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주토끼 (리커버)
정보라 지음 / 아작 / 202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행복한 결말이 없는 시대의 소설


고전소설은 권선징악이다. 행복한 결말이다. 그래서 잘 먹고 잘살았다더라로 끝난다. 그러니 너희도 잘살아야 한다. 교훈을 주려고 한다. 도덕을 이야기를 통해서 주입시키는 경우가 많다.


악은 반드시 처벌된다. 선은 복을 받는다. 현실이 힘들더라도 최선을 다해야 한다. 언젠간 복이 찾아올테니. 


고전소설들은 이런 틀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현대소설에 들어와서는 이런 틀이 많이 깨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행복한 결말이 아니더라도, 권선징악 정도는 지키려고 한다.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법보다 주먹이 가깝다. 아니 법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려는 시대에도 법은 힘센 자에겐 한없이 관대하고 힘없는 사람에겐 거대한 힘으로 다가온다. 이게 현실이다. 이런 현실을 소설이 감추려고 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고 현실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서도 안 된다. 그러면 소설이 무슨 필요가 있나? 그냥 사건 기사를 쓰면 되지. 아니면 르포르타쥬라고 하는 형식으로 글을 쓰면 된다.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리얼리즘이라는 이름으로 말하기도 하지만, 리얼리즘 소설에서도 있는 그대로의 현실만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소설은 소설이라는 장치를 통해서 현실을 보여준다.


그런 장치들이 없을 때 소설은 소설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지금처럼 권선징악을 쉽게 말할 수 없는 시대에 소설은 어떻게 쓰여야 하나? 그런 생각을 한다.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표현한다면 누구도 읽으려 하지 않을 것이다.


현실도 팍팍한데, 소설까지 그렇게 팍팍하다면 누가 읽겠는가? 그러니 소설은 여러 장치들이 필요하다. 이 소설집, [저주토끼]는 바로 이렇게 팍팍한 현실을 소설 장치들을 통해서 잘 보여주고 있다.


복수가 성공해도 시원하지가 않다. 다른 불행이 따른다. 친구를 위해서 저주를 걸어둔 저주토끼를 만든 할아버지. 저주토끼는 성공하지만, 할아버지 역시 저주의 업보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저주는 받는 사람에게만 걸리지 않는다. 거는 사람도 걸린다.


물고 물리는 사회에서 어떻게 한쪽이 일방적으로 성공할 수가 있겠는가? 그것은 기계와의 관계에도 적용이 된다. 소설에'안녕, 내 사랑'이라는 소설을 보면 자신이 만든 첫로봇과의 기억을 영원히 기억하고 싶어하는 사람, 그리고 로봇에 저장되어 있는 기억들을 계속해서 저장하는 새로운 로봇들.


쓸모없어진 로봇을 폐기하려고 할 때, 로봇들이 인간을 해치고 사라지는 모습. 결국 일방은 없다. '머리'라는 소설은 그래서 더욱 섬뜩하다. 자신의 배설물이 만든 존재가 결국 자신을 배설물의 자리로 돌려보낸다는 설정.


여기서 환경오염을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생각하지 않더라도 내가 알게모르게 누군가에게 해를 끼쳤을 수도 있고, 그 업보를 받을 수도 있다는 쪽으로 생각해도 된다. 잘못을 바로잡지 않았을 때 그 잘못이 점점 더 걷잡을 수 없이 커져가는 모습을 '덫'에서 만날 수 있다.


환상적이고, 기괴한 설정으로 소설을 이끌어가지만, 그런 소설적 장치들을 통해서 무어라 설명하기 힘든 삶의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 삶을 힘들게 하는 존재가 괴물이라는 단 하나의 존재가 아니라는 사실. '그가 원했던 것은 복수가 아니었다. 최소한 이런 복수는 원하지 않았다. 다만 그는 마을 전체가 '그것'의 존재에 기대어 생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몰랐을 뿐이다.' (229쪽. '흉터'에서)는 서술처럼 그런 괴물을 우리 모두가 함께 만들고 있다는 사실을 생각하게 하는 '흉터'란 소설. 그리고 인간이 자신의 욕심으로 파탄에 이르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즐거운 나의 집'이나 '바람과 모래의 지배자'라는 소설.


읽으면서 기괴하다는 생각. 이렇게 행복한 결말하고 먼 소설이 있을까 하는 생각. 그렇지만 흥미진진하게 읽히는 소설. 읽고나서 자꾸만 전혀 현실성이 없는 소설들임에도 (변기에서 머리가 나온다든지, 귀신이나 유령이 나타나고 보인다든지, 여우의 몸에서 금이 나온다든지 등등) 현실을 생각하게 하고 있는 소설집이다.


이런 느낌, 작가의 말에서 그래서 그랬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작가의 말이 아마도 이 소설집을 읽고 난 느낌을 가장 잘 대변하고 있겠다는 생각을 한다. 작가와 독자는 엄연히 다르게 소설을 읽을 수 있음을 알고는 있지만.


'원래 세상은 쓸쓸한 곳이고 모든 존재는 혼자이며 사필귀정이나 권선징악 혹은 복수는 경우에 따라 반드시 필요할지 모르지만 그렇게 필요한 일을 완수한 뒤에도 세상은 여전히 쓸쓸하고 인간은 여전히 외로우며 이 사실은 영원히 변하지 않는다는 얘기를 하고 싶었다. 그렇게 쓸쓸하고 외로운 방식을 통해서, 낯설고 사나운 세상에서 혼자 제각각 고군분투하는 쓸쓸하고 외로운 독자에게 위안이 되고 싶었다.

 그것이 조그만 희망이다.' (326쪽. 작가의 말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