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424/pimg_7744201132924807.png)
일상이 멀어진 생활이 한 해가 지났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코로나19로 인해 사람들이 기존에 해왔던 일상을 잃어버리고 있다. 자신이 생활 습관이 깨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해야 하나.
단순히 생활습관만 깨진 것이 아니라 생존에도 위협을 받고 있다. 감염병이라는 것이 우리의 권리를 너무도 자연스럽게 제한하고, 그것을 당연한 것처럼 받아들이게 하고 있다.
온갖 곳에서는 개인정보보호라는 이름으로 모든 것에 동의합니다를 요구하면서도, 음식점이나 기타 다른 곳에 들어갈 때는 동의합니다 없이 그냥 개인정보를 적거나 큐알코드를 찍어야 한다.
핸드폰이 없는 사람은 아예 들어갈 수도 없는 상태니, 그런 장소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모두 핸드폰을 지니고 있을 거라고 가정하고 펼치는 정책이 과연 올바른 정책인지 생각해 보지도 않고, 그냥 실행을 한다. 여기에 핸드폰을 잘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도 이것은 문제가 되는 정책이다.
그런데도 그냥 실행이 된다. 코로나19는 다른 어떤 것보다도 강력하게 우리의 생활을 통제하고 있다.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는 이유로.
이런 일과 연결을 하면 안 되겠지만, 삶창 125호에 실린 이번 글 중에 소설 '어둠의 공간'이 머리 속에 남았다.
축산농가에서 일하는 사람. 공장식 축산으로, 오로지 사람들의 먹을거리로 제공되기 위해 키워지는 돼지들.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들 가운데 외국인노동자들이 있다. 또 우리나라 사람 중에서도 갈 곳이 없어 그곳을 노동의 장소로 삼은 사람들이 있다.
우리들 삶에 가장 중요한 먹을거리를 제공하는 농장이, 가장 비인간적인, 그곳에서 노동하는 사람들의 삶의 질을 보장해주지 않는 모습이 너무도 잘 드러나는 소설인데...
그럼에도 벗어나지 못하고 적응할 수밖에 없는 외국인노동자의 모습. 여전히 그러한가? 이런 의문이 들지만, 여전히 그러하다는 답을 할 수밖에 없는 현실.
길을 가다 보니, 대규모 단지를 건설하고 있는 대기업 건설현장에 플래카드가 걸려 있다. 체불임금 지급하라는 플래카드. 아직도 공사중인 그곳, 대기업이 주도하는 공사현장임에도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는데, 잘 알려지지 않은 축산농가에서야 어떻겠는가.
그러니 제목이 '어둠의 공간'이다. 캄캄하다. 이 캄캄함 속에서도 외국인 노동자는 돈을 벌어 자기 나라로 돌아갈 꿈을 버리지 않는다. 아니, 이 어둠의 공간에 남아야 하는 자신을 그렇게라도 다독이지 않으면 안 되었으리라.
이 소설의 외국인노동자만이 아니다. 우리 역시 지금 코로나19라는 감염병 때문에 어둠의 공간에 있다. 우리가 이곳을 벗어나야 하는데, 우리는 어떤 꿈을 지니고 있을까? 적어도 예전과는 다른,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우리의 생활을 돌아보고, 그것을 정책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우리 인간만의 공동체가 아니라 지구, 우주 차원의 공동체가 공생할 수 있는 그런 삶이 되도록 해야 하지 않을까.
이 어려운 시대에 더 고통받는 사람들은 낮은 곳에 있는 사람들이라는 것을 명심하고, 그들의 삶이 개선될 때 우리에게 희망의 빛이 어둠의 공간을 밝혀주게 될 거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적어도 삶창을 읽으면서도 그러한 희망의 빛을 보게 되니, 그것으로라도 위안을 삼아야 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