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 제목을 봤을 때 착각을 했다. 쥐와 굴이라고 하니 쥐가 사는 장소를 뜻하는 굴인줄 알았다. 그런데 시를 읽어보니 그런 동굴할 때 굴이 아니라 먹는 굴을 말하고 있다. 쥐와 먹는 굴이라니...
카프카가 쓴 소설 중에 굴이 있는데, 그렇게 자기만의 공간을 만들어가는 존재를 시로 썼다고 생각했다가, 이게 아니네 하는 생각을 했으니...
왜 쥐와 굴이 함께 나오지? 쥐가 못 먹는 음식이 없다고 하지만, 굴을 잘 먹던가? 굴을 구하기는 쉽지 않을텐데... 사람들도 굴을 자주, 많이 먹지는 않으니...
시에는 쥐와 노인이 주로 나온다. 이 시집에서 쥐를 다루면서 도시, 집, 방, 그리고 노인을 다루고 있다. 오히려 시집 제목이 쥐와 굴이 아니라 쥐와 노인이라고 하면 더 좋지 않았을까?
그럼 읽는 독자는 현대를 살아가는 소외된 존재를 표현한 시라고 쉽게 생각할텐데... 시인은 이렇게 쉽게 생각하기를 멈추라고, 더 생각해 보라고 하는지도 모른다.
쥐는 도시와 집, 방에서 쫓아내야 할 존재... 그래서 다른 사람에게 보이지 않는 곳에서 활동할 수밖에 없는 존재. 자신의 먹이를 남에게 의존해야 하는 존재. 그런 존재다. 있어도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존재.
노인도 그렇게 변해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초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노인문제가 대두하고 있는데, 그들을 우리와 같이 살아가는 존재,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 존재라기보다는 짐이 되는 존재로 여기고 있지 않나.
그런 노인들에게 무릎은 자신이 힘이 없어졌음을 상징하는 존재 아니겠는가? 시인은 '쥐와 굴'이란 시에서 '쇠고리에 걸어둘 / 한 솥 뼈만 남은 / 노인이여 / 공기처럼 소파 위에 얹어놓은 / 무릎이여'(11쪽)라고 표현하고 있다. 노인은 스스로 움직이기 힘든 상태.
그러면서 '어른이 된다는 건 자기 손으로 수염을 쓰다듬는 일' (12쪽)이라고 표현한다. 자기 스스로 자신을 돌볼 줄 아는 존재, 그런 존재가 어른이다.
이와 더불어 시인은 '쥐와 노인'(58-59쪽)이라는 시에서 어떤 노인을 원하는지를 말하고 있다. 기존 통념과는 좀 다른. '이봐, 노인 / 늦잠을 자는 노인은 없나? 열 시 열한 시까지 자는 노인 / 나는 그런 노인이 될 거다' (58쪽)고 하고 있으니... 노인이라고 자신만의 삶이 왜 없겠는가.
'무릎과 발목, 심장이나 얼굴이 / 굴처럼 생긴' (13쪽)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 표현에서 굴처럼이란 말을 생김새가 아니라 '유연한'이라고 읽으면 경직됨이 죽음과 가깝다면 유연함은 삶과 가까우니 쥐와 노인에게 삶을 살아가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자기의 삶을 살아가야 하는 존재, 그런 존재는 무릎을 세우고 사는 존재가 아닐까 한다. 있어도 없는 것처럼 여겨지는 존재지만, 이들은 엄연히 존재한다. 그리고 자신의 삶을 살아간다.
'쥐와 굴'에서 마지막 구절, '쥐는 무릎을 완성한다'(14쪽)고 하고 있으니... 무릎을 완성한다는 말은 자신의 의지로 꿇을 수도 (초자연적인 존재에게) 있고, 무릎을 펴고 일어나 걸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이제 무릎은 그냥 공기처럼 소파 위에 얹어놓은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의지로 꿇을 수도 펴고 걸을 수도 있는 존재인 것이다. 현대 일상에 치여 살아가는 우리들, 어쩌면 이렇게 무릎을 완성하지 못한 존재들일지도 모른다.
자신의 무릎을 완성하고 자기 의지로 살아가야 함을 이 시를 통해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