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서가 바뀌었다. 269호에 대한 이야기를 쓰기 전에 268호를 썼어야 하는데, 이상하게 268호를 늦게 받게 되었다. 그래도 늦게라도 보내주어서 너무 감사할 따름이다. 한 호 한 호 읽는 재미로 며칠을 보내기도 했으니, 중간에 이가 빠진 것처럼 한 호가 빠지면 무언가 어색하기 때문이다.


  이번 호에서는 옛것에 대한 매력을 느낄 수 있다. 영어로 말하면 빈티지라고 하고.


  무조건 새것을 추구하던 시대에서 이제는 옛것을 찾는 시대로 전환하고 있다. 옛것이라고 해서 무조건 좋다고 하는 말이 아니라, 옛것 중에서 쓸모 있는 물건이 많은데, 그냥 버려지는 일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아파트 단지 곳곳에, 또 주택가 근처 길거리에 보면 의류 수거함이 있다. 이곳에 자신들은 쓰지 않지만 누군가에게 쓸모가 있는 의류들을 집어넣으면 수거해 가서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환경도 생각하는 일이다.빈티지를 찾는 사람들이 많을수록 한번 쓰고 버려지는 물품들이 줄어들테니, 지구 입장에서도 빈티지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지금은 좋을 수밖에 없다.


빈티지라고 해서 낡았다고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유행은 돌고 돈다는 말도 있지 않은가. 예전 유행에 조금만 손봐서 현대 유행을 만들어내기도 하니, 빈티지 물품은 옛것에 머무르지 않고 새것을 창조해내기도 한다.


사는 사람도, 파는 사람도, 그리고 환경에도 좋은 일....그야말로 이번 호에서 '바야흐로 빈티지의 시대'라고 했으니, 온고지신(溫故知新-옛것을 익혀 새것을 알게 된다)이라는 말이 딱 어울리는 시대다. 


어쩌면 이런 빈티지에 대한 글과 함께 표지모델이 된 홍자가 잘 어울린다는 생각이 든다. 몇년 전에 미스트롯에서 자신의 존재를 알렸던 가수 아닌가. 무명 생활을 거쳐서 이제는 당당하게 자신을 드러낼 수 있는 가수, 홍자.


트로트가 한물 간 노래라고 했던 시대에서 미스 트롯, 미스터 트롯으로 다시 사람들이 즐겨 듣고 부르는 노래가 되었으니, 트롯도 역시 빈티지의 시대에 어울리는 노래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니 이번 호 내용인 빈티지와 표지모델인 홍자가 서로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홍자는 다른 사람들을 위해서 일을 많이 했다고 하니, 빅이슈의 취지와도 잘 맞고... 여러모로 이번 호에서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이 계속 다른 쓰임으로도 쓰여야 한다는 사실을 생각하게 한다.


이렇게 따스한 그런, 좀 늦었지만 빅이슈 268호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