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3 제4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김종옥 외 지음 / 문학동네 / 2013년 4월
평점 :
이번 수상집에는 다양한 내용의 소설이 실렸다. 어느 하나로 정리하기가 힘든, 또 일곱 편의 소설을 몇가지 주제로 나누기가 힘든 그런 소설들이다. 그러니 이 수상집에 있는 소설을 하나로 뭉뚱그리는, 또는 어떤 공통점을 찾는 일은 포기하자.
젊은작가들이란 나름 기성세대를 뛰어넘으려는 실험을 하는 패기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니, 기존 소설의 문법에 충실한 작가들이 젊은작가상을 받았으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한 해 무언가 새로운 주제, 새로운 내용, 새로운 형식을 잘 드러난 작품들이 젊은작가상이라는 상을 수상했다고 봐야 하는데...
다른 작품들은 그다지 큰 느낌을 주지 못했는데 첫작품 김종옥이 쓴 '거리의 마술사'는 마음에 남았다. 왕따를 다룬 소설이라서가 아니라, 그냥 우리가 다름을 어떻게 대하는지를 생각하게 해서 그랬다고 할 수 있다.
다름에도 종류가 있다. 찬사를 받는 다름과 멸시를 받는 다름. 그냥 나랑 다르네 하고 인정을 받는 다름. 이렇게 크게 세 부류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마지막 부류, 나랑 다르네 하는 범주에는 대부분의 사람이 포함된다.
왜냐하면 쌍둥이조차도 완전히 똑같을 수 없기 때문이다. 아직 실현되지 않아서 모르지만 복제인간이 나타난다고 해도, 복제인간과 세포(핵)를 제공한 인간은 다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니 사람은 누구나 다르다. 어, 나랑 다르네. 이것은 배제가 아니라 인정이다. 함께 살아갈 때 나 이외의 다른 사람을 발견하는 모습.
아무런 문제가 없다. 다름을 인정하고, 다름과 함께 살아가기 때문이다. 이렇게 대다수는 다름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런데 많이 다를 때는 양 쪽으로 분화가 된다. 찬사와 멸시로.
찬사를 받는 다름은 뛰어남으로 인정받는다. 숭앙의 대상이 된다. 우상이 된다. 그런 사람들은 다름으로 인해 남들에게 인정을 받고, 그 다름을 자랑스러워 하며 지내게 된다. 다른 사람들도 그 다름을 부러워할 뿐이다.
김종옥 소설에서 이런 찬사를 받는 다름의 부류에 속하는 인물은 안나와 거리의 마술사다. 안나는 뛰어난 외모로 연예인으로 활동하는 학생으로, 그 학교 아이들의 찬사를 받는다. 달라도 너무나 다른 생활을 하는 안나에게 누구도 시비를 걸지 않는다. 무시도 못한다. 그냥 경이에 찬 눈으로 안나를 바라볼 뿐이다. 그야말로 탤런트다. 재능이 많은 사람. 부러운 사람.
반면에 멸시를 받는 인물로 남우가 나온다. 소설 속에서 잠깐 등장하지만 남우를 영어로 'Rain Man'으로 낙서해 놓는 장면이 나온다. '레인 맨' 자폐를 앓는 사람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영화. 그런데 학생들은 이 '레인 맨'을 인정으로서가 아니라 무시를 넘어서는 멸시로 낙인 찍는다.
남우는 학교에서도 특이한 걸음걸이와 다른 행동들로 학생들과 다르다고 인정되고 있었지만, 처음에는 그저 나랑 다르네 정도였다. 그러다 반대쪽 다름에 있는 안나와 짝이 되면서 정확하게 안나의 반대편에 서게 된다. 다름의 천칭이다. 하나는 찬사로서의 자리, 하나는 멸시로서의 자리.
결국 남우는 거리의 마술사를 흉내내지만 실패하고 만다. 남우의 다름은 거리의 마술사처럼 다른 사람의 찬사를 자아내지 못하고 죽음을 부르고 만다. 그렇다. 우리는 이렇게 다름을 다르게 대한다.
자신이 감히 넘보지 못하는 사람의 다름에는 찬사로, 자신보다 한참 못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다름에는 무시 또는 멸시로,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인정으로.
소설은 그 점을 잘 드러내고 있다. 그래서 이 소설은 단지 '왕따'에 관한 소설이 아니다. 우리들 삶에 관한 소설이다. 사회적 동물이라고 하는 사람들. 다를 수밖에 없는 사람들. 그런 우리들이 인정할 수 있는 다름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생각하게 한다.
이제는 학교를 넘어서 직장에서도, 또 사회 전반에 걸쳐 다름으로 인한 '왕따'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도대체 왜 다름이 우리를 더 다양하게 풍요롭게 할 수 있음에도 우리는 다름에도 경계를 긋고 마는지 생각하게 된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 경계의 확장 아닐까? 멸시를 받는 다름은 말할 것도 없지만 지나친 칭송을 받는 다름 역시 일반 삶에서 배제되기는 마찬가지다. 그러니 우리는 대다수의 인정받는 다름 속에서 두 다름을 배제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러니 대다수가 속해 있는 다름의 영역을 점점 넓혀가야 한다. 경계를 점점 더 엷게 해야 한다. 알게 모르게 그 경계들이 하나로 합쳐질 수 있게. 경계가 사라지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