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한 시대를 풍미했던 시인이었다. 그의 시는 독재시대에 민주주의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힘을 주고 희망을 주었다.


  금서로 지정이 되어도 사람들은 그의 시를 찾아 읽었으며, 시에 곡을 붙여 노래로 부르기도 했다.


  전세계 문인들이 그를 석방하라고, 그의 사형에 반대해서 서명을 하기도 했다.


  그는 [토지]를 쓴 작가 박경리의 사위이기도 했지만, 김지하란 이름만으로도 시대를 대표하는 시인이었다.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사람들에게 그의 시는 통쾌함으로 다가왔고, 그의 풍자시 '오적'은 그리도 신랄할 수가 없었다.


독재로 막힌 가슴을 뻥 뚫어주는 시들... 그렇게 그는 70년대, 80년대 참여시를 대표하는 시인이었다. 87민주화운동 이후 그는 생명운동에 참여했다.


  생명운동, 생태사상. 그런 그를 비판할 수는 없다. 다만, 그는 90년대에 죽음의 굿판을 걷어치우라고 외쳤다. 이때 사람들은 김지하가 변했다고 많이들 떠나갔다.


  생명을 중시하기에 스스로 목숨을 끊을 수밖에 없던 사람들. 90년대도 형식적 민주주의는 어느 정도 갖춰졌을지 몰라도, 실질적인 민주주의는 아직도 먼 시대였다.


  그런 민주주의를 위해서 목숨을 버릴 수밖에 없던 사람들이 있었다. 그 점을 이해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이렇게 시대에 따라서 김지하에 대한 평가는 달라진다. 그러나 김지하란 사람이 독재시대에 시를 통해 우리들이 포기하지 않게 했던 점은 인정해야 한다.


그렇게 그는 한 시대를 풍미했던 시인이었다. 그런 그가 이제 세상을 떴다. 그가 간 세상에는 그의 시 '오적'에 나오는 그런 오적들이 없기를... 이제는 그곳에서 평안을 누리기를...


삼가 김지하 시인의 명복을 빕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