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속의 자본주의자 - 자본주의의 변두리에서 발견한 단순하고 완전한 삶
박혜윤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속이라는 말에서 자본주의를 벗어난 삶을 생각하기 쉬운데, 이 책의 저자는 그렇지 않다. 자본주의를 부정하지 않는다. 아니 긍정한다. 자본주의 세상에 살면서 자본주의를 부정하는 삶을 살려면 여로모로 힘들어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 책을 쓴 사람이 원하는 삶은 행복한 삶이다. 자신이 하고 싶은대로 사는 삶. 즉 무엇을 해야지에 매여 자신의 온 힘을 쏟는 삶이 아니라 자신이 편하게 지내는 삶을 살고자 한다.


그러니 도시를 완전히 떠나지도 않는다. 숲속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그렇다고 도시에 살지도 않는다. 나름 시골이라고 할 수 있는 곳에서 컴퓨터도, 인터넷도, 스마트폰도 없이 생활한다. 불편하지 않단다.


왜냐하면 버려야지 하고 결심한 다음에 결행한 일이 아니라 자연스레 살면서 없애버렸기 때문이다. 즉 결심이 앞서고 그 결심을 실천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따라 행동하지 않고, 자신들이 살면서 그냥 편한 방향으로 실행을 한다.


그런 행복이다. 그러니 자본주의를 버릴 필요가 없다. 우리가 시장없이 살기는 힘들지 않은가. 시장은 자본주의를 가장 잘 드러내는 장소이고... 필요한 물건이 있으면 산다. 왜? 필요하니까. 다만 이 책을 쓴 사람이 살 때 고려하고 있는 사항은 참조할 만하다.


물건을 살 때 자신에게 필요없어질 때 어떻게 할까를 생각한다고 한다. 쓸 때가 아니라 버릴 때, 마치 '메멘토 모리'라는 말처럼 그 물건이 내게서 떠나가야 할 때 어떻게 할까 하면 함부로 물건을 사지 못한다.


자본주의를 떠나지는 않지만, 자본주의 내에서 환경을 생각하는 삶을 충분히 살 수 있음을 보여주는 방법이라는 생각이 든다.


숲속의 자본주의자라고 제목을 붙인 까닭이 바로 숲속에 방점을 두지 않고 둘 다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아가고자 하지만, 그렇다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끊고 살아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내 삶은 다른 사람의 삶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오죽하면 감옥에서 독방에 가두는 일이 강한 처벌이 되겠는가. 다른 사람들과 격리되어 있는 감옥에서도 그런데, 사회 생활에서야 말해 무엇하리.


그러니 이 책을 쓴 사람은 자신의 삶에 다른 사람의 삶을 연결짓는다. 다만 그 연결이 자신의 삶을 침해하지 않도록 하고, 자신도 마찬가지로 다른 사람의 삶을 침해하지 않도록 관계를 맺으면서.  


여기에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지 않기, 그냥 자신은 이런 삶이 좋고 편해서 살 뿐이다. 모두가 이렇게 살아야 한다고 하지 않는다. 자신의 삶을 보여주기만 할 뿐. 선택은 어차피 개인이 해야 한다.


우리 모두가 이 책을 쓴 사람처럼 살 수는 없다. 하지만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행복을 찾을 수는 있다. 사람 수만큼 어쩌면 그보다 더 많은 수의 행복이 있을테니까. 다른 사람의 눈으로 자신을 보지 말고 자신의 눈으로, 자신의 욕망을 파악하고 사는 삶. 


그런 삶을 살아가는 글쓴이의 모습을 보면 마음이 덩달아 편해진다. 그렇게 우리는 모두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음을, 거창한 구호를 외치지 않아도, 목표를 잡지 않아도 됨을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