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번은 불러보았다 - 짱깨부터 똥남아까지, 근현대 한국인의 인종차별과 멸칭의 역사
정회옥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9월
평점 :
부끄러웠다. 읽으면서. 의식하지 않고 쓰는 말 중에 혐오 표현이 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당연하게 여기던 일이 당연하지 않음도, 또 아무런 비판 의식 없이 읽었던 작품들에서도 인종차별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알려고 하지 않음, 의식하지 않음. 우리나라 인종차별에 대해서는 그렇게 이야기할 수 있겠다. 인종차별을 우리가 한다고? 이런 반문을 하는 경우가 많으니.
백인이 흑인을 차별하는 일을 인종차별로만 인식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는데... 알게 모르게 우리는 인종차별을 하고 있음을, 그리고 그 인종차별의 역사는 15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함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됐다.
인종차별... 피부색만이 아니다. 우선은 피부색에 따라서 차별을 하지만, 경제적 차이가 나는 나라에 따라서 차별을 하고, 또한 종교로 차별을 하는 것도 인종차별이라 할 수 있다.
개화기 때 신문이 처음 우리나라에서 발간될 때, 그 신문 내용에는 인종차별적인 내용이 많았다고 한다. 백인을 우위에 두고, 흑인을 미개한 종족으로, 인디언 역시 미개한 종족으로 이야기한 내용들.
근대화라고 해서 그런 신문을 통해 얻은 지식으로 무장한 개화기 지식인들의 머리에는 은연중에 인종차별이 박혔으리라.
김옥균도 흑인들을 보고 멸시하는 발언을 했다고 하니, 근대화가 곧 백인화를 뜻하는 것이었는지, 식민지 시대에 들어서서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일본이 그렇게 따라가고자 했던 서구화는 곧 백인화였을 테고, 자신들은 백인에 버금가는 종족이라고 주장하고, 이에 따라 사람들을 서열화했던 시기.
유사과학이라고 해야 하나? 혈액형을 가지고 인종계수라는 용어를 사용해 인종차별을 합리화했다고 하니, 참...
'1919년 독일인 학자 루드비크 히르슈펠트와 한카 히르슈펠트는 혈액형 B형보다 A형이 진화한 형태이므로, 백인일수록 A형의 출현 빈도가 높아지고, 유색인일수록 B형의 출현 빈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그들은 A형인 사람의 수를 B형인 사람의 수로 나눈 '인종계수'라는 수치를 개발했는데, 분석 결과 그들이 세운 가설대로 백인이 비백인보다 인종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경성의과전문학교 외과교실 교수 기리하라 신이치와 그의 연구팀은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인의 인종계수는 1.78인 반면, 한국인은 1.07로 나타났다. ...열등한 한국인은 우월한 일본인에게 지배당할 수밖에 없다는 식민사관으로 이어졌다.' (56쪽)
어처구니 없는 연구지만, 인종차별을 합리화 하는 데는 이런 과학 아닌 과학이 유용하게 쓰였으리라. 게다가 이런 연구들이 우생학을 뒷받침하고 있었을 테니...
해방이 되고 나서 미국의 문화가 들어오면서 인종차별은 더 강화된다. 경제개발이 되면서도 마찬가지고. 이렇게 우리나라의 인종차별 역사는 오래 되었음을 보여준다.
여기에 구체적인 인종차별의 사례로 흑인, 화교, 혼혈인, 동남아시아 사람들, 무슬림에 대한 이야기를 2부에서 하고 있다.
이래도 인종차별이 없다고 할테냐라는 듯이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보여준다. 우리가 그동안 얼마나 많은 인종차별을 자행하고 있었는지를...
나는 그런 적 없다고? 과연 그럴까? 이 책 제목을 생각해 보자. '한 번은 불러보았다'는 말. 우리는 인종차별적인 언어를 한번쯤은 해봤을 테다. 아무런 생각도 없이. 자신이 인종차별을 한다는 의식도 없이.
그 점을 이렇게 정리하고 있다.
'감추는 게 많은 나라, 우리가 타자화한 집단들의 역사를 진심으로 반성하지 않는 나라, 이것이 한국을 인종차별 국가라고 부를 수 있는 이유다.'(216쪽)
여전히 반성하지 않는다. 이 책에도 언급되고 있지만 대구에서 무슬림 사원을 건축을 반대하는 시위가 지금도 진행 중이다. 2년이 넘게... 반대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 그들이 내세우는 주장은 증명되지 않았다. 전형적인 혐오, 인종차별의 발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요즘은 아예 돼지고기 파티를 하고 있다고 하니... 차별금지법이 없는 나라에서. 그들은 내가 내 집 앞에서 돼지고기를 먹는데 뭐가 문제냐고 하고 있으니...
무슬림들만이 아니라 이주노동자들, 또 결혼한 동남아시아 사람들, 여기에 여전히 흑인에 대한 차별이 있으니.
그래 '한 번은 불러보았'을 그런 차별을 하는 말들을 두 번, 세 번 부르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 인식하고 반성하고, 고치려고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
오랜 세월 몸 속에 박힌 인식하지 못하는 차별을 없애기 위해서는 나를 객관적으로 살필 필요가 있다.
남을 살피듯이 나를 살펴야 한다. 외국인들이 우리를 차별하면 분노하듯이, 우리가 외국인을 차별하지 않나 성찰해야 한다. 더불어 한국 국적을 갖고 있음에도 한국인으로 대우하지 않는 우리의 모습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