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일락과 깃발 - 노부인이 전하는 어느 도시 이야기 그들의 노동에 3
존 버거 지음, 김현우 옮김 / 열화당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그들의 노동에' 3부다. 1부는 땅과 연결되어 살아가는 사람들, 이들은 땅에서 어떻게든 생명을 얻으며 살아간다. 2부에서는 땅에서 떠나기 시작하는 사람들, 그럼에도 그들은 완전히 땅을 떠나지는 못한다. 이제 3부는 땅에서 완전히 떨어져 나온 사람들, 다시는 그곳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사람들 이야기다.

 

돌아가지 못한다는 말은 부모세대에게 어울리는 말이고, 이 소설의 주인공은 쥬자와 수쿠스는 땅과 더불어 살아본 적이 없다. 물론 쥬자는 약간 다르다. 사실인지 아닌지 명확히 이야기하지 않고 있지만, 염소 젖을 짜고 닭을 잡는 일을 하는 사람은 쥬자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쥬자는 도시에서 살아가지만 땅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다른 말로 하면 도시에서 살아가더라도 여성은 땅과 관련이 있는 삶을 살아간다고 할 수 있다.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이 소설 인물 중 한 사람인 헥토르는 농촌에서 도시로 와서 경감으로 퇴직을 앞두고 있다. 그는 자신의 고향으로, 즉 땅과 함께 살던 삶으로 돌아가고 싶어한다.

 

하지만 그의 아내는 그곳으로 가고 싶어하지 않는다. 땅과 유리된 삶을 살려고 한다. 그러니 그의 아내가 알콜에 의존하는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고, 결국 헥토르를 죽음에 이르게 할 뿐이다. 생명력을 상실한 삶.

 

수쿠스 역시 마찬가지다. 그는 도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죽음으로, 아버지의 말을 듣고 아버지의 고향에 가고자 하지만 결국 가지 못한다. 그에게 돌아갈 고향은 없다고 하는 편이 좋겠다. 뿌리뽑힌 삶이라고 흔히들 말하지만, 농촌에서 도시로 오게 된 사람들의 자식인 2세대들은 이제 돌아갈 고향조차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도시에서 하루하루 힘들게 살아가든지, 부랑자나 범법자가 되든지 한다. 마치 땅과 붙어 있으면 누구도 죽일 수 없지만, 땅에서 떨어지면 목숨을 잃게 되는 안타이오스처럼, 그들은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된다.

 

이렇게 땅에서 떨어져 나온 삶들이 온전하지 못함은 남녀를 구분짓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존 버거는 이들에게 위안을 주려고 한다. 죽은 이들이 모두 배에 모여 자신들의 삶을 보게 표현하고 있는데...

 

이런 소설의 환상적인 마지막 장면... 작가는 이렇게라도 뿌리뽑힌 삶들을 위로하고 싶었나 보다란 생각이 들었다.

 

산업화, 도시화 되면서 사람들 삶이 땅과 점점 멀어지고, 그런 삶이 풍요로워지지 않고 오히려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아가고 있음을 이 소설을 통해서 알 수 있다.

 

몇 십 년에 걸쳐 사람들이 땅에서 점점 멀어지는 삶을 살아가는 과정을 존 버거는 '그들의 노동에' 3부작을 통해서 잘 보여주고 있다. 이제는 땅에서 멀어지는 삶이 우리들에게 고난을 준다는 사실을 체험하고 있으니, 다시 땅과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해 우리가 생각해 봐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