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이 지나고, 우수도 지나고, 이제는 봄이 다가와야 하건만, 계절은 어김없이 봄을 향해 가고 있단 믿음이 있는데, 그럼에도 순간 순간 닥쳐오는 추위에는 어쩔 수가 없다.
아직 완연한 봄은 아니구나. 봄이 이처럼 쉽게 오지는 않는구나. 순환하는 계절도 이렇게 한차례씩 또는 몇차례씩 고통을 동반하면서 오는구나. 그냥 아무렇지도 않게, 너무도 편하게 오는 계절은 우리에게 감흥을 주지 못할지도 모르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는 요즘이다.
자연은 그래도 조금 늦거나 빠르거나 또는 혹독하거나 부드럽거나 제 철을 보내주고, 우린 제 철을 맞이하게 되는데, 정치는 아니다.
어쩌면 선거는 우리에게 또다른 봄을 맞이하게 해줄 기회이기도 하지만, 겨울로 되돌아가게 할 위기가 될 수도 있다.
겨울철 칼바람만큼이나 살벌한 말들이 난무하고, 그 말들로 인해 몸과 마음은 더 추워지고 있는 상황. 정치를 한다는 사람들, 말로는 우리들에게 봄을 선사하겠다 하지만, 그들의 말이나 행동을 통해서는 겨울로 우릴 끌고 가고 있다는 느낌을 버릴 수가 없다.
춥다. 정치판에서 나오는 찬바람들에... 이럴 때 따스한 바람, 부드러운 바람, 우리 몸과 마음을 어루만져 줄 바람을 쐬고 싶다. 이런 마음이 있을 때 [빅이슈] 269호가 왔다. 표지가 초록바탕에 반려견이 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탠져린즈'들이 있다.
반려견들, 요즘은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지만, 반려견이 되지 못한 개들 역시 어디서나 볼 수 있지만, 이들을 바라보는 시각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반려견들은 귀엽다, 예쁘다, 사랑스럽다 등등의 말들로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함께 지내지만 어느 순간 반려견의 지위를 잃은 개들은 무섭다, 더럽다, 위험하다 등등의 부정적인 말들과 함께 사람들에게서 멀어져야 할, 또는 안락사를 시켜야할 존재로 전락하기도 한다.
반려견과 비반려견의 차이가 무엇일까? 단순히 사람들과 함께 산다는 이유로 나누고 차별을 한다면, 과연 그것이 타당할까? 이번호에서 제주 탠져린즈를 다룬 글에서는 그러한 반려견/비반려견에 대해서 생각하게 한다.
우리 생명이 소중하듯이, 우리 존재가 모두 하나하나 온전한 존재이듯이, 이들 역시 온전한 존재라는 사실, 존중받아야 할 생명이라는 사실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글이다.
여기에 더불어 무거운(?) 주제를 다룬 글들이 있다. (성현석-조용한 궁리: 한니발은 왜 승리를 활용할 줄 몰랐을까?와 녹색빛: 기후 대선을 위한 선택)
무겁다고 표현했지만, 사실 우리에게 봄이 오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일에 대한 글이다. 인간이 인간인 이유는 오늘만 살지 않고, 과거를 되돌아보면서 미래를 현재에 불러오면서 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에게 현재는 과거와 미래가 함께 있는 삶일 수밖에 없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지금 눈 앞의 이익에만 매몰되어서는 안 된다. 눈 앞의 이익보다 더 멀리 볼 수 있는 눈을 갖추고 또 지금 당장은 필요없게 여겨질지라도 미래를 위해서는 반드시 준비해야 할 일들은 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인간이고, 인류가 오랫동안 생존해 올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한니발은 왜 승리를 활용할 줄 몰랐을까?'란 글에서 지금 우리에게 다가올 선거를 생각하게 된다. 한니발처럼 되지 않기 위해서는 미래를 볼 수 있어야 하고, 그 미래를 책임질 정치에 대해서, 우리에게 봄을 가져올 정치가 어떤 정치여야 하는지를 생각해야 한다.
기후위기, 또는 기후재앙은 지금 우리가 겪고 있지 않은가. 우리는 기후 면에서는 혹독한 겨울로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겨울에서 봄이 오게 하려면 우리가 행동해야 한다. 행동하기 위해서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기후위기 역시 정치와 떨어져 있지 않다. 기후위기를 해결하도록 나설 정치가 되도록 하는 일, 역시 시민의 몫이다. 그러니 이번 호는 봄을 앞두고 마냥 기다리지만 말고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적어도 우리들이 바른 선택을 해야 한다고, 그래야 봄이 올 수 있다고 하는 듯하다.
뭇생명들에 봄을, 우리 정치에도 봄을, 그래서 우리들 삶에도 봄이 깃들기를... [빅이슈] 269호를 읽으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