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환이 낸 첫시집이다. 사실 첫시집인지도 모르고 샀다. 헌책방에서. 헌책방에서 이런 시집을 만날 수 있음은 행운이다. 행복이다.


  다만, 첫시집인데 97년 7쇄본이다. 초판본은 1982년에 발간되었고. 7쇄를 헌책방에서 구입할 수 있을 정도니, 이 시집은 제법 읽혔다고 봐야 한다.


  시인이 이 시집을 냈을 때는 전두환 정권의 독재가 기승을 부릴 때. 광주민주화 운동을 진압하고 정권을 장악한 전두환. 그러니 이 시집에는 희망보다는 절망이 더 많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물론 그렇다고 절망 속에서만 허우적대지는 않는다.


  절망이란 희망으로 가기 위한 징검다리, 아님 고통스런 현실을 건너게 해주는 육교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시인은 '후기'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참담한 절망 속에서만 절실한 희망이, 진정한 쓰러짐이 있어야만 가슴을 치는 일어섬이 이룩될 수 있다는, 작지만 매운 진리를 나는 아직 포기하지 못한다. (147쪽)


82년, 83년, 84년...87년. 이렇게 절망 속에서도 희망이 있었기에 우리는 지금 민주화를 이루지 않았던가. 적어도 이제는 독재가 자리를 잡을 수 없는 정치혁명은 이루지 않았던가.


이렇게 시인의 말처럼 우리는 참담한 절망도, 진정한 쓰러짐도 겪고 일어섰다. 그 소중한 경험. 이 시집에 실린 첫시는 제목이 된 '지울 수 없는 노래'다. 작은 제목이 '4·19 21주년 기념시'다. 


4·19 21주년이면 1981년이다. 이런 일이? 4·19혁명이 일어나고 바로 다음 해에 5·16군사쿠테타가 일어났는데, 1981년이면 80년 광주민주화 운동이 끝난 다음 해 아니던가. 이런 역사의 반복 속에서, 시인은 절망에 빠져 있기보다는 '그들의 노래는 아직도 있다/그들의 뜨거움은 아직도 있다'(지울 수 없는 노래 부분)고 하고 있다.


절망의 순간에도 희망을 버리지 않고, 이런 쓰러짐 속에서 다시 일어섬을 꿈꾸고 있다. 그렇게 시인이 바라는 대로 지금 우리는 다시 일어섰다.


이 시집에 실린 시 '육교를 건너며'를 본다. 이렇게 우리는 삶에서 수많은 육교를 만나며, 또 그 육교를 건넌다. 


육교를 건너며


육교를 건너며

나는 이렇게 사는 세상의 

끝이 있음을 믿는다

내 발바닥 밑에서 육교는 후들거리고

육교를 건너며 오늘도 이렇게 못다한 마음으로

나의 이 살아있음이 언젠가는 끝이 있으리라는 것을

나는 믿고

또 사랑하는 것이다

육교는 지금도 내 발바닥 밑에서 몸을 떤다

견딘다는 것은 오로지 마음 떨리는 일.

끝이 있음으로 해서

완선됨이 있음으로 해서

오늘, 세상의 이 고통은 모두 아름답다

지는 해처럼

후들거리는 육교를 건너며

나는 오늘도 어제처럼 의심하며 살 것이며

내일도 후회없이

맡겨진 삶의 소름 떠는 잔칫밤을 치를 것이다

아아 흔들리는 육교를 건너며

나는 오늘도, 이렇게 저질러진 세상의

끝이 있음을 믿는다

나의 지치고 보잘것없는 이 발걸음들이

끝남으로, 완성될 때까지

나는 언제나 열심히 살아갈 것이다


김정환, 지울 수 없는 노래. 창작과비평사. 1997년 7쇄. 114-115쪽. 


힘들고 지칠 때 이 시를 읽으면 솔로몬인지 다윗인지에게서 유래했다는 '이 또한 지나가리라'라는 말이 생각난다. 이 말처럼 우리는 언제간 끝이 있음을 안다. 끝이 있으을 믿으면 과정에 충실하게 된다.


고통의 순간도 지나가고, 환희의 순간도 지나갈 수밖에 없음을. 그래서 이 순간 열심히 살아야 함을... 시의 '나는 언제나 열심히 살아갈 것이다'라는 마지막 구절은 결코 포기할 수 없음을, 지금은 흔들리고 있지만 우리는 이쪽에서 저쪽으로 건너갈 수 있음을 생각하게 한다.


그래, 열심히 살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