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떤 물질의 사랑 - 천선란 소설집
천선란 지음 / 아작 / 2020년 7월
평점 :
천선란이 쓴 단편 소설집이다. 8편의 소설이 실려 있다. 서로 연결이 안 되는 소설이지만, 또 어떻게 보면 연결이 되기도 한다.
우리 인생이 그렇지 않은가. 각자 존재하는 하루하루들이 모여 삶을 이루고 있으니, 또 전혀 다른 일들을 겪으면서 우리 인생을 만들어가고 있으니.
자신이 예측하지 못한 일들이 늘 일어나고, 그러한 일들이 쌓이고 쌓여 나란 인간을 만들어가고 있듯이, 소설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소설들이 모여 한 작품집을 이루고, 그런 작품들을 읽으면서 인생에 깊이와 넓이를 더한다. 전혀 현실에서는 일어날 것 같지 않은 일들이라도, 현실에서 일어날 것 같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더 인생에 무언가를 더해줄 수 있다.
우리는 불가능을 꿈꾸므로. 전혀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일들을 상상하고, 그런 상상을 통해서 현실을 견디기도 하므로.
소설집 제목이 된 '어떤 물질의 사랑'이 그렇다. 사랑에 과연 형태가 있을까? 한계가 있을까? 사랑에 국경이 없다는 말, 나이가 없다는 말은 많이 하지만, 외계인과 사랑에 빠진다? 또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과 같은 성으로 변한다? 이런 일들... 너무도 이상하지만 이상하지 않게 여기는 존재.
이 소설은 그런 점을 보여준다. 이상한 것이 이상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세상에 이상하지 않은 것이 어디 있는가? 모두가 똑같으면 그것이 어떤 즐거움을 주겠는가? 사랑은 그래서 형체가 없다. 사랑은 고정된 무엇이 아니라 만들어가는, 과정 중에 있는 무엇이다.
사랑하기 때문에 변한다. 사랑하기 때문에 함께 떠날 수 있다. 온전히 상대방을 느끼고 받아들이기에 어떤 한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 사랑에 대해서, '어떤 물질의 사랑'이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이런 사랑이 이 소설에만 나타나 있지는 않다. '마지막 드라이브'라는 소설을 보면 교통사고 실험을 하는 '더미'가 느끼는 사랑, 그런 더미를 바라보는 사람의 사랑이 나온다. 로봇인 더미가 사랑을 느낄 수 있는가? 단지, 입력된 명령어 대로 느끼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 아닌가? 이런 생각을 할 수도 있다.
이런 사랑을 어떤 특정한 형태로 규정짓는 일이다. 사랑은 무엇이다라고 정의하는 일이다. 결코 무엇이라고 정의될 수 없는 사랑을. 그러므로 더미의 사랑은 사랑이다. 우리가 사랑을 느끼는 것을 뇌의 작용 또는 호르몬 작용에 불과하다고 말할 수 없듯이, 사랑 또한 인간만이 느낄 수 있는 무엇이 아님을 소설은 보여주고 있다.
즉, 이상한 사랑이라고 할 수 있지만, 전혀 이상하지 않은 사랑. 그것이 바로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서 우리가 하는 사랑이다.
이 작품집을 읽으면서 작가는 인간이 없는 세계를 꿈꾸고 있단 느낌을 많이 받는다. 대부분의 소설에서 인간들은 지구에 해를 끼치는 존재로 그려진다. 지구의 생물들을 멸종시키거나(레시, 검은색의 가면을 쓴 새), 또는 스스로들 외계인과의 전투에서 죽어간다.(두하나) 아니면 감정을 없애버리려고 하거나(그림자놀이) 유전자를 통해 자식을 만들려고 한다.(너를 위해서)
과학기술이 인간에게 행복을 가져다 주기도 하겠지만, 그런 과학기술로 인해서 인류는 파멸의 길로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음을, 그런 사회가 결코 행복한 사회는 아님을 작품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어려움에 굴복하지 않는다. 천선란의 소설은 절망으로 끝나지 않는다. 그 많은 고난에도 어떤 희망이 있다. 과거에만 머물러 있지 않는다. 현재가 비록 힘들지만, 이겨낼 수 있다는 희망을 품고 있다.
'두하나'라는 소설에서 외계인과의 전쟁에서 죽어간 사람들, 또는 그들에 의해 같은 인간을 죽이게 된 인간들의 모습을 보여준 다음에, 그 결과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이렇게 표현한다.
참혹한 과거지만, 이겨내야 함을... 하지만 여기엔 조건이 있다. 진정한 반성, 참회가 있어야만 용서가 있을 수 있음을... 반성과 참회가 없는 존재에겐 용서도 없음을... 무엇이 먼저여야 하는지를 잊은 자들에게는 이 소설에서 보여주는 모습은 없을 것이다.
'삶을 재건하기 위해 모두가 바빴다. ...... 뒤늦은 용서는 사회 속에서 누구에게도 정착하지 못하고 떠돌았다. 이 상황을 올바르게 헤쳐나갈 수 있는 선구자는 존재하지 않았다. 오래도록 불안할 것이다. 오래도록 의심할 것이다. 오래도록 용서할 것이고, 오래도록 받지 못한 용서가 토양에 쌓여 침전되고 그렇게 지구가 될 것이다.('두하나'에서. 256쪽)'
진정한 반성과 참회가 있어도 용서는 오래 갈 텐데, 그것조차도 하지 못하는 족속에겐 용서란 없다. 용서란 무작정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따라서 용서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잘못에 대한 반성이 있어야 하는데, 이런 반성은 바로 사랑에서 나온다.
하여 이 소설집은 '사랑'에 관한 소설집이다. 무엇이라 딱 고정된 사랑이 아니라, 만들어가는 사랑. 어떤 특정한 형체가 없는 사랑. 무한한 사랑이기에 시간의 제약도 공간의 제약도 없다. 사랑은 흐름 속에 있다. 그 흐름 속에 우리가 함께 하고 있음을, 이 소설집을 읽으며 생각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