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보내지 마 ㅣ 민음사 모던 클래식 3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인공지능이 이제 우리 시대의 화두가 되었다. 기계 문명이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었다고 해야 한다. 디지털이 이제는 우리 삶 곳곳에 들어와 있다. 이런 일들 가운데 하나인 챗지피티라는 말이 언론을 장식하고 있어서 '복제'라는 말은 쏙 들어가 버린 듯하다.
한때는 '복제'란 말이 언론을 장식하고 있었는데... 이제는 '복제'가 우리 삶의 일부가 되어 언론에서 다루지 않을 정도로 자연스러운 일이 되었다는 말인지...
하긴 '배양육'이 우리 식단에 들어오는 현실이니, '복제'라는 말은 이제 일상에서 쓰이는 언어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인간복제에 대해서는 수긍하기 힘들다.
인간을 복제한 클론이 과연 인간일까? 라는 질문을 할 수가 있는데, 그들에 대해서 과연 우리가 알 수 있을까?
클론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다른 사람을 알 수가 없다. 안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오만이다. 그 사람의 내밀한 마음을 어떻게 알겠는가? 자신도 자신을 모르는데... 그렇다면 클론의 마음을 인간이 알 수 있을까?
자신을 복제한 클론을 마주친 인간이 클론이 자신과 똑같다고 여길까? 자신이 클론의 모든 것을 안다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 자체가 오만 아닐까?
신이 있다고 가정하자. 신이 인간을 창조했다고 하자. 그렇다면 신은 창조한 인간의 모든 것을 알 수 있을까? 신은 전지전능하니까 당연히 알아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과연 그럴까?
신이 인간을 창조했고, 신의 뜻대로 인간이 살아간다면 인간의 '자율성'은 어디에 있는가? 아니, 그때 자율성이 있다고 말할 수가 있나?
그렇다면 지금까지 인간이 이룬 것은 무엇인가? 자신의 복제까지도 만들어낼, 생물 복제만이 아니라 과학기술을 이용해 인간의 능력을 넘어선 존재들을 만들어내고 있는 지금, 인간은 여전히 신의 뜻대로 움직인다고 해야 하나?
그렇다. 라고 답할 수 있다면, 클론을 우리 역시 다 안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이 신의 뜻대로 살게 되듯이 클론 역시 인간의 뜻대로 살게 된다. 어떤 어긋남도 없어야 한다. 어긋남 역시 계산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만약, 그렇지 않다고 답한다면? 이때는 인간 복제는 해서는 안 된다. 아니, 해도 된다. 다만 복제된 클론이 자율성을 지니고 살아가는 인간이 뜻대로 해서는 안 될 자율적 존재라고 인정을 한다면.
이렇게 되면 클론을 인간의 질병을 치유하기 위해서 만들어낸다는 말은 성립되지 않는다. 클론 역시 인간의 한 부류이므로. 우리가 인종이나 민족으로 인간을 구분하듯이, 여기에 클론이라는 또 하나의 부류가 첨가된다고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지나친가? 지나치다고 생각할 수 있다. 클론이 생각할 수 있다고? 그들은 그냥 주입된 것을 표출할 뿐이라고? 어떻게 아는가? 클론의 뇌 속으로 들어가 보았는가? 뇌의 조직, 기능을 다 안다고 해도 생각이 어떤지 정확히 맞출 수 있는가? 없다. 뇌라는 보이는 형태와 뇌가 작동해 일으키는 생각은 같지 않다.
그러니 클론이 인간의 복제라면 생각하는 능력이 있다는 말이고,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존재라는 말이 된다. 이들을 단지 인간의 병치료를 위해서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이 소설은 이런 클론의 문제를 클론의 처지에서 서술하고 있다. 캐시를 서술자로 선정하고 있다. 소설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다면 캐시의 성장소설로 읽을 수 있다. 캐시의 학창시절부터 어른이 된 후까지가 소설의 시간적 배경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읽다보면 곳곳에서 캐시가 보통 인간과 다르다는 점을 알게 된다. 기증자, 근원자라는 말이 나오고, 조금 읽다보면 캐시가 복제인간이라는 점을 깨닫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읽으면서 복제인간인 캐시의 관점으로 사건을 따라가게 된다. 인간과 같이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캐시를 보면서, 그런 캐시가 결국은 자신의 일부를 기증하는 삶을 살다가 생을 마감하게 될 수밖에 없는 운명임을 알게 된다.
캐시와 루스, 그리고 토미. 이 셋의 애증관계, 성장관계. 그렇지만 여기에 얽힌 복제인간에 대한 관계. 그들이 자란 헤일셤이라는 곳은 복제인간을 인간답게(?) 가르치는 곳. 어차피 장기기증으로 죽어갈 그들에게도 인간다운(?) 생활을 하고, 교육을 받게 하려는 의도로 만들어진 곳.
이곳은 기부자의 기금으로 운용이 되고, 이들 목표는 클론 역시 교양있는 존재라는 사실을 알리는 것. 그러나 이들은 외부에 의존해서 운영하려고 했고, 또 클론을 자신과 함께 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신들이 한시적으로 시혜를 베풀어야 할 존재라고 생각하고 운영했다.
철저히 인간의 관점에서, 시혜를 준다는 관점으로, 그러니 클론들이 자신들의 처지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는, 그렇게 가르쳐야 한다는 루시 같은 선생은 떠날 수밖에 없다.
클론에게 자신들의 처지를 정확히 알리지 않고 최대한 시혜를 베풀어야 한다는 입장과 클론들이 자신들의 처지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는 입장의 차이. 작가는 명확히 이야기하지 않지만, 작중 인물인 토미가 "루시 선생님 생각이 맞는 것 같아. 에밀리 선생님 생각이 아니라 말이야."(374쪽)라는 말을 통해서 엿볼 수 있다.
복제인간이라고 해도 그 자체로 존중받아야 한다. 즉, 복제인간은 수단이 아니라 목적이어야 한다. 인간을 수단으로 대하지 말라고 하지 않았던가. 그러니 자신의 복제인간이라 해도 또다른 자율적 존재임을, 존중해야 할 존재임을, 결코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됨을 알아야 한다.
작가는 복제인간을 서술자로 택함으로써, 그들이 어떻게 고민하고 성장하는지를 우리에게 보여줌으로써 복제인간에 대한 문제에 대해 간접적으로 답을 하고 있다.
생물학에서 시도하는 복제인간을 넘어서서 이제는 컴퓨터과학기술로 인공지능이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게 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아니, 벌써 인간의 능력을 넘어선 인공지능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이런 인공지능의 흐름에 밀려서 복제인간에 대한 이야기가 거의 언급되고 있지 않은데, 인간 '복제', 이렇게 묻혀서는 안 될 주제다. 특히 지금처럼 마음만 먹으면 '인간' 복제가 가능한 시대에서는.
이 소설을 읽으며 문학의 힘을 생각해 본다. 왜 과학자가 될 사람들이 어린(젊은) 시절에 문학 작품을 읽어야 하는지... 아니, 그들에게 영재교육이 아니라 문학작품을 읽혀야 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