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이 공식적으로 종료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밖에 나가보면 팬데믹이 끝났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바깥에서는 마스크 착용이 의무가 아니니, 이제는 거리에서도 마스크를 벗고 다니는 사람이 제법 보인다.


  스포츠 경기장에는 관중들이 들어섰고, 학교는 모두 등교수업을 한다. 또한 시위도 일어나고 있다. 


  소위 먹자골목이라는 곳에 가보면 길거리마다 사람들로 넘쳐난다. 음식을 앞에 두고 도란거리는 수많은 사람들.


그러나 과연 팬데믹이 끝났는가? 사람들이 모두 일상으로 돌아왔을까?


빅이슈 이번 호를 읽으면서 팬데믹이 끝난 것처럼 행동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여전히 팬데믹에 갇혀 있는 사람들도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


사회에 처한 위치에 따라서 감염병 시대를 맞이하는 방식이 달라지고, 또 피해도 달라지는데... 아직 팬데믹에서 벗어나지 못한 사람들도 있음을 생각해야 한다.


이번 호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나온다. 이런 다양성, 빅이슈의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빅이슈는 사회적 약자만을 다루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사회적 강자들을 다루지도 않는다. 그냥 우리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을 다루고 있을 뿐이다.


사람들을 나누지 않는다. 그들이 어떤 상황에 있건 사람이라는 공통점을 먼저 본다. 사람으로서 사람을 대한다. 쉽다고 생각하지만 쉽지 않은 일.


우리는 사람을 만날 때 사람보다는 먼저 그가 처해 있는 위치, 또는 그의 특징을 먼저 보는 경향이 있다. 사람이라는 보편성은 그 개별성 속에 숨어버리기도 한다.


하지만 빅이슈는 사람이라는 보편성을 먼저 본다. 보편성 속에서 각자 지니고 있는 개별성을 이야기한다. 그러니 빅이슈에서는 차별이 있을 수 없다. 차이는 있을지언정.


차이가 없다면 다양성이 없을테니, 다양성이란 우리 삶을 풍부하게 해주는 요소 아니던가. 그러니 빅이슈에 실린 글들, 또 나오는 사람들이 지닌 다양성은 빅이슈를 만나는 사람들 삶을 풍요롭게 해준다.


이번 호에 표지 인물로 나오는 정은혜 작가부터 서점과 인쇄소를 운영하는 사람, 전직 공무원, 아이를 키우는 워킹 맘, 성우, 또 퇴직하고 제주도를 걷기 여행한 사람, 그리고 칸 영화제를 취재한 기자까지, 참으로 다양하다.


읽을거리도 다양하고... 이런 다양성, 보편성을 잃지 않은 다양성 때문에 팬데믹 이후에 빅이슈를 판매하는 빅판들도 팬데믹이 종식되었다는 것을 몸으로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들이 길거리에서 더 많은 사람들을 빅이슈를 매개로 만날 수 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