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 남은 사랑을 드릴게요 자이언트 픽
이유리 외 지음 / 자이언트북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순식간에 읽는다.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없다. 그냥 소설을 따라가면 된다. 한편 한편이 모두 그렇다. 하지만 읽고 나면 무언가를 계속 생각하게 한다. 그런 힘이 있는 소설들이다.


SF소설이라는 생각을 하지도 못했다. '내게 남은 사랑을 드릴게요'라는 노래 가사가 제목이 된 소설도 있으니, 사랑이야기인가 보다 했다.


사랑이야기. 그렇다. 소설은 모두 사랑이야기다. 어떤 사랑을 다루느냐에 따라 시간과 공간, 그리고 인물과 사건이 다 달라질 뿐이다.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인간과 다른 인공물 등등, 소설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겪는 일들을 다룬다. 소설의 인물이 꼭 인간이 아니어도 되는 이유가 있다. 우리가 고전소설인 [토끼전]을 읽으면서 '우화소설'이라는 말을 쓰지만, 아마도 'SF소설'이라는 말이 이미 있었다면 우화소설이라는 말과 함께 SF소설이라는 말도 함께 썼을 테다.


그만큼 요즘 소설은 다양한 인물들이 나와 삶의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작가들의 상상력이 인간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말이기도 하다.


읽어가면서 아, 이 소설집은 SF소설집이라고 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인물과 배경, 사건들에서 다양한 면모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SF소설을 이렇게 이야기한다. 이 소설집의 끝부분에서. 참고할 만하다. 그리고 이런 정의를 SF소설에만 국한시킬 필요도 없다고 본다. 모든 소설이 이렇지 아니한가.


'시간을 뛰어넘는 타임 슬립이나 루프를 다루는 소설, 인간과 비슷한 로봇이 등장하는 소설, 비슷한 맥락에서 인간 복제를 다루는 소설, 외계인과의 접촉을 다루는 소설, 우주를 탐험하고 새로운 세계를 발견하는 소설, 인간과는 다른 존재가 사건을 경험하는 소설(SF를 사변 소설이라고 봤을 때) 대체 역사를 전개해보는 소설 등 종류는 다양하다. 장르 작가는 이러한 세부 장르를 선택하여 장르의 규칙을 지키되 나름의 방식으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나간다. 반복-장르에 충실한 독자가 읽었을 때 대번에 어떤 세부 장르인지 알 수 있다-과 변주-러나 뻔하게 전개되기를 기대하지는 않는다-를 통해 장르의 규칙은 재확인되고 동시에 장르의 경계는 확장된다.' (281-282쪽)


그렇다면 이 소설집에는 어떤 소설들이 실렸을까? 최근에 SF소설가로 김초엽과 천선란 작품들을 읽었는데, 다른 작가들의 작품도 이번 기회에 읽을 수 있어서 좋았다. 작가와 작품은 다음과 같다.


이유리, 내게 남은 사랑을 드릴게요

김서해, 폴터가이스트

김초엽, 수브다니의 여름휴가

설재인, 미림 한 스푼

천선란, 뼈의 기록


첫번째 소설 '내게 남은 사랑을 드릴게요'는 감정 전이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최근에 몸을 고치는 성형이야 일반화되어, 자신의 외모가 마음에 안 들어 수술하는 사람이 많아졌는데, 이를 감정에까지 확대하면 어떨까?


내게 쓸모없는 감정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을 그 감정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전이해준다면 그야말로 꿩 먹고 알 먹는 효과를 거두는 일 아닐까?


그런 발상을 할 수 있다. 우리가 감정으로 인해 얼마나 고통을 받는가? 고통 받는 감정을 수술로 없앨 수 있다면 누구나 할까? 그렇다면 그렇게 빼나간 감정의 빈자리는 어떻게 되는가? 소설은 이 점을 추구한가?


