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수함의 토끼, 광산의 카나리아' 시인을 일컫는 다른 말이다. 그만큼 시인은 예민한 감수성을 지니고 있다. 자신만이 아니라 다른 존재들을 바라보는 민감성. 그 민감성으로 인해 시인은 세상의 아픔과 함께 한다.
시인에게는 '시를 쓸 수 없는 시대'는 없다. 시대가 힘들수록 시인은 시를 써야 한다. 세상의 아픔을 함께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인간이 자연을 적으로 돌리지는 않는다. 자연은 우리가 물리쳐야 할 대상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야 할 대상이다. 자연은 적이 아니라 동지다. 그러니 자연을 파괴하면서 인간의 행복을 추구한다는 말은 어불성설이다.
자연 파괴는 인간 삶의 파괴로 이어진다. 무분별한 개발이 지금에 이르러서 우리에게 어떠한 재앙으로 다가오고 있는지 너무도 잘 알고 있지 않은가.
이제는 인간 공동체만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이, 또 다른 존재들이 모두 함께 살아가야 하는 지구 공동체, 우주 공동체를 만들려고 노력해야 할 때다.
그런데 공동체를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자신만 잘살겠다고 하면 공동체가 유지될까? 아니, 공동체의 유지에는 조금씩 손해보려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 나만이 아니라 우리라는 생각으로, 내 것을 양보할 줄 알아야 공동체가 존속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그 공동체는 유지되지 않는다. 양보와 타협. 이것이 필요한데... 과연 지금 우리는 그러한가? 이성이 중심이 된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고 하면서도 세계 각처에서는 아직도 전쟁이 끊이지 않고, 자연을 더 이상 파괴했을 때는 인간 생존에도 문제가 있다고 하면서도 여전히 자연을 파괴하고 있지 않나.
다른 동물들도 마찬가지고... 이럴 때 이 시집, 한편 한편 읽어보면 좋다. 생태를 주제로 한 시들의 모임이다.
모두가 인간 중심주의를 넘어 함께 해야 함을 생각하게 하는 시들이다. 이 중에서 최승호 시를 하나 인용한다.
과연 우리 공동체는 이런 펭귄 공동체와 다른가 생각해 보게 된다.
손을 잡지 않는 펭귄 공동체
공동체의 이기심도
있다고 본다
공동체의 이기심 속에
뿔뿔이 흩어져 있는 이기심도
있다고 본다
펭귄들의 포옹이
어색한 것은
팔이 짧고
배가 너무 나왔기 때문이다
세상도 팔이 짧고
배가 너무 나왔다
나도 그렇다
남극 눈보라 속에
손을 잡지 않는 펭귄 공동체가 있다
저마다 홀로 서는
펭귄 공동체
뿔뿔이 흩어진 채 모여 사는 펭귄 공동체
이혜원, 우찬제 엮음. #생태 시. 문학과지성사. 2021년. 156-157쪽.
'나도 그렇다'는 표현에 찔렸다. 나 역시 팔이 짧고 배가 나왔다. 남을 안을 팔은 짧아 잘 안지 못하고, 나에게 안기려는 대상을 나온 배가 밀어낸다. 그러니 함께 하기 힘들다.
그러면 안 된다. 배를 집어넣어야 한다. 팔이 짧으면 배를 집어넣어 상대를 안을 수 있게 해야 한다. 그것이 공동체를 이루는 길이다.
'세상도 팔이 짧고 / 배가 너무 나왔다'는 시인의 표현, 이 시대에 딱 맞는 표현 아닐까 한다. 제발 배를 집어넣자. 너무 나온 배는 다른 존재를 밀어낸다. 그러면 공동체가 유지되기 힘들다.
이 시집에 실린 정희성의 '숲'이란 시에서 '광화문 지하도를 지나며 / 숱한 사람들을 만나지만 / 왜 그들은 숲이 아닌가'라는 절규, '그대와 나는 왜 / 숲이 아닌가'라는 말은 결국 배가 너무 나와 남을 안지 못하는 우리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최승호의 시와 정희성의 시가 이렇게 지금 우리들의 모습을 비춰주고 있다. 시인이 이래서는 안 된다고 외치고 있는데... 자꾸만 자기 배를 불리는 사람들이 보이니, 지금 우리는 '뿔뿔이 흩어진 채 모여 사는 펭귄 공동체'와 같은 모습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