꾿빠이, 이상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0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상, 김해경.


두 이름이 있다. 이름이 존재라고 한다면, 두 이름은 다른 존재여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이상은 알아도 김해경은 잘 모른다.


이상은 작품을 통해서 불멸의 존재가 되었으며, 김해경은 유한한 삶을 마감함으로써 소멸의 존재가 되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작가와 작품은 함께 하기도 하지만, 따로 갈 때도 있다. 특히 작가가 다른 이름으로 작품을 쓴 경우에는 더더욱 그렇다.


이 소설은 바로 이런 간격을 소재로 삼아 쓴 소설이다. 불멸의 존재 이상과 소멸의 존재 김해경. 그리고 존재해야 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작품 오감도 16호-30호. 


(이상은 자신이 30편을 엄선했다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것 역시 이상이라는 작가의 비밀인지도 모르겠지만, 그러나 15편 이후의 작품은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적어도 내가 아는 한은.)


이상을, 이상 작품을 소재로 소설을 전개하기에 이 소설에서 서술자는 한 명이 아니다. 소설의 서술자는 세 명으로 각 부분에서 달라지고, 그 달라진 서술의 내용을 통해서 이상에게 다가갈 수 있다.


이상의 데드마스크가 발견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기자가 서술자가 되는, 그러나 그 데드마스크는 가짜로 인정이 되지만, 과연 그것이 가짜인지 진짜인지 알 수 없는 내용. 즉, 이상의 얼굴을 떴다는 데드마스크조차도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데, 그의 알려지지 않은 작품에서랴.


여기서 서술자의 삶과 이상의 데드마스크 부분이 겹치면서 소설은 더욱 복잡해지는데, 이 복잡함을 두 번째 부분에서 이상의 삶을 좇아가는 인물을 통해서 세 번째 부분으로 연결시켜 준다.


수기를 쓴 사람. 평생을 이상처럼 살고자 했으나, 삶은 누구에게나 단 한번의 삶. 자신만의 삶이 있기에 다른 사람을 모방하는 삶은 진짜 삶이 될 수 없다. 작품 역시 마찬가지다. 모방은 자신의 작품을 더 잘 쓰기 위한 방편이지, 결코 자신의 작품이 될 수는 없다.


모방이 작가에게 필수적인 과정이라면,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야 한다. 즉, 날아보려 해야 한다. 날아보려 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날개 힘에 의존해 난다면, 그 작품은 자신의 것이라 하기 힘들다.


두 번째 서술자의 모습이 그렇다. 그는 이상처럼 살고자 했으나, '이상처럼'은 되어도 '이상은(또는 이상이)' 되지 못한다. 단 한번뿐인 삶을 재현할 수는 없다. 그러니 그가 수기에 쓴 작품들이 그 자신의 작품이 되지 못한다. 그는 이상을 흉내내었을 뿐이다.


날지 못한 사람. 날려고도 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이상이라는 날개에 달라붙어 그냥 그렇게 공중에 떠 있고 싶을 뿐이었다. 이상의 날개에서 벗어났을 때 자신의 작품을, 불멸의 작품을 쓸 수 있었을지 모르지만, 그렇게 되지 못한다.


세 번째 서술자는 학자다. 이상을 연구하는 학자. 그러나 그의 삶 역시 어느 한 곳에 정착되어 있지 못하다. 이 서술자의 삶은 그 자체로 이상의 삶과 비슷하다. 아니다. 서술자는 이상이 아니라 김해경의 삶과 비슷하다고 해야 한다.  


김해경이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났고, 입양이 되었으며, 조선과 일본 또는 근대를 상징하는 다른 나라 사이에서 작품 활동을 했다면, 그런 작품 활동의 결과가 그를 불멸의 존재인 이상으로 만들었다면, 미국에서 자랐지만, 대만 출신이고 입양되었으며, 한국에서 이상 연구자로 활동하는 서술자 역시 김해경의 삶과 비슷하다.


그렇지만 그는 불멸의 존재가 될 수 없다. 이상이라는 존재가 없다면 그의 활동도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연구자의 숙명과도 같다. 그래서 연구자는 없던 것을 찾아내야 한다. 작가가 숨겨놓은 비밀을 파헤쳐야 한다.


그런 연구자가 뛰어난 연구자가 될 수 있다. 자신의 연구를 공유하지 않거나 또는 남들 모르게 불쑥 발표하는 연구자들의 모습으로 이 소설 속에 등장한다. 이들은 작가의 비밀을 하나씩은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과연 작가의 모든 비밀을 알 수 있는가? 그렇게 모든 비밀을 알게 하는 작가가 불멸의 존재가 될 수 있는가?


그래서 작가는 개인으로서의 삶과 작가로서의 삶이 분리된다. 분리된 삶 속에서 어느 쪽에 자신을 두느냐에 따라 날개를 달고 날아 불멸의 존재가 되기도 하고, 다른 사람의 날개에 얹혀서 가는 사람이 되기도 한다.


이를 다른 말로 하면 불멸의 존재는 많은 사람들을 자신의 날개 힘으로 함께 날게 한다. 이런 작품이 좋은 작품이다. 불멸의 작품이 된다.


작품은 비밀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비밀은 캐고 캐도 끊임없이 재생산되어야 한다. 이상의 작품에 대한 해석, 발견되지 않은 유고 작품에 대한 이야기 등등은 이상을 계속 불멸의 존재로 남게 한다.


개인 김해경은 소멸해도 작가 이상은 불멸의 존재로 남는다. 그리고 그때 이상은 육체를 가진 개인이 아니라 문학사 속에서 영원히 살아 있는 존재가 된다. 그의 작품과 더불어.


그렇다면 작가라면 이상을 추종해야 할까? 아니다. 이상은 모방의 단계에서 그쳐야 한다. 두 번째 서술자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이상과 결별해야 한다. 굿바이. 이렇게 쓰고 싶지만, 소설 제목처럼 꾿빠이라고 해야 한다.


이상과 헤어져 자신만의 세계를 개척하는 사람, 그 사람이 이상을 제대로 계승한 사람이다. 그런 생각을 하게 했다. 이 소설은.

 

이상 작품을, 시나 소설, 또 수필을 읽은 사람에게는 이 소설이 매우 흥미로울 것이라는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