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의 말에 '도움'이라는 말이 나온다.
우리는 누군가의 도움으로 살아간다. 홀로 살아가는 사람은 없다. 하다못해 로빈슨 크루소도 프라이데이와 함께 살아간다.
보이지 않더라도 우리는 누군가의 도움으로 살아간다. 그런데 그런 도움을 잊고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이번 호에 실린 통계에 잡히지 않는 여성 노숙인들처럼. 그들 역시 자신의 자리에서 삶을 살아가고 있지만, 어떤 이유로 인해 그들은 통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생존을 위해서 그들이 피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렇다고 그들이 우리 사회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아니다. 사람들은 누구나 존재 자체만으로도 남에게 도움이 된다.
함께 살아가는 존재라는 것이 바로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는 존재인 것이다. 그런데, 이런 도움을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 않나.
자신의 성공은 자신의 능력과 노력으로만 되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 않나? 자기가 성공하기 위해서 보이지 않는 수많은 도움이 있었음을 생각하지 못하면, 남의 '도움'에 대해서 생각하지 못하면 자신도 남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때가 많다.
영화에 대한 평에서 '오후'라는 작가가 요즘 영화에는 멋있게 표현된, 또는 설득력과 매력이 있는 악이 많이 등장한다고 하는데, 어쩌면 우리 사회가 악이 디폴트 값으로 매겨져 있지 않나 하는 의문을 제시하고 있는데, 한편 수긍이 가면서도 그래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
악인이 되는 이유를 납득할 수 있게 영화에서는 그리고 있는데, 문화는 사회를 반영한다고 하면서, 그런 우려를 표시한다.
그렇지 않았으면 하는 것, 그렇게 되지 않아야 하는 것, 그것이 바로 우리가 선을 추구하는 이유여야 하는 것.
하지만 선을 이야기하기는 쉽다. 선은 당연한 일이다. 당연한 일이지만 실천하기는 무척 힘든 일이다. 그래서 영화에서 선인은 그냥 선하다. 단순하다. 고민도 없다. 선하기 때문에 행동한다. 그 존재 자체가 남에게 도움이 된다.
이런 별것 없는 선함. 하지만 선함의 별것 없음이 바로 별것이 된다. 악이 판치는 세상에서는. 굳이 선해지는 과정을 설명할 필요도 없다. 선은 그만큼 단순하고 명쾌하다. 다만 선을 실천하기가 힘들다.
선이 악에 비해 눈에 잘 안 띠는 이유다. 하지만 빅이슈를 읽다보면 눈에 보이지 않던 선들이 도처에서 보인다. 빅판들 인터뷰 기사를 읽으면 빅판들이 버티는 이유 중에 바로 잡지를 사가는 사람들, 빅판에게 따뜻한 손길을 내미는 사람들, 그렇게 티내지 않으면서도 남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을 만나게 된다.
그런 '도움', 곳곳에 있는, 그동안 잘 보이지 않던 선들을 빅이슈를 통해서 만날 수 있다. 뉴스에 온통 '악한 일들'이 도배되어 우리의 눈과 귀, 마음을 어지럽힐 때, 빅이슈를 펼쳐보자.
그럼 '선'은 사라지지 않고 있음을 알게 된다. 여전히 우리는 도움을 주고, 도움을 받고 살고 있음을 알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