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살아 낸 희망은 불구가 아니었으므로' ('대입 면접'에서. 124쪽)


  시집 한 권이 하나의 이야기다. 한 편의 삶이다. 학창시절을 살아낸 사람의 이야기. 


  읽으면서 가슴이 찡한 장면이 한둘이 아니다. 그랬다. 학생으로 살아간다는 일도 힘든 일인데, 장애를 지닌 학생으로, 그것도 가난한 집안 형편인 학생의 이야기. 그렇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자신이 할 말은 다하는 학생의 이야기.


  시집 전체로 보면 주인공은 저시력 장애를 지닌 학생이다. 시집을 읽다보면 저시력 장애를 지닌 학생은 남학생이다. 그는 교과서를 잘 읽을 수가 없다. 그렇다고 완전히 시력을 상실하지도 않았다. 이런 상태라서 남들에게 오해를 받을 수도 있다.


특히 교사들에게...'너 이 자식, 일부러 안 보이는 척하는 거 아니야?'('선생님, 꼭 안과에 가 보세요' 중에서. 17쪽), '그림이 이게 뭐니 / 나뭇잎은 이런 색이 아니야 / 줄기도 그렇고 / 이렇게 얼룩덜룩하게 그리면 어떡하니'('색약' 중에서. 31쪽) 라고 말하는 교사들.


학생 한명 한명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 알고 이해하고 배려해주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교사라면 당연히 지녀야 할 자세를 지니지 않은 교사들이 이 시집에 등장한다.


장애인이기 때문에 대학을 아예 포기하라고 엄마에게 말하는 교사. 세상에, 아직도 이런 교사가 있나? 시적 효과를 강조하기 위해서 그런 교사들을 등장시켰다고 하더라도, 학생을 성추행하는 교사까지 등장하는 이 시집에서, 교사들이 읽으면 아마도 분노하리라. 


그런 교사들이 어디 있냐고 하면서. 하지만 여전히 그런 교사들에 대한 이야기가 심심치 않게 나오는 것을 보면 교사들 사회를 흐리는 미꾸라지 교사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그런 미꾸라지 교사들이 물을 흐리지 않게 교사들이 먼저 행동해야 하고.


저시력 장애를 지닌 이 아이는 뇌전증을 앓는 아이를 도와주기도 하고, 또 성추행을 당하는 아이를 도와주기도 한다. 그렇다. 이들은 그렇게 우정을 쌓아간다. 비록 상황은 힘겨울지라도 그들은 이미 세상에 맞설 마음을 지니고 있다.


서로가 서로를 돕는, 뇌전증을 앓는 진솔이는 성추행을 당하는 소미를 도와주고, 뇌전증이라고 진솔이를 뒤에서 헐뜯는 아이들에게 소미는 진솔이는 그런 아이가 아니라고 옹호하고, 성적이 많이 오른 화자를 커닝했다고 수군거리는 아이들에게 '눈이 나쁜 친구가 시험을 잘 봤으면 / 대단하다고 해야지 / 커닝했다고 수군거리는 게 잘하는 거라고 생각하냐 / 너희들 저런 시력으로 커닝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 한번 해 봐 / 말이 되는지'('커닝이라니' 중에서. 115-116쪽)라고 하는 진수.


이렇게 서로를 돕는 친구들. 그러니 시의 화자에게 희망은 불구가 아닐 수밖에 없다. 그런 희망으로 이들은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다.


이런 그들을 응원하는 일, 우리 몫이다. 시집 전체가 한 편의 이야기를 입학부터 졸업까지 아우르고 있어서 어느 시 한 편을 인용하기가 힘들다. 그럼에도 이 시집의 첫번째, '입학식'에서 아직은 밑바닥에 있지만 포기하지 않고 수면으로 떠오르겠다는 의지를 읽을 수 있다.


     입학식


교문에서 중앙 현관까지 계단 없음

중앙 현관에는 계단이 넷

오르면 일 층이다

건물은 총 오 층이라는데


일 층에서 반 층 내려가 후문으로 가는 문

그 아래 계단이 반 개

하나 같지 않은 얕은 계단이라

반 개


나는 중심을 잃고 휘청한다

고개를 낮추고 인사를 나눈다


이제 괜찮다 두려울 것 없다

오늘은 이렇게 낯설어도

계단 수를 외우면

건물은 친구가 된다


입학이다.


김학중, 포기를 모르는 잠수함. 창비교육. 2020년. 10-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