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보이는창 2021년 가을호. 127호다. 이제는 나에게 오는 몇 안 되는 잡지다. 예전에 구독하던 많은 잡지들이 하나 둘 내 곁을 떠나가거나 내가 떠나가게 했는데...
노동에 대해서, 삶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책. 이 책을 읽으며 다른 사람의 삶에 대해서 생각하고, 그들과 함께 살아가는 삶을 생각하게 된다.
이번 호에서는 마지막에 실린 이인휘 소설(시인, 강이산)이 마음에 와 닿았다. 와 닿은 정도가 아니라, 입에 이름을 담기 싫은 사람이 세상을 떠나서도 다시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는 꼴이 싫어서 그냥 넘어가려고 했는데... 그 사람이 득세하던 시절, 그리고 그가 뿌린 씨앗들이 득세하던 시절을 오롯이 살아간 사람의 이야기가 소설로 실려 있으니...
물론 강이산으로 등장하는 그 사람은 한 사람이 아니다. 그 시대를 살았던, 1980-1990년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모습을 담고 있는 소설 속 인물이라고 보면 된다.
시대의 격랑에 온몸을 맡기고 살아갔던 사람, 그 시대의 격랑에 결국 부서져 버린 사람. 이름을 입에 담기 싫은 사람이 아무런 사과도 용서도 구하지 않고 사라져버린 날, 그로 인해 고통을 받은 분이 차가운 물 속에서 시신으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용서받지 못할 그 누구는 거대한 병원장례식장에서 그가 뿌린 씨앗들의 조문을 받고 있는데, 그로 인해 고통받았던 사람들은 여전히 차가운, 딱딱한 곳에서 사람들에게 잊혀져 가고 있으니...
격동의 시대가 지나고, 인권의 시대에 접어들었다고, 우리도 이제는 민주주의를 어느 정도 이루었다고 하는 이 시대에도, 좋지 않은 과거와 연결된 끈을 완전히 끊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서, 이인휘가 쓴, '시인 강이산'은 너무도 아프게 다가온다.
이번 호에서 이 소설을 온전히 읽을 수 있어서 좋기도 하지만, 읽으면서 마음에 무거운 짐이 들어차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과연 우리는 이 소설의 주인공 강이산이 살았던 시대로부터 얼마나 멀리 왔을까?
우리는 그들이 추구했던 이상을 얼마나 실현하고 있을까? 광주민주화운동을 계승해야 한다고, 더 멀리 가면 4·19혁명을 계승해야 한다고 하면서도, 87년 민주화 운동을, 촛불을 계승해야 한다고 하면서, 어쩌면 자꾸 과거를 잊어가고 있지는 않았는지 생각하게 된다.
노동운동을 하던 사람들이 사람 대접도 못 받고 개 끌려 가듯 경찰에게 끌려가는 장면, 사회주의 운동을 하는 친구를 도와줬다는 이유만으로 고문을 받고 정신이상이 되어버린 사람이 결국 죽음에 이르는 장면, 그러면서 자신 때문에 그렇게 되었다고 자책하면서 세상에 제대로 나오지 못하고 있는 강이산의 모습.
과거로 머물렀으면 좋겠는데, 단순히 과거가 아니라는 생각에 씁쓸하면서도 마음이 아려왔으니...
'삶이 보이는 창'. 여전히 우리에게 가야할 길이 있음을, 우리가 추구해야 할 삶이 있음을, 이런 소설을 비롯해서 여러 글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도 계속 이렇게 '삶이 보이는 창'을 만나고 싶다는 마음... 과거 악의 씨앗들이 자라나지 못하게, 좋은 씨앗들이 살아갈 수 있게, 우리들 마음을 다잡게, 그렇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