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니야, 우리가 미안하다 - 따뜻한 신념으로 일군 작은 기적, 천종호 판사의 소년재판 이야기
천종호 지음 / 우리학교 / 2013년 2월
평점 :
'따뜻한 신념으로 일군 작은 기적'이라는 말이 책 표지에 나와 있다. 따뜻한 신념... 좋다. 그러나 누가 가지고 있는 따뜻한 신념인가? 소년범으로 재판정에 나선 아이들을 재판하는 판사... 그의 신념은 법에 따라, 양심에 따라 판결을 내리는 일. 이런 판결에 앞서야 하는 일은 소년들이 다시 사회에 나가 자신의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 일.
그러니 여기서 따뜻한 신념이란 법대로가 아니라 소년을 위한 판결이란 뜻을 지니고 있고, 작은 기적이라는 말은 그런 판결에 따라 나름대로 삶의 방향을 찾아가는 소년들이(이때 소년은 성별의 개념이 아니라 성인이 되지 않은 나이 대의 사람들이란 뜻이다) 있다는 뜻이다.
그러한 소년들이 있다는 말은 그렇지 못한 소년들도 있다는 말이고, 따라서 그냥 기적이 아니라 작은 기적이다. 작은 기적이라고 해도 기적은 기적이다. 기대하지 않았던 일이 일어났을 때 우리는 기적이라는 말을 하는데...
어렸을 때 사고를 치는 아이들을 보면 예전 어른들은 아이 때는 그럴 수도 있지, 그것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존재가 바로 어른이지라고 하면서, 마을 전체가 또는 어른들이 아이들이 인생을 잘 살아가도록 길잡이 역할을 해주곤 했다.
하지만 이젠 그런 어른이 사라진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아이들은 어른이라는 말보다는 꼰대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한다. 왜? 말과 행동이 다르기 때문.
이런 어른들을 보면서 그들 역시 안 걸리면 돼 또는 나만 잘살면 돼 이런 생각을 은연중에 지니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이런 생각들이 행동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그들의 행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모범이 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어른들이 없었을 때 더 많이 나타난다.
아이 때는 여라 가지 일을 시도하고 해서는 안 될 일이라는 생각을 못해서, 또는 충동적으로 할 수도 있다. 인간의 역사에서 그런 경우는 많았고... 하지만 제대로 살아가는 어른이 있다면 그런 일은 순간의 충동으로, 일탈로 끝나게 되는데...
어른이 없는 사회에서는 일회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되며, 성인이 되어서도 그 세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이들이 자신의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이 안 되기 때문이다.
이때 판사는 법대로만이 아니라 이들 소년들을 우선하면서 그들이 어떻게 하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까? 이들이 저지른 일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단발성으로 끝나게 할 수 있을까 고민해야 한다.
죄에 합당한, 비행에 합당한 징벌을 내리기보다는 앞으로 나아질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일. 그것이 어른이 해야 할 일이고, 법관이 해야 할 일이다. 그리고 여기에 그런 일을 한 판사가 있다. 천종호 판사.
법의 잣대로만 판단하지 않고 아이들을 중심에 놓고 판결을 내린 사람. 판결을 내린 뒤에 끝났다고 생각하지 않고 아이들을 찾아가고 만나고 그 아이들이 어떻게 지내는지를 살피는 판사.
이런 판사가 있었기에 작은 기적이 일어날 수 있었다고 본다. 판사의 진심을 알게 되는 아이들이 있고, 자신의 생활을 반성하고 더 나은 생활을 하려고 노력하는 아이들이 나오게 된다. 물론 여기엔 판사 혼자만이 아니라 청소년을 위한 상담센터부터 시작해서 이들에게 가정 역할을 하는 단체까지 다 함께 하고 있다.
이렇게 사회가 모두 함께 해야 소년들이 변할 수 있다. 그것도 모두가 아니지만 변할 가능성이 늘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출발해야 한다. 이런 일을 판사만이 해야 할까? 아니다. 우리 어른들이 모두 함께 해야 한다. 오죽하면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온마을이 필요하다고 했겠는가. 그러니 미안해 해야 할 대상은 우리 어른들 모두다. 그래서 책 제목에 '우리가 미안하다'는 말이 들어갔다.
그때 우리는 어른들이다. 그런데 미안해 하는 사람들도 정해져 있다는 사실. 이들은 이런 문제를 일으킨 소년들을 직접 만나는 사람들이다. 왜 이들이 더 미안해 해야 하는지... 오히려 미안해 해야 할 대상은 우리 사회에서 소년 범죄 또는 소년 비행을 저지르는 존재들이 나올 수밖에 없는 사회 환경을 개선하지 못하는 정치인들이어야 한다.
그들이 먼저 우리들이 정치를 잘못했다. 이제 바른 정치를 하겠다고 사과해야 한다. 아이들에게 이들 정치인들이 미안해하고 사과해야 한다. 그 다음에 아이들과 관련이 있는 사람들이 함께 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작은 기적이 아니라 더 큰 기적을 이룰 수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판사 개개인의 노력, 이와 더불어 청소년과 관계있는 사람들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기본적으로 사회가 변해야 한다는 사실. 그런 노력을 해야 하는 사람들이 정치인들이고 그들이 먼저 소위 비행청소년이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앞으로 더 나은 삶을 만들어갈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장소를 만들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 대해서 미안해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정치인들이 이렇게 소년들에게 미안한 마음을 지니고 그 미안함을 자신들의 정책을 통해 바꾸려 한다면 천종호라는 판사가 일군 작은 기적이 더 큰 기적으로 나아가리라는 생각을 한다.
이 책에는 가슴이 찡한 아이들의 이야기가 많이 실려 있어서, 비행청소년을 색안경을 끼고 바라보는 사람에게는 그런 색안경을 벗어버릴 수 있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