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門)은 여러 역할을 한다. 문이 지닌 아름다움을 논외로 하고, 문이 지닌 실용성을 따지면, 문은 열림과 닫힘이다. 연결이자 끊김이다.


  열어서 외부와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역할도 하지만, 닫아서 외부와의 연결을 끊는 역할도 한다.


  문은 그냥 문이지만 어떤 상태에 있느냐에 따라 사람에게 다가오는 의미는 다르다. 그렇게 문은 관계를 맺게도 관계를 끊게도 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문이 있어야 한다. 문이 없는 사람 관계는 없다. 다만 이 문이 잘 열리는 관계가 있고, 전혀 열리지 않는 관계가 있다.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으면서 문을 어떨 때 열고, 어떨 때 닫아야 하는지 잘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들은 자신만의 문을 닫고 있을 뿐이다. 스스로 여는 경우도 있지만 다른 사람이 두드릴 때 열어주는 경우도 많다.


누군가 문을 두드리는데 열어주지 않는다면 그것은 단절이다. 관계를 맺고 싶지 않은 마음이다. 하지만 문을 두드리는 사람은 관계를 맺고 싶어한다. 이러한 마음의 비대칭. 이 비대칭이 관계를 더욱 어렵게 한다.


온몸을 던져도 안 열리고, 다른 것들을 보내도 안 열리고, 그렇다고 그냥 포기하기도 힘들고... 참 사람들끼리 맺는 관계는 힘들다.


어쩌면 시를 읽는 것도 이렇게 문을 여는 행위인지도 모르겠다. 시라는 문을 두드리는 일. 시가 문을 열어줄 때도 있고, 아예 안 열어줄 때도 있는데...


박소란 시집을 읽으며 많은 시들에서 문이 나오는데, 그 문이 이상하게도 닫혀 있단 생각이 들었따. 시집 제목이 된 시 '감상'에 나오는 구절인 '한 사람의 닫힌 문'이라는 구절이 강하게 다가와서 그런지 몰라도.


        감상


한 사람이 나를 향해 돌진하였네 내 너머의 빛을 향해

나는 조용히 나동그라지고


한 사람이 내 쪽으로 비질을 하였네 아무렇게나 구겨진 과자봉지처럼

내 모두가 쏠려갈 것 같았네

그러나 어디로도 나는 가지 못했네


골목에는 금세 굳고 짙은 어스름이 내려앉아


리코더를 부는 한 사람이 있었네

가파른 계단에 앉아 그 소리를 오래 들었네

뜻 없는 선율이 푸수수 귓가에 공연한 파문을 일으킬 때


슬픔이 왔네

실수라는 듯 얼굴을 붉히며

가만히 곁을 파고들었네 새하얀 무릎에 고개를 묻고 잠시 울기도 하였네


슬픔은 되돌아가지 않았네


얼마 뒤 자리를 털고 일어나 나는, 그 시무룩한 얼굴을 데리고서

한 사람의 닫힌 문을 쾅쾅 두드렸네


박소란, 한 사람의 닫힌 문. 창비. 2019년. 64-65쪽.


과연 그 문이 열렸을까? 이상하게 시에서 한 사람과 나는 자꾸 빗나간다. 한 사람이 내게 몸을 던졌을 때 그것이 나를 향한 것인지 아닌지가 불분명하다. 우리는 나를 온전히 사랑한다고 말하는 사람이 과연 진정 '나'를 사랑하는 것인지, 아니면 나라고 착각되는 그 무엇을 사랑하는 것인지 알 수 없다.


또 그 사람에게 나를 온전히 주었다고 생각하지만 아니다. 나는 그대로 나인채로 있다. 마치 한 사람의 비질에 쓸려갈 것 같지만 그렇지 않듯이.


나를 움직이는 것은 이러한 움직임이 아닐지도 모른다. 그런데 내가 한 사람을 향해 다가갔을 때 그는 문을 닫고 있다. 나 역시 한 사람과 마찬가지로 그의 문을 열기 위해 무언가를 해야 한다.


도대체 무언가를? 어떻게 해야 문이 열릴까? 답은 없다. 다만, 그 사람과 내가 함께 할 수 있는 무엇을 찾아야 한다. 그 무엇을 함께 할 수 있을 때 문이 열린다.


하지만 그 함께 할 수 있는 그 무엇을 어떻게 찾을까? 여기서 질문은 제자리로 온다. 우리는 그렇게 미로 속에 들어간 것처럼 문을 열기 위해 헤매게 된다.  


그렇지만 문이 있으면 열림의 가능성은 늘 있다. 그 가능성을 향해 가는 것, 그것은 우리가 관계를 맺고 살아가야 하는 존재라는 걸 말해준다. 그래서 다시 문을 두드린다. 열리지 않더라도 두드리는 행위 자체에서 이미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