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창이 오면 처음 삶창을 만났을 때를 생각한다. 아이엠에프가 터지고 얼마 지나지 않아 만났지. 노동자들이 해고되어 삶이 힘들어졌을 때 그래도 그들의 삶에 희망을 주는 잡지를 만났다고 생각했다.


  그땐 삶창이 격월간지였는데, 두 달에 한 번 나오면서 우리들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사람들 이야기가 많이 실렸었는데...


  그러다 삶창도 세월의 무게를 이기지 못했는지, 아니 노동자 조직률이 계속 떨어지고, 노동조합에 가입한 노동자 숫자가 계속 줄어들고, 노동자들의 삶이 더 나아지지 않고 있는 상황.


정규직이 아닌 비정규직이 대다수 노동자가 된 시대에 삶창도 격월간지에서 계간지로 바뀌었다. 유지하기가 힘들어지고 있단 생각이 들 수밖에 없는데...


이번 호 표지를 보면서 삶창이 힘들어지는 것만큼 노동자들의 삶이 이렇게 흐릿해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여전히 산업재해는 많고, 월급은 오르지 않고 있으며, 버젓한 직장을 갖지 못한 노동자들이 넘쳐나는 세상에서 삶창이 주려던 희망은 어디 있는가?


이번 호에서 노동을 다루고 있는데, 노동이 의무가 아니라 권리임을, 행복하게 노동을 할 권리가 있음을 주장하고 있는데... 뒤에 실린 이인휘의 산문 '공장의 불빛'을 보면 또다시 좌절할 수밖에 없다.


여전한 노동현실. 노동자들을 이윤을 위한 도구로밖에는 여기지 않는 자본가들. 그들에게 그나마 직장을 잃으면 생계를 유지하기가 힘들기에 항의조차 제대로 못하는 노동자들.


아, 삶창을 보아온 지 이십 년이 넘었는데, 왜 노동현실은 이다지도 암울할까? 왜 노동자들은 여전히 먹고살 걱정에서 벗어나지 못할까?


노동이 자아실현이라는 말은 교과서에나 존재하는지, 노동은 먹고 살기 위한 생계 수단으로 싫어도 어쩔 수 없이 해야할 일이 되어버린 현실.


이번 호 표지에 나온 사람들, 노동자들, 그들이 이렇게 실루엣으로만 여겨지고 있는 사회라는 생각에 씁쓸한 마음만 든다.


코로나10로 가뜩이나 힘든데, 사람들이 이제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너나 없이 고통받고 있는데, 삶창을 읽으면서 받았던 위안이, 이번 호에는 우리 현실을 직시하게 하면서 도대체 무엇이 변했는가 하는 질문을 하게 한다.


기본소득을 생각한다. 기본소득이라고 하지 말고, 기본배당이라고 하자. 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당연히 받아야 할 배당. 노동자 없는 사장이 어디 있겠는가? 사회 구성원은 모두가 사회를 이루는 필수 요원이다. 그러니 그들은 그에 해당하는 배당을 받아야 한다.


그런 인식을 해야 한다. 그들이 기본배당을 받는다면 사장들이 저지르는 부당한 행위에 순응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적어도 생계는 해결될테니. 그러니 기본배당은 노동자들이 자신들이 일하는 일터를 행복한 공간으로 바꾸기 위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적어도 기본배당이 실시된다면, 지금 코로나19를 맞이하여 재난지원금을 주는데, 88%에게만 준다는 이상한 정책은 나오지 않게 되겠지.


삶이보이는창 126호를 읽으며, 다음 호에서는 노동자들의 모습이 이렇게 실루엣이 아닌 또렷한 모습으로 나오기를 기대한다. 우리들 삶이 최소한의 생활은 보장받고, 그 위에서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한 여러 제도들이 갖춰지기를 기대하면서...


적어도 그런 논의가 사회적 논제로 자리잡기를 바라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