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백한 푸른 점
칼 세이건 지음, 현정준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기술이 엄청나게 발전해서, 이십 년 전에 나온 천문학에 관한 책들은 이미 과거의 일이 되어버리기 십상이다. 그때 예측했던 결과들을 알 수 있게 되면 과거로 지금 읽을 필요가 없지만, 그 예측이 여전히 진행 중이라면 과거 책이라도 지금 읽을 필요가 있다.


또한 예측이 빗나갔더라도 왜 그렇게 예측했으며,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예측이 빗나갔는지를 발견할 수 있다면 과학을 다룬 과거의 책들도 읽을 필요가 있다.


천문학에 대해서는 잘 모르니까, 최근 발견된 사실에 대해서도 모르는 지식이 너무도 많으니, 칼 세이건이 1990년대에 낸 이 책을 읽어도 새로운 사실들이 너무나 많다. 그때까지 발견된 새로운 사실을 통해 세이건은 우리의 미래를 예측하기도 하고, 당부하기도 한다.


그래서 내게는 이 책은 여전히 읽을 만한 책이고, 앞으로 수십 년 동안에도 읽힐 필요가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 나온 화성에 인류가 이주하는 문제는, 영화 "마션"에서도 다뤄지고 있지만, 세이건 역시 진지하게 화성에 대해서 탐구해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우리가 화성으로 이주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신중하게 검토해봐야 한다고 한다. 물론 세이건은 그냥 이주하자고 하지 않는다. 우리는 여전히 화성에 대해서 모르고 있고, 또 그곳에서 살아갈 수 있는 과학기술도 발전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 우리가 살아가는, 아직까지는 생명체가 살아가고 있다고 알고 있는 유일한 별인 지구가 얼마나 작은지 알 수 있다. 신의 지위까지 올려놨던 인간들의 지위가 엄청나게 격하되는 데는 천문학의 발달이 한몫했다고 한다.


그리고 세상의 전부로 알았던 지구가 우주의 극히 작은 '창백한 푸른 점'에 불과하다는 사실은 인간을 더욱 작은 존재로 격하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격하가 인간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니, 그동안 모르고 있었던 우주를 탐사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아직까지는 인간과 비슷한 문명을 이룩한 외계 존재를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에 인간은 우주에서 뛰어난 생명체로 인식하고, 다른 행성으로 진출하려고 한다.


그동안 잘 몰랐던 다른 행성들에 대해서 알아가고 있으며,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지금은 우주 여행을 하는 사람이 나오고 있으며(아직까지는 우주 여행에 엄청난 액수의 비용이 들어, 소수의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일이지만), 화성을 인간이 살 수 있게 만들겠다는 계획을 지닌 사람도 있다고 한다.


세이건이 이 책에서 말한 일들이 실현될 수도 있는데, 초기에 우주에 관심을 가지고 달 착륙 경쟁에 열을 올렸던 이유가 군사적인 이유가 많았다면, 지금은 인류의 생존을 위해서 우주에 관심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 지구가 우리가 살기에는 더 이상 좋은 환경을 지니지 못하게 되었기 때문인데... 세이건의 이 말이 아프게 다가온다.


  긴급성의 선후를 고려한다면 인류가 다른 세계에서의 육지 조성 문제를 진지하게 생각해야 할 때는 우리가 우리 세계를 제대로 바로잡았을 때부터일 것이다. 이것은 우리의 이해와 약속의 깊이를 시험해볼 기회가 된다. 태양계 개조공사의 첫 단계는 지구의 거주 가능성을 보장하는 일이다. 

  그러고 나서야 비로소 우리는 소행성, 혜성, 화성, 태양계 외곽의 위성들, 그리고 그 너머로 진출할 준비가 마련되는 셈이다. (364쪽)


자, 우리는 화성까지 갈 생각을 하고 있다면, 우선은 이 지구에 닥친 위기부터 협동하여 해결해야 한다. 그리고 우주로 나아가는 일을 개인이, 개별 국가가 하지 말고, 전지구인이 협력해서 하자는 제안을 세이건은 하고 있다.


이제는 우주 속에서 지구는 작은 점에 불과하므로, 인류가 대륙별로, 또 국가별로, 인종별로 또 무엇무엇으로 나뉘어 서로 갈등하고 경쟁해서는 안 되고, 협력해서 이 지구를 우리가 지속해서 살 수 있는 장소로 만들고, 그 다음에 우주로 나아갈 준비를 해야 한다고 한다.


그러지 않았을 경우 과학기술은 또다른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런 인류의 협동, 다른 생명체를 가정하고 함부로 외계에 발들이지 않는 조심스러운 자세 등을 그는 강조하고 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코로나19를 겪고 있는 지금 우리들이 떠올랐는데... 코로나19로 인류는 지구 속에서 개별 국가의 국민으로서만 살아갈 수 없음을 몸으로 겪고 있다. 백신 문제도 마찬가지다. 경제적으로 풍족하고 백신을 쉽게 확보한 나라는 부스터 샷(추가접종이라고 하자고 한다)까지 세 번을 접종할 수 있는데, 가난한 나라들, 백신을 잘 확보하지 못하는 나라들은 1차 접종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


감염병은 전지구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백신은 나라별로 접종되고 있으니, 변이 바이러스가 계속 나올 수밖에 없다. 


접종 문제만이 아니다. 세이건은 우주로 나아가는 문제에서도 세계 여러 나라가 협력해야 한다고, 자금이나 학자들, 기술들을 공유한다면 적은 비용으로 더 빠른 시간에 더 안전하게 우주로 나아갈 수 있다고 한다. 여기서 이득을 얻으려는 나라간의 경쟁은 상황을 더 악화시킨다고 그는 말하고 있는데...


코로나19 백신이나 치료제도 마찬가지다. 이윤을 얻기 위해서 하지 말고, 전세계 의학자, 과학자들이 협력해서 개발하고, 그 연구비용과 개발비용을 각 나라에서 갹출해서 지출한다면 지금보다 훨씬 빠르게, 또 안전한 백신과 치료제가 나올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전지구적 재앙에 개별적으로 대응하지 말고 전지구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이 필요함을 세이건의 이 책, 우주 탐험에 대한 '창백한 푸른 점'을 통해서도 깨닫게 되는데... 세이건의 이 말.


나는 외계 공간에 진출할 자는 우리 - 현재의 우리 관습과 사회 전통을 그대로 지닌 - 가 아니라고 확신한다. 만약 우리가 계속 슬기로움은 소홀히 한 채 재능만을 축적한다면 우리는 틀림없이 우리 자신을 파멸시키고 말 터이다. 먼 훗날에도 우리가 존속하려면 우리는 우리의 제도와 우리 자신을 개조해야 한다. (415쪽) 


자, 이것이 외계 공간에 진출할 우리들에게만 해당하는 말일까? 전세계적인 감염병에 대처하는 현재의 우리들에게도 해당하는 말이 아닐까.


세이건은 우주 이야기를 하면서 결국 우리 이야기를 한다. 이것이 바로 과학이 지닌 장점이고, 그는 그것을 너무도 잘 보여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