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차별의 언어
장한업 지음 / 아날로그(글담) / 2018년 10월
평점 :
'언어는 존재의 집'이라는 말을 실감나게 하는 책이다. 무심코 사용하는 말이 차별을 만들어낼 때가 있다. 그래서 말이 칼이 되기도 한다.
조심해야 하는데, 어릴 때부터 몸에 익은 말들이 쉽게 떨어져 나가지는 않는다. 의식하지 않는 순간에도 그 말은 밖으로 나가버리고 만다.
이 책에서는 그런 말들을 다뤄주고 있다.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는 말들이 차별을 하고 있음을 깨닫게 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우리'라는 말이다. '우리'라는 말을 얼마나 자주 쓰는가? 하다못해 우리 아내, 우리 남편이라고까지 하니, '우리'란 말은 의식 깊은 곳에 박혀 있어서 빼내기가 힘들다.
그런데 우리라는 말이 배타적일 수 있다는 사실. 우리는 우리 안에 속한 사람들에게는 동질감을 느끼지만, 우리 밖에 있는 사람들을 밀어내고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이 단순한 언어 속에서 느끼게 된다.
우리가 울타리를 의미한다면 포함과 배제를 하는 말인데, 포함되는 존재들 말고는 배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울타리다. 그러니 우리라는 말에는 배제가 이미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고, 배제된 존재들에 대해서 우리 안에 있는 사람들과는 다르다는 생각을 하고 다르게 대우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국민'이라는 말도 여기에 해당한다. 국민이라는 말이 무슨 문제일까 싶지만 '국민 배우, 국민 여동생' 등등 이런 말은 국가주의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고 한다. 국민이라는 말도 우리란 말처럼 어쩌면 경계를 긋는 그런 말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해야 한다고. 국민보다는 시민이라는 말을 먼저 쓸 수 있어야 한다고.
단일민족이라는 말이야 많은 저자들이 지적하고 있는 사항이니 더 긴말이 필요없지만, 얼핏 좋은 의미로 들리는 다문화교육이라는 말도 문제가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다문화라는 말을 쓰면서 한국문화는 다문화에 속하지 않는 것처럼 말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다문화교육에는 세계 각국의 문화와 더불어 한국 문화도 포함되어 교육해야 하는데, 과연 그런지... 다문화교육이라고 하면서 외국의 문화를 이해해야 하고 그들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식으로 접근하지는 않았는지... 차라리 국제이해교육이라고 하자고 말하고 있는데... 생각해 볼 만한 일이다.
여기에 마음에 와닿는 말이 있었는데, 그것은 '스파게티와 쌀국수'다. 왜 이탈리아 국수는 스팍게티라고 그 나라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베트남 국수인 퍼는 '퍼'라는 말을 쓰지 않고 '쌀국수'라고 하는지 생각해 보라는 말.
그래, 왜 그러지... 여기에 문화적인 또는 나라에 따른 차별이 은연중에 반영되지 않았나 돌아보게 된다.
이 책은 이렇게 많은 면에서 잠재되어 있는 차별의식을 드러내주고 있다. 우리가 의식하지 않고 쓰는 말들이 다른 사람에게는 칼이 될 수도 있음을... 그래서 더 조심해야 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