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랑스식 세탁소 - 정미경 소설집
정미경 지음 / 창비 / 2013년 5월
평점 :
읽기에 결코 편한 소설이 아니다. 읽으면서 무언가 안개 속을 헤매는 기분이 든다. 소설 내용도 그렇다. 명확하게 무어라 떨어지지 않는다. 이것 저것 사이에 있는 무엇이 바로 이 소설이라는 생각이 든다.
인물들도 마찬가지다. 악인인가 하면 아니다라고 할 수 있고, 착한 사람인가 하면 그도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소설은 그만큼 인간이 단면을 지닌 존재가 아니라 여러 면을 지닌 복합적인 존재임을 보여준다.
하나의 삶이 옳다고 또는 그르다고 할 수 없다는 점을 소설은 보여주고 있는데, 그럼에도 그런 삶, 즉 겉으로 보이는 삶을 추구하다 보면 잃는 삶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드러내고 있다.
어쩌면 우리는 남들의 눈에 보이는 삶, 남에게 인정받는 삶을 살고자 자신이 진정 원하는 삶을 잃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런 생각을 하게 한 소설이다.
첫소설부터 그렇다. '남쪽 절'
미술전시관,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전시관에 들어가는 주인공. 세속적인 성공을 향해 비난받을만한 작가에게 출판을 의뢰하는 주인공. 그 과정에서 용산참사가 분명한 그 장소를 지나면서도 그들의 삶을 외면하려고만 하는 주인공.
출판이란 무엇인가? 과연 그늘진 삶을 외면하고 자신의 밥벌이에 충실하려는 출판이 바람직한가? 그것은 어쩌면 어둠 속에서 길을 잃고 더듬거리며 나아가는 자신의 모습이 아닐까?
이런 길잃음이 '파견 근무'에서 더 잘 나타난다. 판사라는 자리. 지방 판사. 유지 중의 유지. 그러나 옳고 그름을 판단해야 하는 자리. 누구보다 올곧아야 하는 자리에 있는 사람이지만, 카지노에도 하고, 피의자가 흘린 정보에도 눈을 돌리게 된다.
그에게 정의보다는 현실이, 자신의 감정이 더 앞선다. 자, 이런 세상에 정의는 어디 있는가? 우리는 법조인들이 마냥 정의로울 것이라 생각하지만, 판결은 또 공정할 거라 생각하지만, 소설 속 주인공은 판결이 얼마나 자의적인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도 저렇게도 판결을 내릴 수 있는 사건이 얼마나 많은지, 결국 삶은 이것과 저것으로 명확히 나뉘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이 소설의 주인공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남쪽 절'과 '파견 근무'를 연결지어 보면 바람직한 삶은 무엇이라 정의내릴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삶은 미술의 '스푸마토' 기법처럼 뭉개져서 경계가 흐릿하다고 할 수 있겠단 생각이 든다.
하긴 우리들 삶이 어떻게 무엇이다고 단순하게 정의될 수 있겠는가? 이렇게 이 소설집에 실린 소설들은 인물들이 지닌 복합성을 드러내고 있다.
마지막에 실린, 소설집의 제목이 된 '프랑스식 세탁소'를 보면 그렇게 이것이다라고 편가르기 힘든 삶이긴 하지만, 그래도 우리가 추구해야 할 삶이 있지 않을까 하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소설은 두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현실의 인물과 잡지 속의 인물. 잡지 속의 인물을 통해 현실의 인물이 자신의 삶에서 감춰져 있던 면을 드러내게 된다. 그리고 그것을 자신도 깨닫게 된다.
남들이 보면 성공적인 삶, 다른 이들을 위해 헌신하는 삶을 살고 있는 인물로 보이지만, 그 이면에 있는 좋지 않은 모습드을 소설은 드러내고 있는데...
최선을 다해서 요리를 했던 요리사는 미슐랭에서 별 두 개를 받자 자살을 한다(이런 결말을 보여주지 않지만, 그렇게 짐작이 된다). 그는 자신의 일에 자부심을 가졌고, 최선을 다했다. 그래서 다른 평가를 받아들일 수 없었을지도 모른다.
'프랑스식 세탁소'에서는 두 죽음이 나온다. 소설 속 이야기에 나오는 죽음과 소설에서의 죽음. 소설 속 이야기에서는 당사자가 죽음을 선택한다면, 소설에서는 주인공의 주변 인물이 죽음을 선택한다.
하나는 자신의 자부심을 위해, 또 하나는 다른 사람을 지키기 위해. 그렇다면 이 죽음들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한 죽음은 드러내기 위한 죽음이다. 최선을 다한 삶. 그런 삶을 드러내는 죽음이 소설 속 이야기의 죽음이라면, 소설 속 죽음은 감추기 위한 죽음이다.
주인공의 문제를 감추기 위한 죽음. 죽음으로써 주인공의 문제를 덮어버리는 그런 죽음. 결국 이 죽음은 최선의 삶이 아니라 보이는 삶, 보여주는 삶을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소설 속 이야기가 주인공에게 다른 죽음을 계속 떠올리게 한다.
그 죽음이 주인공에게서 떠나지 않는 한 주인공은 감추기 위한, 보여주기 위한 삶만을 살 수는 없으리라.
그래서 정미경 소설은 삶은 이거다 저거다로 나눌 수 없고, 무엇이 정의고, 정의가 아닌지 말하기 힘들지만, 적어도 우리가 추구해야 할 삶은 있다고 말하고 있다.
겉으로는 보이지 않는 그 사람의 다른 삶들이 있음을, 그것을 인정하고 거기서 나아가야 함을 명확하게 말하지는 않지만 소설을 읽으면 마음 깊은 곳에서부터 그런 생각이 서서히 올라온다. 이게 편하게 읽히지 않는 정미경 소설의 특징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