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학의 눈으로 미래를 설계하라 - 연세대 공대 교수 22명이 들려주는 세상을 바꾸는 미래 기술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지음 / 해냄 / 2019년 3월
평점 :
공학하면 기계가 떠오른다. 기계 중심의 발전을 공학 발전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공학은 사람과 관련된 학문이다. 사람과 관계없는 공학은 없다. 즉 공학은 우리가 잘살기 위해서 만들어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공학 발전이 인간을 뒤로 제쳐두고 있다는 생각을 갖기 쉽다. 그만큼 공학 기술은 인간보다는 기계나 기술의 발달을 우선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학은 사람들이 한다. 왜 사람들이 좀더 편리하고 행복하게 살게 하기 위해서. 그러므로 공학은 기계가 아니라 사람이다. 사람이 먼저다. 사람을 우선하지 않는 공학은 존재하기 힘들어진다.
예측불가능할 정도로 과학기술이 발전했고, 공학기술도 발전했지만 이들 모두는 바로 우리 인간들의 행복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 책은 그러한 다양한 공학을 전공하는 교수들이 모여 앞으로 다가올 세상에서 공학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들은 세상이 바뀐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세상의 바뀜에 공학이 큰 역할을 할 수밖에 없고, 또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한다. 다만, 공학이 사람을 도외시해서는 안 된다고 한다. 공학은 곧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람을 위한 공학은 어떠해야 할까?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는데, 우리들 삶과 관계없는 부분은 하나도 없다. 그리고 무작정 공학의 발전을 예찬하지 않아서 좋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사람을 전제하고 있다. 미래 세계에서도 공학은 사람에게 복무해야 한다. 아니 사람이 없는 공학은 필요 없다. 사람이 없는 지구를 상상할 수 없듯이 사람을 전제로 하지 않는 공학은 상상할 수가 없다.
다만, 기술 발전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그것을 사회에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에 대해서 전문가로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자신들이 제시한 의견이 전부라고 하지도 않고, 이러한 의견을 참조해서 더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의미가 있다. 많은 교수들, 22명이나 되는, 특정 대학, 연대 공대 교수들이 썼지만, 어느 대학의 학문에 편중되어 있지는 않다. 또한 자신의 전공만을 주장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미래 사회는 초연결사회이고, 그러한 사회에서는 나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과 연결되는 일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가령 건축만 하더라도 건축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학문이 융합되어야만 건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이 주장하고 있는 공학의 눈으로 미래를 설계하라는 말에는 전문가를 참조하되, 다양한 관점들, 기술들이 융합되어 사람을 중심에 놓는 사회를 만들어가자는 권유가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아무리 부정해도 과학기술은 계속 발전한다. 이 책은 그 발전을 사람을 위한 발전으로 만들어 나가기 위해서는 공학이 미래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겠지만, 그 중심에는 항상 사람이 있어야 함을 생각하게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