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요, 그 말이 어때서요? - 나도 모르게 쓰는 차별의 언어 ㅣ 왜요?
김청연 지음, 김예지 그림 / 동녘 / 2019년 10월
평점 :
말은 상대와 나를 잇는 역할을 하기도 하고, 끊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말은 상대에게 힘을 주기도 하고, 힘을 빼기도 한다. 상대를 격려하기도 하고, 좌절하게 하기도 한다. 말은 살림의 말이 될 수도 죽임의 말이 될 수도 있다. 말은 붕대가 될 수도 있고, 칼이 될 수도 있다.
그만큼 말은 중요하다. 중요한 말임에도 양면성을 지니고 있어서,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상대에게 다르게 다가간다. 상대에게만이 아니다. 나에게도 다르게 다가온다. 그래서 말은 중요하다. 잘 말해야 한다.
그런데 가끔 주변에서 들리는 말들 가운데 사람의 마음을 후벼파는 말들이 있다. 상처를 주는 말들. 다시는 듣고 싶지 않은 말들. 오로지 자신만을 위한 말들이 있다. 그런 말들은 그래도 사람들이 쉽게 인식한다. 그 말이 잘못되었음을 알고 쓰지 못하도록 막을 수가 있다.
문제는 자주 쓰는 말이라서 별다른 생각없이 쓰는 남에게 상처주는 말들이다. 심지어는 언론에서도 그 말들이 쓰이고 있어서 남들도 다 쓰는데 뭐가 문제야 하는 식이 되기도 한다. 이 책 제목처럼.
이 책은 그렇게 자주 쓰이는 말 중에서 차별을 담고 있는 말을 다루고 있다. 다른 말로 바꿔 쓸 수 있으니 사용하지 않거나, 바꿔쓰면 좋은 말들에 대한 이야기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책으로 청소년에 관한 말부터 시작한다. 급식충... 사람을 벌레에 비유하면 듣는 사람 기분이 좋을 리가 없다. 그런데 많은 말들에 이 벌레 '충'자가 붙는다. 남들을 비하하는 말로.
중고등학생을 급식충이라고 하고, 대학에 지역균형발전전형으로 들어온 학생을 지균충이라고 하고, 한국 남자를 비하하는 말로 한남충이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고 하니... 이건 누가 봐도 문제가 있다고 느낄 수 있다.
그런데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 실린 이 말... '지방대 출신으로 대기업 입사'
어디서 많이 본 구절 아닌가. 여기서 무엇이 문제인가? 문제는 '지방대'에 있다. 예전에 표준어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서울말이 표준어이니 다른 지역 말들은 표준어가 되지 못한 불완전한 말들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고.
각 지방의 말들 중에, 그러니까 서울이라는 지방의 말을 표준으로 삼아 맞춤법을 정리했을 뿐이라고, 말들에는 위계가 없다고... 이 말을 대학에 적용하면 각 지방에 대학이 있는 셈이니, 소위 명문대라고 하는 대학들도 지방대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지방대 출신이라는 표현은 서울을 중심에 놓고 다른 지역을 아래로 보는 차별이 작동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모든 대학은 지방대다. 이런 생각을 지닌다면 위에 쓴 말을 쓰지는 못하겠지.
이런 예는 많이 생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호칭을 고칠 필요가 있고.
'일상생활을 하다 보면 참 다양한 직업인들을 만날 수 있지. 그런데 직업인에 따라 누구한테는 '선생님' 또는 '님'이라는 말을 붙여 부르고, 누구한테는 '아저씨' '아줌마' 심지어 '어이' '여기'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어. 의사한테는 '선생님'이라는 말을 붙여 부르면서 소방관한테는 '아저씨'라는 말을 붙여 부르는 게 대표적인 예지.' (45쪽)
이런 호칭까지는 생각해 보지 않았다. 그냥 생활에서 쓰고 있었을 뿐이다. 그런데 이 책을 읽다보니, 왜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면서 직업에 따라서 다르게 부르지 하는 생각. 그 말들이 은연 중에 차별로 이어지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 의사에게는 늘 의사선생님이라고 하면서 경찰, 소방관과 같이 우리들 삶을 다른 방향에서 살리는 사람들에게는 아저씨 또는 그냥 '-님'(이 경우도 많지는 않지만)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이 경우 말은 사람들을 잇는 역할을 하기보다는 끊는 역할을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한다. 직업이 말을 통해 은연 중에 구분되고 있는, 그래서 알게 모르게 직업의 귀천이 마음 속에 자리잡게 되지 않았나 싶은 생각이 든다.
이렇게 이 책에서는 별다른 문제 의식 없이 쓰는 말들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그 말들이 왜 문제인지를 차근차근 설명해주고 있어서 받아들이기가 쉽다. 말, 한 번 나오면 다시 담기 힘드니, 잘 생각하고 내보내야겠다.
다른 사람의 귀를 통해서 마음까지 닿는 것이 말이라고 하는데, 그 말이 다른 사람을 다치게 해서는 안 되지 않겠는가.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청소년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읽고 생각해야 할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물론 읽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생활에서 실천해야 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