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호를 읽으면서 편견에 대해 생각했다. 편견은 곧 가짜뉴스가 판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내 생각과 다른 생각을 들을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람들의 선택은 이미 결정되어 있었다'(43쪽)고 가짜 뉴스에 관한 글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선택은 이미 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선택을 강화하는 쪽의 글들을 읽는다. 자기 생각을 더 강하게 만든다. 그래, 그랬지 하면서. 


  이렇게 자신의 생각을 강화하면서, 다른 생각은 아예 듣질 않으려고 한다. 듣고, 잘못을 이야기하지 않고, 또는 비판적으로 판단하지 않고, 귀를 닫고 만다. 


  닫힌 귀... 이런 닫힌 귀들이 많은 세상에선 가짜 뉴스가 판치게 된다. '가짜뉴스는 가짜라서 성공하는 게 아니다. 뉴스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을 때만 성공하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가 믿고 싶은 것은 그대로 받아들인다. 나쁘다고 생각하는 사람 혹은 세력에 대한 나쁜 뉴스는 필터링 없이 받아들인다.' (43쪽)


남 이야기 같은가? 아니다. 바로 우리 얘기다. 우리는 우리의 필요에 맞는 이야기는 잘 받아들이면서도 우리의 필요와 거리가 먼 이야기는 들으려고도 하지 않는다. 귀가 두 개인데, 이상하게도 한 쪽 귀만 있는 듯이 행동한다.


그러니 말과 말이 부딪혀 진실로 향하지 않고, 한쪽 말이 아예 나오지 못하게 막는다. 일방적이다. 그러니 가짜뉴스가 활동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만들어진다.


[빅이슈]를 읽는 이유는 어쩌면 이러한 편견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에서일지도 모른다. 내가 평소에 만나지 못했던 세계를 [빅이슈]를 통해서 만나게 되니까.


다양한 사람들의 모습을, 연예인처럼 화려한 세계에서 활동하는 사람들과 빅이슈판매원처럼 결코 화려하다고 할 수 없는 삶을 함께 만날 수 있으니까.


고급스러운 음식에 대한 소개도 만날 수 있고, 하루 한끼 먹고 살기 힘든 사람들은 노숙인들을 만날 수도 있으니까. 또 환경을 생각하며 여행을 하는 사람들도 만날 수 있고, 자기 분야에서 최선을 다해 살아가는 사람들을 만날 수 있으니까.


이렇게 [빅이슈]는 한쪽에 치우치지 않아서 좋다. 다양한 삶들을 만날 수 있고, 다양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어서 좋다. 이렇게 [빅이슈]와 같은 역할을 하는 매체들이 많아진다면 가짜뉴스가 설 자리는 점점 줄어들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