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책으로 구입했다. 

  김소월하면 우리나라 근대시를 개척한 시인이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시인 아니던가. 

  그런 김소월 시문학상 수상작품집인데, 그것도 1회 작품집이라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망설이지 않고 구입.


  목차를 보니, 이름 있는 시인들 작품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그런데 심사평을 읽어보니 40대를 전후한 중견시인들로 대상을 제한했다고 한다.

  물론 문학상이 그해 발표된 모든 작품과 모든 시인들을 대상으로 하기는 힘들지라도 이렇게 중견으로 제한한 것은 문제가 있단 생각이 든다.


시를 꼭 20여년 정도 쓴 시인들이라야 잘 쓴다고 할 수 있나? 단 한 편의 시로도 기억에 남는 시인이 있고, 평생동안 꽤 많은 시집을 냈어도 그 시인의 시 단 한 편도 기억하지 못하는 시인도 있는데...


시가 나이와 또 시를 쓴 경력과 같이 가지 않음을 심사위원들이 더 잘알텐데, 왜 이런 결정을 하고, 그런 과정을 거쳐서 수상작을 선정했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김소월이 40을 넘기지 못하고 세상을 떴는데, 그의 작품을 폄하하는 사람은 없지 않은가. 하여간 그런 심사경위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고 수록된 시까지도 마음에 들지 않은 것은 아니다. 대상을 받은 오세영의 그릇 연작 중에서 그릇1의 앞부분과 뒷부분이 좋았는데... 중간 부분은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릇이 깨지면 칼날이 된다고, 사랑은 온전한 그릇으로 다 받아들여야 하는데, 깨졌을 때는 사금파리가 되어 사랑을 깨게 된다고 할 수도 있는 시.


그렇지만 '깨진 그릇은 / 칼날이 된다. / 무엇이나 깨진 것은 / 칼이 된다.'(오세영, 그릇1.4연. 이 책 17쪽)고 하는 시 구절은 우리들 삶을 생각하게 한다.


그릇,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는데, 깨지면 받아들일 수가 없다. 오히려 다른 존재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


지금 이 시대 깨진 그릇들이 얼마나 많은지. 이상하게도 기를 쓰고 자신들의 그릇을 깨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생각.


아니, 자신들의 그릇만이 아니라 다른 존재의 그릇도 빼앗아 깨버리려는 사람들이 많다는 생각에 이 시를 읽으며 씁쓸한 감정에 빠지게 된다.


내 그릇이 깨지지 않게 조심해야 하겠지만, 다른 존재의 그릇도 깨지지 않도록 배려하는 태도, 그러한 삶이 필요하지 않을까 한다.


여기에 수록된 시들 중에서 송수권의 '하느님의 아이들'도 마음을 울린다. 87년이면 지금으로부터 35년 전인데, 이미 그때 아이들이 자연으로부터 멀어졌다고 한탄하는 시인의 마음이 느껴져서다.


지금은 자연으로부터 더 멀어지고, 코로나19로 인해서 사람들끼리의 관계도 더 멀어졌으니, 이 시를 읽으면서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하느님의 아이들


  내 사랑이 부족한 탓일까

  캔 음료도 색깔로만 마시고 사는 요즈음의 아이들

  어찌 하느님을 닮았다 할까


  식목일에 무궁화 삽목을 하고 싶어

  몇 아이에게 가지를 쳐오라 했더니

  꽃이 지고 없는 개나리 가지를 쳐 왔다

  그림 속의 꽃은 잘도 구별하던 애들이

  하느님의 영토 안에서 자라는 싱싱한

  나무들의 이름과는 이렇게 멀어져 간다.


  어느날은 창 밖에서 

  메뚜기 한 마리가 흘러 들어 발을 절며

  아이들의 심장에다 불을 놓았다

  모두가 책상 위로 올라가 까치발을 서고

  나의 수업 시간은 엉망진창이었다

  E.T하고는 잘 놀던 애들이

  하느님과는 가장 눈이 닮았다는 메뚜기와는

  왜들 이렇게 원수 보듯 하는 걸까


  나는 메뚜기 한 마리를 들고 서서

  혼자서 길 잃은 아이처럼 어린 시절을 생각했다.

  논둑길을 가로질러 벼가 익어 가던 벌판은

  온통 나의 성(性)이었다

  한 되들이 됫병에 갇힌 메뚜기들은

  그때 얼마나 할 말이 많았는가

  ......얘 꼬마 녀석, 그러다간 하늘에 못 간다.


  내 사랑이 부족한 탓일까

  요즘은 자구만 아이들이 싫어진다

  냉장고 속에서 다람쥐처럼 크는 아이들

  밤 하늘 은하수를 잊고 산 지도 오래다

  어느 길목에서 하느님의 옷자락을 놓아 버린 것일까


  지난 일요일에는 낚싯대를 메고

  나 혼자 들로 나갔다

  진달래 산천을 지나 민들레가 핀

  보리밭둑을 넘어

  살구꽃이 폭포수처럼 내리는 옛날의 밝은 마을을 지나

  종달새 앞장 세우고 하늘 끝까지 걸어갔다


  깜부기로 하느님의 턱밑 수염을 그리며

  나는 탈판 속의 말뚝이처럼 한 바자기 우물물을 퍼 마시고

  한 시대의 풍경 속으로 사라져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

 

1987년도 제1회 소월시문학상수상작품집. 문학사상사. 1995년 2판 1쇄. 

송수권, 하느님의 아이들.154-15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