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로스 사이언스 - 프랑켄슈타인에서 AI까지, 과학과 대중문화의 매혹적 만남 ㅣ 서가명강 시리즈 2
홍성욱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학문이 점점 세분화되고, 다른 분야에 대해서는 더 알기 어려워지고 있지만, 그럴수록 다양한 학문들이 서로 교류를 하고, 융합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과학분야에서는 더더욱.
이 책은 과학에 대해서 쉽게 접근하게 해준다. 크로스라는 말은 교차한다, 겹친다는 말로 쓰일 수 있기에, 과학과 대중문화의 겹침, 융합 정도로 이 책 제목을 해석하면 된다.
우리가 지니는 과학자의 이미지부터 시작해서 인류가 꿈꾸던 세상, 그리고 로봇과 인간, 또 우리는 과학이 발전한 세상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등을 살피고 있다.
무엇보다 이 책이 지닌 장점은 어렵지 않음에 있다. 과학 하면 어렵다, 너무 전문적이다 하기 쉬운데, 이 책은 전문 분야에 대한 설명보다는 대중문화 속에서 과학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말해주고 있기에 이해하기 쉽게 서술되고 있다.
과학자에 대한 인상부터 그렇다. 프랑켄슈타인이라는 이름을 우리가 잘못 사용하고 있지는 않은지부터 살피는데, 피조물의 이름이 아니라 피조물을 창조한 과학자의 이름이 프랑켄슈타인임을 다시 강조하고 있다.
여기에 여성 과학자에 대한 차별이 있었음도 살피고, 여성 과학자 중에 가장 유명한 사람인 마리 퀴리에 대해서 그간 잘못 알고 있었던 사실도 알려주고 있다. 마리 퀴리가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기 위해서 썼던 전략에 대해서도.
이러한 과학자들의 이미지에, 이제는 과학기술로 우리가 만들 수 있는 세상을 이야기하는데, 이것은 유토피아나 디스토피아로 나아갈 수 있음을 생각하게 한다.
과학기술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우리가 사는 세상이 달라질 수 있음을, 그리고 과학기술에 모든 것을 맡기는 것이 바람직한지 생각하게 한다. 이것은 인공지능, 로봇으로 나아가면 더 생각할 거리가 있고, 인간 자신의 유전자에 대해서까지 우리가 관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앞으로도 과학기술은 더욱 발전할테고, 지금은 화성에 우주선을 착륙시켜 화성을 촬영하고, 또한 화성에서 비행에 성공하기도 했다고 하니, 우주 밖으로 나아가는 이러한 과학기술과 또 인간 자신의 몸에 대한 과학 기술이 엄청나게 발전시킨 이 세상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과학에 대한 맹신도 문제지만, 그렇다고 과학기술을 무시해서도 안 되니, 적절한 균형을 찾으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이것이 이 책을 쓴 목적이기도 하겠다.
책의 말미에 가면 '창백한 푸른 점'이라고 지구를 표현한 구절이 나온다. 그렇다. 우리 지구는 우주 전체에서 보면 창백한 푸른 점에 불과하다. 작고 연약한 지구. 이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 점을 명심한다면 우리가 이 '창백한 푸른 점'에서 살아가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하면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