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차 여행을 했다. 케이티엑스를 타고 가는 길. 결코 요금이 싸지 않은데, 그래도 운전하는 내 노동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니, 그 가격이 상쇄되었다고 생각하고 떠난다.


  기차를 타니, 광고나 또는 책자에 '잇다'라는 말이 많이 나온다.

  '잇다'

  한 지점에서 한 지점을 연결해 준다. 한 사람과 한 사람을 맺어준다. 이렇게 '잇다'는 관계맺다가 된다. 고립되어 있지 않고, 함께 한다는 의미가 들어 있다. 여행을 하면서 보게 된 낱말 '잇다'를 [빅이슈]를 읽으면서 떠올리게 된다.


  [빅이슈]를 받아보면서 늘 느끼는 점이 바로 '잇다'란 말로 정리될 수 있다. 관계맺기, 홀로가 아닌 함께. 그렇게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말을 실감하게 하는 잡지가 바로 [빅이슈]다.


판매원인 '빅판'이 전철(지하철)역에서 내리는 사람들과 연결이 되고, 또 잡지를 통해서 수많은 사람들이 연결되는 '함께'를 실천하는 잡지.


새해 신년호다. 무엇을 연결하고 있을까 하는 마음이 있었는데, 이번 호에서는 '노년'을 다루고 있다. 사람이 나이 먹어간다는 것, 나이 들어간다는 것, 이것은 바로 시간의 연결이다. 시간은 끊어지지 않는다. 시간의 끊어짐. 이건 죽음이다. 죽음 전까지 우리는 연속되는, 연결되는 시간 속에서 산다.


그런데 가끔 시간을 끊어서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세대론이 그렇다. 이 세대, 저 세대가 다르다고, 연결되기보다는 단절되어 있다고, 그래서 소통이 안 된다고 이야기한다.


과연 그럴까? 시간을 끊을 수 있을까? 다른 말로 하면 한 세대에 영원히 머무를 수 있을까? 지금 젊은 세대라고 해서 영원히 젊은 세대로 남을까? '라떼는'이라는 말을 하지 않게 될까?


아니다. 우리는 연속되는 시간 속에서 서로 다른 세대를 살아간다. 그 살아온 시간 속에 수많은 세대들이 연결되어 있다. '요즘 젊은애들'이라는 말을 하는 사람도 그런 소리를 들으며 자랐다. 그렇게 우리는 연결된 시간 속에서 이렇게 저렇게 불리는 세대를 통과해 왔다.


죽음으로 시간과 단절될 때까지는 연결될 수밖에 없는데, 이를 인위적으로 끊고 다르게 이야기를 하려는 모습에 대해서는 경계해야 한다.


아이 하나를 키우기 위해서는 마을 전체가 필요하다는 말은 모두가 연결되어 있다는 말이다. 꼭 아이만이 아니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는 마을 전체가 필요하다. 이렇게 우리는 '잇다' 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니 '노년'이라고 특정한 시기라고 해서는 안 된다.


노년은 장년, 청년, 소년기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결을 볼 수 있어야 한다. [빅이슈] 이번 호를 읽으면서 [빅이슈]가 바로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음을 깨닫는다.


이번 호에 있는 옥희살롱 김영옥 대표의 인터뷰 글이 있는데, 이 말이 바로 '잇다'를 대표하는 말이라는 생각이 든다.


노년에 대한 추상적인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서로 돌보고 마음을 쓰는 관계가 제대로 기능하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우리는 어떤 것을 연습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매뉴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나이 든 사람들이나 아픈 사람들을 자주 만나야 한다. 옆에서 만나본 적이 없으면 자기의 미래를 어떻게 상상할 수 있겠나. 자기의 돌봄 역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46쪽)


아이들에게도, 노인들에게도 마을 전체가 필요하다. 마을은, 공동체는 그렇게 사람들을, 세대들을 잇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리고 살아가기 힘든 지금 시대에도 이러한 공동체를 마련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공동체는 뜻이 맞는 사람들만이 모여 사는 장소가 아니라, 여러 사람들이, 여러 세대들이 함께 갈등하고 그 갈등을 풀어가면서 서로가 서로를 조금씩 이어가는 그런 장소여야 한다. 그것이 바로 공동체다.


그리고 지금 우리에게는 세대를 막론하고 이런 공동체가 필요하다. [빅이슈]를 읽으면서 [빅이슈]가 이런 연결, 즉 '잇다'를 기차보다도 더 잘하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새해 받아본 소중한 잡지, 우리와 우리를 이어주는 그런 잡지 [빅이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