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다는 것의 의미 동문선 현대신서 16
존 버거 지음, 박범수 옮김 / 동문선 / 200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본다는 것의 의미]다.


보이는 것을 보는 것. 보인다는 말, 수동적인 말이다. 의지가 개입하기 전에 눈에 들어오는 대로 인식하는 일. 그런데 보이는 것을 본다고 할 때는 의지가 개입한다. 


똑같은 존재라고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굉장히 다르게 보인다. 다르게 볼 수 있다. 그래서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도 있지 않은가. 이 아는 만큼 보인다를 수동적으로 해석해서, 자신이 아는 만큼만 보인다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자신의 앎에 한계가 있다고 인식한다면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은 내가 보는 것에 분명한 한계가 있다고, 다르게 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한다는 말과 같다. 즉 자신이 놓치고 있는 면이 있다는 생각을 지니고, 그것을 찾으려는 노력을 한다는 말이다. 


내 눈에 보이는 것이 다른 사람 눈에도 똑같이 또는 비슷하게 보인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착각일 수 있다. 엄청나게 다르게 보일 수 있다. 특히 예술에서는.


그래서 예술 감상에는 왕도가 없다고 하지 않나. 자신이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는 것이 예술이다. 예술의 다양성은 이런 다양한 관점에서 나오지만, 다양한 관점은 곧 보기의 차이에서 온다.


그런데 어떻게 보아야 잘 봤다고 할 수 있나? 내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을 어떻게 찾아낼 수 있나? 단지 예술에 대한 지식뿐만이 아니라 사회, 문화적 지식이 총 망라되어 작동되어야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꽤나 많은 지식이 필요한데, 특히 사회와 동떨어져서 볼 수 없다는 점을 이 책에서 잘 지적하고 있다.


존 버거 책을 읽으면 관점의 다양함과 관점의 독특함을 느끼게 되는데, 그렇게 되기까지 존 버거 역시 노력을 많이 했으리라. 


그는 어떤 것을 볼 때 그것을 따로 떼어서 보려고 하지 않는다. 물론 따로 떼어서 볼 때도 있다. 하지만 곧 자신의 살고 있는 세상과 관련짓는다. 사회와 동떨어진 존재는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감춰진 진실을 찾아낼 수가 있다. 그림이든, 사진이든 또는 동물이든 그는 보이는 존재들에게서 무엇인가를 더 보려고 한다. 그렇게 자신이 본 것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우리 역시 잘 보라고.


이런 점을 잘 나타내는 문장이 있다. 사진에 관해서 이야기하면서 한 말이다.


'사진이 동시에 개인적, 정치적, 경제적, 극적, 일상적, 그리고 역사적인 측면에서 보여질 수 있도록 사진을 둘러싼 방사 체계가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93쪽)


즉, 사진을 볼 때에도 다양한 관점을 작동시켜야 한다는 말이다. 주어진 대로만 해석하지 않고,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말이다.


일방통행은 없다. 일방통행은 보기가 아니다. 그것은 '본다'가 아니라 '보인다'다. 이런 보기에 대해서 동물, 사진, 미술을 통해서 그 실례를 들어준 책이 바로 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