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언어 - 판타지, SF 그리고 글쓰기에 관하여
어슐러 K. 르 귄 지음, 조호근 옮김 / 서커스(서커스출판상회)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슐러 르 귄. 


요즘 들어 관심을 가진 작가다. 한두 작품을 읽다가 감동을 받아 여러 권을 사서 읽게 되었다. 빌려 읽은 소설도 있지만, 왠지 소장하고 싶은 작가의 작품이다. 소설만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을 솔직하게 쓴 글도 좋다. 그런 글에서 마음의 울림을 느낀다. 그러니 어찌 이 작가를 좋아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한권 두권 계속 사 모으기로 하고, 이번에는 '밤의 언어'라는 르 귄이 쓴 소설이 아닌 다른 글들을 편집한 책을 읽게 되었다. 최근에 번역되어 나온 책을 사서 읽었지만, 이 책은 아주 오래 전에 발간이 되었다고 하는데도, 읽는데 오래되었다는 느낌을 받지 않는다.


당시 르 귄이 느꼈던 문제들이 지금도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면 우리는 그 동안 거의 50년이 흐르는 동안 무엇을 했는가 자괴감도 든다. 이 책에 실린 글에서 르 귄은 자신은 페미니스트라고 당당하게 말한다. "그게 왜?" 라고.


그런데 지금도 우리는 페미니스트라고 하면 왼고개를 젓는 사람들이 있다. 또 이 페미니스트라는 말을 과격, 편협과 연결지어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 왜 그럴까? 아직도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 생각하고 대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지 않을까. 남성이고 여성이고 또는 다른 성을 추구하든지 간에 사람이라는 점에서는 모두가 같을텐데...


사람이라는 공통점을 먼저 앞세우고, 거기서 성별로 나는 차이를 인정하면 차이가 차별이 되지는 않을텐데, 아직도 그러니, 당시 르 귄이 난 페미니스트다. 그게 왜 문제인가라고 말하는 모습이 강렬하게 다가올 수밖에 없다.


소설도 마찬가지다. 최근에 읽은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을 SF작품이라고 하지만, 그런 용어를 쓰기 이전에 먼저 소설이라고 하는 편이 좋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생각은 르 귄의 글을 읽고 더 강하게 들었지만...


이처럼 이 책에 실린 어느 글을 읽어도 좋다. 작가에 대한 이야기, 작품에 대한 이야기, 자신에 대한 이야기, 글쓰기에 관한 글들이 실려 있어서 굳이 처음부터 끝까지 읽지 않아도 된다. 그냥 아무 글이나 펼쳐서 읽어도 르 귄이라는 사람을 알아갈 수 있다.


몇몇 구절만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환상 작가들은, 신화와 전설이라는 고대의 원형을 인용하는 사람이든, 아니면 보다 젊은 과학과 기술의 원형을 끌어들이는 사람이든, 사회학자들만큼이나 진지하고 어쩌면 훨씬 직설적으로, 현재와 과거와 미래의 인간의 삶에 대하여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18쪽)


이것이 바로 이런 소설을 읽은 이유가 되고, 르 귄이 이렇게 평가받는 작품을 쓰는 이유다. 우리 인간의 삶에 대해서 르 귄은 자신의 작품을 통해 이야기하고 있다. 그것에 어떤 이름을 붙여 한쪽으로 규정하는 일은 잘못이다. 소설은 소설일뿐이다. 소설이라는 큰틀을 인정하고, 소설에서 작가만이 지니고 있는 특성을 찾아야 한다. 


작품을 하위 분야로 분류하고, 그 틀에 가두는 일이 문제가 있음을, 그렇게 틀로 나누고 가둬 그 작가를, 또는 그 작품을 이해하는데 한 가지 틀만 제시하면 안 된다고... 작가들은 작품을 통해서 삶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르 귄은 이 책 도처에서 하고 있다.


  상상력을 위협이라 여기는 사람들은 보통 판타지 작품을 '유치하다'고 치부해 버린다. 그러나 이런 배제야말로 자신이 무력하며 노쇠한 사람이라고 고백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판타지 세계를 창조하고 보존할 때는 어린아이의 역할이 중심이 되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다.

  정치가, 이득에 눈이 먼 상인, 관능주의자들은 상상 세계의 분위기를 견디지 못한다.(294-295쪽)


자ㅡ 우리는 얼마나 상상력을 인정하고 받아들이고 또 즐기고 있는가. 예전 생각을 해보자. 학창시절에 소설책을(어떤 소설책이든 상관없었다. 세계 명작이든, 추리소설이든, 로맨스 소설이든) 읽다가 교사에게 걸리면 교사들은 대뜸 공부 안하고 이런 것이나 읽고 있느냐고 야단을 쳤다.


상상력이 가장 잘 발휘된 문학 작품을 꿈으로 가득 찬 시기에 들어선 청소년들이 읽다가 야단을 맞는 경우, 이런 경우 우리는 더이상 상상력을 지닌 존재로, 세상을 새로움이 가득찬 경이로운 세계로 보는 눈을 지닌 존재로 지낼 수가 없게 된다. 그렇게 우리는 자라왔다.


하지만 이렇게 자라왔다고, 후대 세대들에게까지 이런 모습을 강요해야 하는가. 입시라는 굴레로 여전히 상상력이 억압당하게 해야 하는가. 무엇을 하고자 하는 마음보다 시험 점수를 올려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리게 해야 하겠는가.


이런 모습들은 우리가 상상의 세계를 완전히 막아버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니 판타지라고 하든 환상이라고 하든, 아니면 고전이라고 불리는 작품이든 읽을 시간조차 주지 않고 있는 이 현실에서 르 귄이 말하고 있는 앞 구절은 우리에겐 아프게 다가온다. 그것을 '유치하다'고 표현하는 사람들, 자신이 늙어버린, 무력한 존재임을 알아야 한다는 이 말이...


제목이 된 '밤의 언어'. 자, 밤은 명징함을 넘어서 상상의 세계로 들어설 수 있는 때다. 밤의 언어는 바로 그런 상상의 세계로 들어서는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눈에 보이는 세계만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로 인도하는 언어...


르 귄의 글은 바로 그런 밤의 언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