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보이는창] 134호를 읽었다. 여러 삶들이 책에 실려 있다. 세 달에 한 번 만나는 많은 삶들.(계간지니까) 부유한, 권력있는 삶이 아니라 자신이 처한 자리에서 묵묵히 열심히 살아가는 삶들이 나와 있다.


이번 호에서 이야깃거리를 찾으면 '듣기'가 아닐까 싶다. 들을 귀를 가진 사람, 점점 찾기 힘들다. 나이 들수록 입은 닫고 귀를 열라고 했는데, 이 말을 나이가 아니라 권력을 지닐수록 귀를 열고 입을 닫으라는 말로 바꿔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나라는 나이를 권력으로 보는 경우가 많으니...그냥 나이라고 해도 무방하겠다. 말하다 논리로 밀린다 싶으면 꺼내는 말, "너, 몇 살이야? 민증 까.")


권력이 있으면 자기 말만 하게 된다. 그러면 남 말을 듣지 않게 되고, 자기보다 못한 사람들의 처지를 알 수 없게 된다.


왜냐하면 자신이 듣기 싫어하는 말을 해줄 사람이 없을테니. 이 상황을 거꾸로 뒤집으면 듣기는 바로 사랑이다. 다른 사람에 대한 사랑이 들을 수 있는 귀를 갖게 한다.(박총, 들음이라는 사랑)


세상 모든 성인들이 듣기를 강조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하지만 과연 우리 사회 권력을 지닌 사람들 가운데 들을 귀를 가진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별명(?)이 '59분'인 사람도 있다고 한다. 무슨 말인가 했더니 1시간이 주어진다면 자신이 말을 하는 시간을 59분 가진다는 뜻이란다. 이런, 이런!


그렇다면 다른 사람은 언제 말하지? 아니 다른 사람의 말을 언제 듣지? 앞에 언급한 이번 호 박총이 쓴 글에는 이런 말이 있다. 김범준 선생의 말을 빌렸다고 한다.


"대화 전체의 일 퍼센트 정도를 말하기 위해 긴 시간 상대방의 말을 듣는 태도에는 그야말로 사랑이 담겨 있다"고.(79-80쪽)


이런 듣기의 실종이 어디 한 사람만의 일인가? 정치권에서 흔하게 일어나는 일이지 않은가. 자기들 말만 하고, 다른 정당 또 다른 관점을 지닌 사람들의 말은 '가짜 뉴스'로 몰아세우는 일이 비일비재(非一非再)하니 말이다.


대표적인 예를 이번 호와 관련지어 말하자면, 바로 서울시교육청이 추진하는 '농촌유학'이다. 대도시에 사는 아이들에게 농촌을 경험하게 해주고자 실시하는 교육정책.


그런데 서울시의회에서 그런 활동을 하는 '조례'를 폐지하겠다고 했다 한다. 당연히 서울시교육청은 반발하고 있다. 아래 링크 참조


<‘농촌유학 조례’ 폐지, 시의회 발목잡기에…조희연 “거부권 검토” : 교육 : 사회 : 뉴스 : 한겨레 (hani.co.kr)>


[삶창]에서 몇 호에 걸쳐 소개하고 있는 것이 이런 농촌유학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는 '케어팜care farm'에 대한 소개글이다.


농업을 통해서 치유하는, 사회에서 소외되기 쉬운 사람들을 농촌에서 함께 일하면서 치유도 하고 수익도 올리는 그런 활동.


수익을 앞에 두기보다는 함께 함에 중심을 두는 그런 활동. 네덜란드에서 케어팜을 운영하는 한 사람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


'제가 고객들에게 기대하는 첫 번째는 하루를 즐겁게 보내는 것이고,두 번째는 자신감을 갖는 거예요. 마지막으로 생산성까지 좋을 수 있다면야 더 좋겠지만 그게 우선은 아니죠. 그 사이에 균형을 맞춰야 합니다.'(27쪽)


이런 흐름이 있다는 것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데, 귀를 닫고 있는 행태가 바로 '생태전환교육 사업 관련 조례안' 폐지하겠다는 발상이지 싶다. 다른 정치적 관점을 지녔다고 아예 말을 듣지 않겠다는, 귀를 꽉 막고 자신들이 하고 싶은 말만 하는 그런 모습.


더 강화해도 시원찮을텐데... 생태교육은 이 시대 화두라고 할 수 있는데, 이렇게 귀를 막고 살아서야 어디.


수익성에 현혹되어 귀를 막고 사는 사람이 많은데, 이는 우리에게 심각한 위험으로 다가올 수 있다. 그 점을 삶창 이번 호를 읽으면서 다시 생각하게 됐다.


특히 김인호가 쓴 '지리산 10.19 생명평화 기행'을 읽다보면 가슴이 턱 막힌다. 지리산에 이런 일이? '자연으로 가는 길, 구례'라는 슬로건이 있는 곳에'지리산 골프장'이 들어선다고 한다. 나무들을 무자비하게 베어내고 있다고 한다. 


자연에 대해 귀를 닫고 사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으니, 지리산도 이런 험한 꼴을 당하게 된다. 조병범이 쓴 '입문자들과 함께 새 보기'를 읽으면 우리가 어떤 귀를 지니고 있어야 하는지 알게 된다.


그런 귀를 지니고 있으면, 그렇게 들을 수 있다면 지리산에 골프장을 건설한다는 생각을 할 수가 없다. 


'59분'이라는 말이 듣는 시간이었으면 좋겠다. 자기 말은 1분, 다른 사람, 다른 존재의 말을 듣는 시간은 59분. 그렇게 된다면 자연(환경-생태)만이 아니라 사람들이 사는 사회도 갈등보다는 조화와 협력이 주를 이룰 것이다.


들을 귀, 갖춰야 한다. 다른 사람에게 강요하기보다 나먼저 갖추려고 노력해야 한다. 특히 힘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책임 있는 자리에 있는 사람일수록. 그래야 모든 사람들의 삶이 좋아진다.


나를 돌아보게 한 삶창 이번 호였다. 과연 나는 '들을 귀'를 지니고 있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