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홍 시를 읽으면 마음이 따뜻해진다. 어려운 말이 없어서, 또 우리 생활에서 느끼는 점들이 시로 표현되어 있어서 쉽게 읽을 수 있고, 읽으면서 우리 생활을 돌아볼 수 있어서 좋다.


  시골에 살면서 농부시인으로 살아가는 시인.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고 있는 모습이, 또 그런 사람들이 시 속에 등장한다.


  내가 시골로 가서 자연과 더불어 살지 못하고 있지만, 서정홍 시를 통해서 자연을 만나고, 자연을 닮은 사람들을 만나 내 마음 속에도 어느덧 자연이 들어서게 된다.


  시를 읽는 기쁨. 시를 읽는 순간 시에 몰입하게 되고, 시를 통해서 마음에 따스한 기운이 돌게 된다.


시인은 '슬플 때는 슬픈 노래를 부르고, 기쁠 때는 기쁜 노래를 부르듯이 시가 노래가 되면 좋겠어요. 문득문득 까닭도 없이 친구가 그립듯이, 시가 친구처럼 그리워지면 좋겠어요.'(110쪽. 시인의 말)라고 하고 있다.


또한 '이 시집을 읽으면서, 우리가 바쁘다는 핑계로 잊고 지냈던 소중한 '그 무엇'을 만날 수 있으면 좋겠어요'(111쪽. 시인의 말)라고 하고 있다. 


그렇다. 시를 통해서 잊고 있었던 무엇을 떠올린다면 그 순간이 바로 행복이리라. 한편 한편의 시가 좋아 시집 어느 쪽을 펼쳐 읽어도 좋다. 그 중에 '못난이 철학'이라는 제목이 붙은 시 중에서 2편을 보자.


     못난이 철학 2


사람들과 다투지 않는 사람은

욕심이 없는 사람입니다.


사람들과 가끔 다투는 사람은

욕심이 가끔 찾아오는 사람입니다.


사람들과 자주 다투는 사람은

욕심이 자주 찾아오는 사람입니다.


서정홍, 감자가 맛있는 까닭. 창비교육. 2019년 초판 2쇄. 80쪽.


철학을 어렵게만 여길 필요가 없다. 어려운 용어를 쓴다고 철학이 아니다. 우리 삶에서 필요한 지혜가 들어있으면 그것이 바로 철학이다.


얼마나 단순한가? 자신의 삶을 들여다보면 된다. 나는 남들과 다투고 있는가? 남들과 다투는 모습을 통해 자신을 보게 되는 일. 다른 사람이 바로 자신의 거울이 된다는 진리를 이렇게 시로 표현했다.


못난이 철학이 아니라, 바로 삶의 지혜고, 우리가 살아가야 할 방편이다. 이 시를 통해서 그렇게 삶을 모습을 생각해 본다.


시인이 말한 '그 무엇'이 이런 식으로 내게 다가왔다. 시를 읽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해준 시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