성형부작용이 있듯이, 감정 전이 부작용도 분명 있을터. 부작용? 과연 그것만을 걱정해야 하는가? 감정을 남에게 전이한다. 자신의 감정을 깊게 들여다 보고, 그 감정의 문제들을 받아들이며, 해결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수술로 없애버린다. 그리고 필요한 감정을 돈으로 사면 된다.


좋은 세상일까? 이런 세상에서 과연 제대로 된 관계가 유지될까? 관계를 맺기 위해서 거쳐야 하는 수많은 과정들이 수술을 통해서 단번에 해결된다면 사람과 사람의 관계가, 사람과 다른 존재의 관계가 더 지속적이고 좋아질 수 있는가? 


어느날 상대가 싫어지면 그냥 수술로 지워버리면 되지 않나? 고통을 겪으면서, 지속적인 시간을 거치면서 함께 만들어가는 감정 또는 관계란 오히려 귀찮다고 여기게 된다. 그런 인물이 감정 전이를 한 주인공에게 나타난다. 자, 유토피아라는 생각이 드는가? 아니, 이는 디스토피아다. 감정마저도 돈으로 해결되는 사회라니... 인간들의 감정이 거세된, 그저 프로그래밍된 관계, 그런 삶일 뿐이다.


꼭 이렇게까지 나아가지 않아도, 자신이 힘들다고 그 감정을 무시하거나 외면하는 경우가 많다. 그냥 자신의 마음만 편하면 된다고. 그러면 더 나은 관계를 만들어갈 수 없다. 그 점을 생각하게 하는 소설이다. 감정만이 아니라 몸을 고치는 성형에 대해서도 생각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소설,


이 소설과 대변되게 감정을 존중하는 로봇이 나온다. 빠로 '뼈의 기록'이다. 장의사로 일하는 로봇. 그 로봇은 사람의 마지막을 보내주는 일을 한다. 최선을 다해서. 그렇지만 입력된 대로 하지는 않는다.


그와 이야기를 나누던 모미가 죽었을 때, 로봇은 모미가 무엇을 싫어하는지 생각한다. 그간 맺어온 관계가 형식적인 절차를 거쳐 화장하는 것을 거부하게 한다. 로봇은 모미를 우주선에 태워 우주로 보내준다. 멀리 멀리 우주로 나아가게.


바로 이것이다. 감정 전이 수술과 다른 점이. 상대의 뼈에 새겨진(이를 마음에 새겨진 바람이라고 해도 좋겠다) 감정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일. 그런 관계는자기가 싫다고 거부하지 않는다. 나를 중심에 놓는 관계가 아니라 상대를 중심에 놓는 관계다. 이렇게 두 소설은 관계라는 점을 생각하게 한다.


관계에 대해 생각하다 보니, 나머지 세 소설도 결국은 관계의 문제다. 관계를 잘 맺지 못하는 사람이 인정받았을 때 남을 구원할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하게 하는 '폴터가이스트', 다른 존재라서 완전히 인정을 받지 못한 존재가 자신의 로봇 정체성, 그리고 금속으로서 서서히 녹슬어가는 것을 추구하는 '수브다니의 여름휴가', 외계 생명체와 지구 생명체 사이의 폭력, 지구 생명체 사이의 폭력을 다루고 있는 '미림 한 스푼'


관계다. 상대의 감정을 조금이라도 이해한다면 그렇다면 다른 소리에 의해서 파멸에 이르지 않게 되고(폴터가이스트), 다른 정체성을 지닌 존재들을 이상하게 보지도 않게 되며(수브다니의 여름휴가), 비록 낮고 어두운 공간에 있지만 한 사람을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게(미림 한 스푼) 된다.


이런 관계는 무엇인가? 사랑이다. 그래서 이 소설집은 사랑을 이야기한다. 우리가 추구해야 할 사랑의 모습이 어떤지 보여주고 있다. 평탄한 삶만을 추구해서는 관계를 맺기 힘들다. 관계는 수많은 우여곡절을 겪으며 더 단단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좋다. 이런 소설을 읽는 일은. 가상의 공간, 시간, 인물들이 펼치는 사건들을 통해서 내 삶을 생각할 수 있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