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의 증명 은행나무 시리즈 N°(노벨라) 7
최진영 지음 / 은행나무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처절하다. 그렇지만 괴기스럽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이들 사랑이 이렇게 할 수밖에 없으므로. 더이상 물러설 곳이 없는 사랑이므로.


사랑하는 사람을 잊지 않기 위해 더 오래 살라고 하는 죽은 사람이나, 사랑하는 사람을 보내기 싫어서 자신의 몸의 일부로 만들려고 하는 사람이나. 그들이 그렇게밖에 할 수 없는 상황이 펼쳐지므로, 이들의 사랑을 괴기스럽다거나 공포스럽다고 느낄 수가 없다.


막다른 골목. 딱히 내가 잘못한 일도 없는데 더이상 출구가 보이지 않을 때, 사람이 사람이 아니라 물건으로, 돈으로 판단되는 세상에서 그럼에도 너와 함께 있어서 살 수 있다는 그런 사랑.


소설은 현재와 과거, 과거와 현재가 얽히면서 전개된다. 담이와 구의 시점이 번갈아 가면서 나오고, 둘의 이야기가 달라지는 지점도 있지만 겹치게 되면서 그들의 사랑을, 그들의 상황을 점차 이해하게 된다.


사람으로 살고자 했으나 사람으로 살게 하지 않는 세상에서 결국 죽을 수밖에 없는 구와 그를 보낼 수 없는 담. 그들의 사랑.


처절한 사랑이다. 죽어서도 잊지 못하는, 죽은 사람을 잊지 못하는 그런 사랑. 하지만 세상은 그들의 사랑을 내버려둘까?


그들의 사랑을 순수하게 바라볼까? 아마도 세상에 이런 사실이 알려진다면 괴기스러운, 정상이 아닌, 미친, 사이코패스인 이라는 수식어가 붙고, 이들의 사랑은 세상 사람들의 흥미거리로 전락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담은 구를 보낼 수가 없다. 마찬가지로 담은 누구보다 오래 살아남기를 바란다. 자신이 이런 행동을 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하나도 없을 때까지 살겠다고 한다.


이 세상에서는 절대로 인정받지 못할 사랑이기에, 이 세상에 대한 기대를 하지 않는다. 담은 그렇다. 구 역시 마찬가지다. 죽음 이후의 세계에 다시 만난다는 믿음을 가질 수가 없다. 


왜냐하면 자신이 죽은 뒤 죽은 다른 사람을 만나지 못했기에. 그렇기 때문에 구는 담이 오래 살기를 바란다. 그런 담을 자신이 바라보고 있으므로. 천년 만년 그렇게 담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영원한 사랑 이야기로 이 소설을 읽어도 되지만, 이들을 이렇게 내몬 사회, 아이 때는 모든 것을 사람으로 보지만, 어른이 되면 사람도 사람으로 보지 않는다는 말이 이 소설에 나오는데, 그렇게 사람을 돈으로, 물건으로 판단하는 사회의 모습을 이 둘의 사랑에서 보게 된다.


그것을 거부하는 삶이 얼마나 힘든지, 그렇게 살 수 없는 세상에 우리가 살고 있음을. 적어도 담이와 구가 말했듯이 아이들에게 그런 세상을 물려주지는 말아야 한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