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평론을 읽다가 김남일이 쓴 글(시대와 소설(7)-이대로는 안된다, 통일 결사반대!)에서 이태준이쓴 단편소설 "복덕방"을 다시 만나게 됐다. 너무도 오래 전에 읽어서 무슨 내용인지 기억이 잘 나지 않은 소설.


  책을 찾아본다. 분명 읽었으니 책이 있으리라. 책꽂이를 뒤져보니, 구석에서 책이 나온다. "이태준 전집2. 단편.희곡" 있긴 있구나! 


  소설은 짧다. 등장인물도 몇 안 된다. 그 중에 안초시라는 인물이 중심이다. 그가 복덕방에 함께 드나드는 박희완영감에게 들은 말... 관변에 있는 모 유력자가 흘렸다는, 황해연안에 제이의 나진이 생긴다는 말.


  자, 부동산 투자다. 땅값이 두 배 세 배도 아니고 몇십 배 또는 몇백 배 뛴다고 하니, 돈도 없는 안초시지만, 딸에게 이야기해서 삼천 원을 투자한다. 세상에, 자기 안경 다리를 바꿀 돈도 없는 사람이 거금을 땅에 투자하는 것. 결과는 뻔하다.


축항후보지로 측량까지 하기는 하였으나 무슨 결점으로인지 중지되고 마는 바람에 너무 기민하게 거기다 땅을 쌌(샀?)던, 그 모씨가 그 땅 처치에 곤란하여 꾸민 연극이었다(47쪽)고.


일제시대에 쓰인 소설이다. 지금과 무엇이 다른가? 땅에 투자하여 일확천금을 노리는 사람들, 지금도 신도시 개발이 될 예정지들 땅값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지 않은가. 이 정보를 이미 알고 있는 사람들은 오래 전부터 그 땅을 사놓기도 했고.


또 자신이 아는 사람들에게 그 정보를 넘기기도 했고. 많은 공무원들이 관련되어 수사를 받고, 어떤 사람들은 재산권을 행사하지 못하게도 되었는데...


저축을 통해서는 돈을 모을 수가 없고, 또 그렇게 모았다치더라도 올라가는 집값을 따라갈 수가 없으니, 사람들이 너나 없이 부동산으로 몰리게 된다.


똑똑한 집 한 채라고 해서 몫이 좋은 곳에 있는 아파트 한 채를 수십, 수백 억을 주고 매입하기도 하고, 또 개발 차익을 노리고 땅을 사놓기도 한다. 이렇게 하면 어김없이 돈을 번다. 적게는 몇 배, 많게는 몇백 배까지.


하지만 있는 사람들은 돈이 돈을 낳는다고 계속 재산을 부풀려 갈 수 있지만, 이 소설에 나오는 안초시 같이 돈이 없는 사람들은 땅이나 집을 사기 위해서는 빚을 낼 수밖에 없다. 그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돈이 아니라 빌린 돈으로 투자를 할 수밖에 없다. 투자가 아니라 투기, 모험이라고 해야 하고, 잘못된 투자는 자신의 모든 것을 날리고도 보충할 수 없게 만든다.


안초시가 세상을 뜨게 되는 이유도 이것이다. 그는 땅을 사서 돈을 번다는 환상을 품었지만, 그에게 돌아온 것은 파산뿐이었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 현실은 어떤가? 이태준이 이 소설을 쓴 때가 1930년대라고 하는데, 2000년대가 된 지금 이 소설에서 그려진 현실과 얼마나 달라졌는가? 별반 달라지지 않았다. 그러니 "영끌"이라고 영혼까지 끌어다 빚을 낸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지 않은가. 그럼에도 이들에게는 돈이 모이지 않고 오히려 빚만 더 늘어나고 있는 현실이니...


오랜 전 소설 "복덕방"을 다시 읽으며 예전부터 있어 왔지만, 언론에서 대대적으로 방송한 작년부터 벌어진 부동산 광풍, 또 권력 또는 정보를 이용해 부동산을 매입했던 씁씁한 현실을 생각하게 된다.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게 하려면 특정한 개인에게 책임을 묻기보다는 이런 현상을 막을 수 있는 제도 개선에 대해 고민해 봐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