 저자는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를 겪고 나서도 여전히 힘을 발휘하는 경제학 전문가들에게 경제를 맡겨두어서는 안 된다고 한다.


그는'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는 더 이상 경제를 전문 경제학자와 '기술 관료'에게 맡겨 둘 수 없다는 사실을 처참하게 깨닫게 해 주었다. 이제 우리 모두는 능동적인 경제 시민이 되어 경제의 운영에 참여해야 한다.' (444쪽) 고 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경제학이 그냥 경제학으로 끝나서는 안 되고 '정치경제학'이 되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앞부분에 계속 전문가에게만 맡겨두었을 때 정치와 관련이 없다고 여기고 실천을 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언급이 있다. 이것이 현재진행형이라는 점이 씁쓸한 뿐인데... 그의 말을 명심하자. 아래 인용한 것이 재반복 되어서는 안 되지 않겠는가.


'일단 가난한 사람들에게 가난은 자신의 잘못이고, 돈을 많이 번 사람은 그럴 만한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이며, 열심히 노력하면 자신도 부자가 될 수 있다고 설득하는 데 성공하면 부자들이 살기가 훨씬 쉬워진다. 그렇게 설득당한 가난한 사람들은 많은 경우 자기의 이익과 상반되는데도 부의 재분배를 촉진하는 세금과 복지 지출을 낮추고 기업 규제와 노동자 권리를 줄일 것을 요구하기 시작한다.

  단지 소비자로서의 선호뿐 아니라 납세자, 노동자, 투표자로서 개인의 선호도 고의로 조작될 수 있고 자주 그렇게 된다. 개인은 개인주의 경제이론에서 묘사하듯 '독립의지를 가진 ' 존재가 아닌 것이다.' (197쪽)



덧글


아주 소소한 오타... 97쪽에 '러스크 벨트(rust belt)'라고 나오는데 이건 누가 봐도 러스트 벨트니 다음 판본에서는 바로 잡아야 할 것이다. 참고로 내가 읽은 책은 2023년 3월 개정판 1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