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제2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김애란 외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10년 전에 수상한 작품들이다. 세월이 많이 흘러 사회가 엄청나게 변했지만 그럼에도 소설은 계속 존재한다. 소설은 당대 현실에 존재하기도 하지만 미래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그래야 소설이라는 이름을 계속 지닐 수 있게 된다.


7명의 작가가 선정되었고, 작품도, 작가의 말도, 해설도 모두 7개다. 그러니 이 작품집에는 심사경위와 심사평까지 합쳐 23개의 글이 실려 있는 것이다.


젊은작가상 답게 작가에게 기회를 주기도 하지만, 젊은 비평가들에게도 기회를 주고 있단 생각이 드는 작품집이다. 요즘 누가 평론을 읽겠는가 하는 생각이 드는데, 이 작품집을 읽다보면 평론 부분을 읽지 않을 수가 없게 된다.


내가 이해한 작품과 평론가들이 말하는 부분에서 어떤 교집합이 나오는지 궁금하기 때문이다. 이 교집합을 토대로 합집합으로 나아간다. 하여튼 소설을 읽으면서 지금과 별로 다르지 않다는 생각을 했다.


가령 김애란이 쓴 '물속 골리앗'은 홍수라는 재난을 당한 아이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재난으로서의 홍수는 예전부터 늘 전해오던 이야기인데, 이 소설은 그것을 비튼다. 재난으로서의 홍수는 징벌로서 의미를 지닌다. 인간들이 제대로 살지 못하는 것에 대한 징벌.


그렇다면 홍수는 그 사회에서 힘을 발휘하는 자들을 징계해야 한다. 그것이 옛이야기에서 전해주는 재난으로서의 홍수다. 징벌로서의 홍수. 그러나 현대사회에 들어서 홍수는 힘있는 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그들을 징계하지 못한다. 오히려 힘이 없는 사람들이 더 고통스러운 처지에 빠진다.


소설에서도 마찬가지다. 재개발되는 아파트. 이주비용이 턱없이 적어 이주하지도 못하고 있는 가족. 설상가상으로 지긋지긋하게 내리는 비. 아버지의 죽음. 어머니의 죽음. 그리고 표류. 


열심히 살아왔지만 오히려 홍수의 피해는 무고한 가족을 덮친다. 현대 재난은 이렇게 불평등하게 다가온다. 사회적 약자들에게 더욱 고통스럽게 다가온다. 그럼에도 소년은 희망을 버리지 않는다. 물론 그 희망이 밝은 미래를 약속하지는 않지만, 적어도 희망마저 버릴 수는 없는 것이다.


물속 골리앗이라고 하지만, 거꾸로 우리에게 골리앗은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힘없는 사람들이 최후로 올라가는 곳이다. 홍수로 골리앗의 중간부분까지 잠겨있다는 것은, 이미 낮은 곳에 사는 사람들, 사회적 약자들이 살기 힘든 세상이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골리앗에 올라 주장을 하듯이, 소년은 골리앗에 오른다. 우리가 마지막 안간힘을 쓰는 장소. 그곳이 바로 골리앗이다.


따라서 이 소설은 한없이 힘든 과정 속에서 그래도 살아남겠다고 안간힘을 쓰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사람을 우리는 밑에서 바라보기만 하지 않는다. 어떻게든 골리앗 위에 있는 사람과 연대하려고 한다. 


마찬가지로 골리앗 위에 있는 사람도 연대를 포기하지 않는다. 그는 위에서 자신과 함께 하려는 아래에 있는 사람들을 바라보며 견딘다. 소설에서 소년이 "누군가 올 거야."라고 조그맣게 속삭였듯이.


비슷한 의미의 작품이 정용준이 쓴 '떠떠떠, 떠'이지 않을까 싶다. 말을 더듬어 거의 하지 못하는 남자와 기면증으로 툭하면 쓰러지는 여자. 이들 역시 사회에서 낮은 곳에 있는 사람들이다. 자신들의 자리를 잘 잡지 못하고 있는 사람. 그럼에도 이들은 살기 위해서 탈을 쓴다. 사자와 탈과 팬더의 탈, 그리고 서로 의지한다. 한 쪽에 완전히 자신을 맡기는 것이 아니라 함께 지내면서 견뎌내는 것.


결국 사랑이란 상대의 단점을 고치려고 애쓰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함께 하려는 것, 아니 단점에도 불구하고가 아니라 단점도 함께 받아들이는 태도가 아닌가 싶다. 이것은 고통을 겪은 사람들이 할 수 있는, 사회적 약자가 또다른 약자에게 손을 내미는 방식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다른 다섯 편의 소설도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하지만, 이 소설집에서는 이 두 편의 소설이 많은 생각을 하게 했다. 특히 코로나19로 전세계가 재난을 당하고 있는 이 때, 더욱 고통받는 사람들이 누구인가, 우리가 누구에게 시선을 두어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