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만도 못한 놈'이라는 욕이 있었는데, 개 처지에는 이런 욕은 치욕이리라. 왜냐하면 자신들은 그냥 본성대로 살아가고 있을 뿐이니까. 아마도 개 입장에서는 '사람만도 못한 개'라는 말이 가장 심한 욕일수도 있겠다.
오로지 자신만이 제일 잘났다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인간. 다른 동물들이나 존재들은 모두 인간을 위해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듯이 살아가는 인간.
인간만의 지구가 아닌데도 마치 자신들이 독차지한 듯이 살아가는 인간. 그래서 지구가 파괴되어도 책임을 지지 않는, 세계 곳곳에서 멸종이 되고, 자연이 파괴되고 있음에도 인간은 여전히 성장, 성장, 개발, 개발을 외치고 있다.
아니 도대체 언제까지 성장하겠다고... 인간이 개발하는 만큼, 그들이 외치는 성장률만큼 지구가 늘어나기라도 한단 말인가? 지구는 분명 유한한데, 인간의 성장 욕구는 무한하니, 이 차이에서 벌어지는 지구 파괴... 그러니 자꾸만 본성을 잃고 인간에게 매여 살 수밖에 없는 동물들이 하는 가장 심한 욕은 '이런 인간만도 못한 것들'이라는 말 아닐까 싶다.
갑자기 이런 말이 생각난 이유는 유용주 시집을 읽다가 '개 두 마리'란 시를 만나고부터이다. 이 시 끝부분에 가기 전까지는 왜 제목이 개 두 마리인지 몰랐는데, 동음이의어를 활용한 비꼼이다. 우리 사회에 만연한 안 좋은 현상을 '견'이라는 말로 표현했는데, 이때 견은 보다는 의미의 한자어와 개라는 한자어의 발음이 같은 데서 왔다.
개한테는 미안하다. 그들이 이런 말을 들을 필요는 없는데, 예전부터 사람과 가장 가까이 살던 동물이니, 개라는 말을 좋지 않은 의미로 쓰고 있음을 너그럽게 양해해주었으면 한다.
개 두 마리
나는 부산에서 태어나 여섯 살 때까지 살았다 여름에 아버지 본적지로 이사했다 어머니 고향은 여수 바닷가이다 경상도 보리 문뎅이라고 야유했던 코찔찔이들이 금방 불알친구가 되었다 사춘기 시절에 식당 주방이나 공장, 시장에서 일을 할 때 물건이 없어지면 나를 지목했다 전라도 깽깽이라고 놀렸다 전라도 놈들은 의리가 없다고 흰소리해댔다 강릉 유가는 서울살이가 고달팠다 서울에서 18년, 군대 3년은 양평에서, 우여곡절 끝에 결혼한 다음, 서산에서 20년 넘게 살았다 서울 선배들은 자민 놈이 올라왔다고 놀렸다 아내는 충청남도 사람이었고 당연히 처가는 충청도 사투리를 썼다 큰집은 부산, 누나와 조카들은 40년 가까이 인천에서, 동생은 아이들과 수원에서 숨쉬고 있다 나는 아무런 잘못이 없었다 태어난 게 죄였다 우리 안의 편견과 선입견은 숨어 있다가 틈만 나면 튀어나온다 내 아이는 어디 출신인가
유용주, 서울은 왜 이렇게 추운 겨. 문학동네. 2018년. 32쪽.
이 시에 나오는 개 두 마리는 바로 '편견과 선입견'이다. 사람을 사람으로 보지 않고 출신지에 따라서 판단하는 나쁜 습성. 동물들은 적어도 이런 편견과 선입견은 가지고 있지 않을 것이다. 그러니 개 두 마리라는 표현은 개를 그렇게 보아서가 아니라, 우리가 습관적으로 썼던 비속어를 한자어로 차용했다고 보면 된다.
사람들이 지니기 쉬운 안 좋은 습성이 바로 '편견과 선입견'이다. 학생들이 입시에 목숨을 걸다시피 하는 이유도 소위 명문대라고 하는 대학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이다. 세상에 학창시절에 문제 잘 풀던 학생이 사회생활도 잘할 거라는 편견과 선입견.
또 특정 지역 사람들은 어떨 것이라는, 우리가 남이가라는 말을 쉽게 하는 그런 지역 감정들. 또 세대에 따라서 구분하는 관점들... 세상에 나이가 같으면 생각도 행동도 같은가? 태어나 사는 마을이 같으면, 또 같은 학교를 나오면 서로 같아지는가? 아니다. 같다고 주장하면 사람들의 자율성을 무시하는 말밖에 안 된다. 그럼에도 언론에서 또 권력을 쥔 자들에 의해서 너무도 쉽게 남발이 되기 때문에, 은연 중에 사람들 머리 속으로 들어와 박히기도 한다.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습관적으로 쓰는 말들 사이에 이런 표현이 얼마나 많은가. 그러니 계속 생각해야 한다. 나는 내 안에 '편견과 선입견'을 키우고 있지 않은가.
요즘 반려견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이 많다. 그들에게 개들은 가족이다. 그러니 '개'라는 말은 욕설로 쓰기 힘들어졌다. 마찬가지로 사람 사는 세상에서 민주화된 세상에서 지역, 학벌, 연령, 성별은 차별이 되면 안 된다. 이것들이 편견이나 선입견으로 작동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니 우리는 이 시에 나오는 '편견과 선입견'을 버려야 한다.
시인은 그점을 말하고 있다. 우리를 있는 그대로 보는 세상에 살고 싶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