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집은 사람에 대한 시집이다. 만나고 헤어지는 사람에 대한 시들.
사랑하고 미워하고 만나고 헤어지고, 하나였다가 둘이 되는 그런 사람들. 살다 죽는 사람들. 죽어서도 잊지 못하는 사람들. 잊힌 사람들.
그렇데 이 시집은 바로 사람에 대한 이야기다. 사람이란 무엇일까? 홀로 살아갈 수 없는 존재.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 존재. 그렇다고 다른 사람과 하나가 될 수는 없는 존재.
사람은 사람을 만나 함께 서지만, 그렇다고 다른 사람에게 자신을 완전히 맡겨서도 안 된다. 사람과 사람은 함께 하더라도 공간, 틈이 있다. 완전히 붙어 있지 않다. 그 틈이 바로 사람을 사람으로 존재하게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사람에게 휘둘리는, 자신을 잃은 사람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다. 한자어를 보자. 사람 인(人). 서로가 서로를 받치고 있지만, 결코 하나가 되지는 않는다. 자기 자리에 서서 상대를 만날 뿐이다. 이 공간, 이 사이, 이 틈이 바로 우리들이다. 그래서 우리는 함께 하되, 따로 가고, 따로 서 있되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다.
이사라 시집에 나온 사람에 관한 시들 중에 '사람들'이란 시가 있다.
사람들
사람이 아니라
사람'들'일 때
'들'에는 언제나 틈이 있다
사람들이 모여드는
광장
사람들은
함께 모여 하나이지만
뒤따라가는 사람이
앞선 사람을 잠시 놓치면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비바람이 일어
그 틈에서
보이지 않는 아픔이 자라는 것은 무언지
모든 '들'에는 틈이 있어
바람처럼 사람이 드나드는
사람들 틈에서
광장이 그래서 숨을 쉬나
이사라, 저녁이 쉽게 오는 사람에게. 문학동네. 2018년. 58쪽.
'그 틈에서 / 보이지 않는 아픔이 자라는 것은 무언지'라고 하지만, 그렇다. 다른 존재를 만날 때 순전한 기쁨만으로 만날 수 있을까? 가장 사랑하던 사람도 언제 기쁨만으로 만나지는 못한다. 만남을 통해서 우리는 가끔 벌어진 틈을 보게 되고, 그 틈을 통해 아픔을 느끼기도 하지만, 그 아픔으로 인해 더욱 굳건하게 함께 할 수가 있다.
그래 사람'들'은 틈이 있어야 한다. 그냥 하나로 뭉뚱그려지는 사람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함께 만나고 있는 그런 상태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