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생명이 다했다고 해도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다. 사람은 사람에게 자신의 삶을 넘겨준다. 그래서 수많은 삶들이 계속 후대에 쌓이게 된다.


  우리가 알게 모르게, 어쩌면 의식하지 않아도 과거로부터 면면히 이어져왔던 삶들이 우리 삶에 덧씌워져 있게 된다.


  유전이라는 이름으로, 또는 후생유전이라는 이름으로, 아니면 전통이라는 이름으로, 그것도 아니면 무의식이라는 이름으로, 개인 유전자 단위를 넘어 리처드 도킨스가 말한 '밈(Meme)'으로까지 나아가게 된다. 


(리처드 도킨스, 이기적 유전자. 을유문화사.2007년 30주년 기념판 제5쇄. 330-349쪽을 읽어보면 '밈'에 관해서 알 수 있다)


나는 나로 살아가지만 이 나에는 수많은 다른 나들이 들어 있는 것. 그래서 나는 유일한 존재이기도 하지만, 그 유일성은 다른 존재들과 관계없다는 말이 아니라, 다른 존재들이 나라는 유일성에 들어와 있다는 말이 된다.


유병록 시집을 읽으며 그런 생각을 했다. 특히 '습관들'이라는 시를 보면 더 나에게는 과거 수많은 사람들의 삶이 들어 있음을 깨닫게 된다.


'태어나기 전부터 몸에 새겨진 습관은 / 내 몸에 살았던 타인의 흔적' (105쪽)라는 시구를 통해, 도킨스가 말한 '밈'이 작동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그래 나는 나대로 살아가지만, 그런 나에는 수많은 남들이 있음을, 그런 남들이 나에게로 와 세상에서 유일한 존재인 '나'를 만들었음을 인식해야 한다.


이런 '습관들'이란 시에서 '밈'을 인식할 수 있다면, 그렇게 과거 사람들로부터 '밈'이 형성되는 과정을 '사자死者의 서書'라는 시에서 만날 수 있다.


보이지 않는 그런 '밈'을 눈에 보이게 시인은 표현하고 있다. 좀 살벌한 시이기는 하지만, 이렇게 명확하게 '밈'을 보여주는 시도 드물다 싶은 생각이 든다.


 사자死者의 서書


거기에서는

죽은 자의 피부를 벗겨 가까운 사람들이 나눠 가진다더군

아끼는 책을 장정하고 이름을 새긴다더군


죽은 자는 책이 된다더군


아이가 태어나 글을 익히면

최근에 죽은 자의 피부로 감싼 책을 선물한다더군

그를 대부로 삼는다더군


거기에서는

몇권의 책을 장정하며 성인이 된다더군

결혼을 서약할 때는 책에 손을 얹고

여기 장엄한 생을 두고 맹세합니다, 말한다더군


때가 되면

가까운 사람들의 이름을 유언으로 남겨야 한다더군


거기에서

죽은 자는 몇권의 책이 된다더군

문자의 외투가 된다더군


늙어서 죽은 자는 지혜의 책이, 젊어서 죽은 자는

혁명의 책이 된다더군

아이가 죽으면 예언서가 된다더군


삶에 관한 의문이 드는 저녁에 쓰다듬는

한권의 책이 된다더군


유병록, 목숨이 두근거릴 때마다, 창비.2014년. 16-17쪽.


그러니 나보다 앞서 산 사람들은 모두 나에게 영향을 준다. 비록 그와 내가 직접 만나지 않았더라도 나는 그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다. 다시 '습관들'이란 시를 보면 시인은 '습관은 / 앞서 지나간 자들이 남긴 계율 / 나는 나를 번복하지 못한다' (105쪽)라고 표현하고 있다.


굳이 과학을, 도킨스의 이론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우리는 과거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 물론 그렇다고 과거에 그대로 종속되어 있지도 않지만.


사람이 저마다 유일한 존재인 이유는, 이러한 과거로부터 들여온 것들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살아가기 때문이다. 그렇게 나에게 수많은 책들이 있고, 그 책들을 통해서 나는 삶을 살아가고, 또 나 역시 나중에 그러한 책이 된다.


도킨스의 '밈'을 이보다 구체적으로, 사람의 육체로 표현해 낸 시가 있을까 싶다. 그래서 유병록의 이 시집 [목숨이 두근거릴 때마다]를 읽을 때 '습관들'과 '사자의 서'를 함께 읽으면서 도킨스의 '밈'을 생각해봐도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