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어라는 세계 - 우리가 모르는 우리말 이야기
석주연 지음 / 곰출판 / 2022년 9월
평점 :
안다고 생각하고 넘어간다. 당연히 알고 있다고 여긴다. 우리말이다. 내가 말하고 쓰는데 지장이 없으니 다 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상하다. 국어시험을 보면 수두룩하게 틀린다. 또 한국어능력시험을 보면 웬만한 사람들, 심지어 국어교사들조차도 틀리는 문제가 많다.
그럼 우리는 우리말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또 한국어능력시험이나 수능과 같은 또다른 시험들이 우리말에 대한 앎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을까?
우리말에 대한 앎을 측정한다는 것이 가능할까? 단편적인 지식을 넘어서 우리말 전반에 대한 앎을 어떻게 측정할 수가 있을까?
애초 태어나면서부터 습득한 언어를 측정할 필요가 있을까? 의식하기보다는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우리말을 왜 측정해야 하지?
측정한다는 말은 비교를 한다는 말이다. 우리말이 우리말로만 존재하지 않고, 수많은 다른 언어들과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말에 대한 앎은 곧 다른 말에 대한 앎과 통하는 일이 된다. 그러니 우리말에 대한 앎은 다른 언어와 비교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 책은 우리말에 대해서 시간, 공간, 침묵, 비밀, 이주민, 세계의 언어라는 항목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언어는 존재를 나타내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을 나타내는 말들이 있을 수밖에 없다. 사람이 시간과 공간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시간과 공간을 나타내는 말들이 모든 언어에서 같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
시간과 공간을 나타내는 말들이 그 나라의 문화, 역사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몸짓 언어나 침묵과 같은 모든 나라가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표현조차도 다르게 쓰인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자신들만의 소통을 이끌어가는 은어에 대한 설명이 비밀의 언어라는 항목으로 이야기되고 있는데, 이 비밀의 언어에서는 외국어를 배워야 하는 이유가 나오기도 한다. 조선시대 때 한어(한족 언어)를 배우는 것은 당연하다고 여기지만, 왜 청어(청나라 언어)를 배워야 하느냐는 질문에, 그들이 조선인들에게 비밀로 할 때는 청어를 쓰기 때문이라는 말.
즉, 언어는 소통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특정 집단을 배제하려는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는 점,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집단이 자신들만의 은어를 사용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언어는 단일성을 고수할 수 없다. 다양한 언어가 섞이게 된다. 이주민들이 생길 수밖에 없는 현대에는 더더욱 그렇다. 그래서 세계 속에서 우리말이 지니는 의미를 이야기하고 있다.
왜 중국과 일본이라는 강대국(옛날에는 두 나라는 강대국이었고, 우리나라는 잘 모르는 작은 나라였으니)이 언어를 쓰지 않고 굳이 한국어를 쓰느냐는 질문이 있었다고 한다.
왜냐고? 우리들의 생활이나 생각을 표현할 문자가 필요했으니까. 그 점에 대해서도 이 책에서 잘 설명해주고 있다.
이렇게 우리말에 대해서 다양한 각도에서 설명해주고 있어서 우리말의 이모저모를 살필 수 있는 책이다.
우리말에 대해서 조금 거리를 두고 살필 기회를 주는 책. 그래서 우리말에 대해서 더 애착을 갖게 하는 책이 이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