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동안 만나왔다. 만날 때마다 실망하지 않는다. 친구는 자주 만나도 반갑고, 오랜만에 만나도 반갑다. 그냥 그렇게 나와 함께 하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빅이슈를 보면서, 이 빅이슈가 어떤 사람들에게는 친구가 되어주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그리고 빅이슈와 친구가 되는 사람이 많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눈이 많이 내리고, 추위는 강해지는 이번 겨울. 따스하게 품어주는 사람들이 곁에 있다면 지내기가 한결 수월하지 않을까.


  빅이슈가 바라는 점이 바로 이것이겠지. 이번 호를 읽으면서, 국가가 국민들에게 친구처럼 다가가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어려울 때 기댈 수 있는 존재. 국가는 그렇게 존재해야 한다. 그리고 그런 존재가 되는 첫출발은 복지다. 복지... 누구나 힘들 때 견뎌낼 수 있다는 믿음을 주는 정책. 따라서 선별 복지든, 보편 복지든 국가는 국민에게 믿음을 주어야 한다.


하지만 과연 그런가? 갈수록 느는 복지가 아니라 갈수록 줄어드는 복지가 되고 있지 않은가. 미래를 불안하게 바라보고, 연금(국민, 공무원, 군인 등등)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오히려 국민들이 더 불안해 하고 있지 않은가.


사회 기반 시설에 대한 투자, 확충이 중요하고, 또한 기후위기를 넘어서 기후재앙에 이르고 있는 지금 시대에 그것을 이겨낼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한데...


그렇게 하기 위해선 세금을 빗겨갈 수가 없다. 국가가 집행하는 예산은 대부분 세금에서 나오니... 세금은 또한 국민이라면 누구나 내야 하는 의무 아니던가. 국민의 4대 의무라고 헌법에 명시되어 있는데...


세금이 무엇인가? 바로 국민에게서 나와 국민에게로 가는 돈 아닌가? 내가 힘들 때 나를 도와줄 친구같은 존재로 역할해야 하는 것, 그것이 바로 세금 아닌가. 따라서 복지, 복지 하면 당연히 세금에 대해서 이야기해야 한다.


세금에 대해서 이야기하지 않고 '복지'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은 공허하다. 말놀음에 그칠 가능성이 많다. 그러니 이번 호 성현석이 쓴 '더 나은 사회는 공짜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글.


이 글 마지막, 더 많은 이야기가 필요하다. '대출이 아니라 복지를 통해 삶의 안전을 보장하는 방향이다. 그러자면 명백한 사실부터 인정해야 한다. 더 나은 사회는 거저 이뤄지지 않는다. 다수 시민이 더 많은 부담을 짊어져야만 한다. 낮은 세금과 열악한 복지의 조합은 이제 불가능하다.'(17쪽)


함께 살아간다는 것. 누군가에게 친구가 되어준다는 것. 그런 삶. 연말에 생각해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말부터 조심하자. 다른 사람을 부르는 말. 다른 사람에 대한 존중. 그것은 곧 나에 대한 존중이다.


정문정이 쓴 '타인을 부르는 호칭은 상대가 아닌 나의 격을 보여준다'는 글은 지금 이 시대 우리들의 언어를 돌아보게 한다.


지금 우리 사회는 어떤 말들이 나돌고 있는지... 올해 마지막 호, 빅이슈. 아이들이 그린 산타 그림이 표지 사진이 되었다. 세상에 따스함을, 사랑을 선물로 주는 산타. 모두에게 이 산타의 선물이 깃들기를 바라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