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 대한 예의
권석천 지음 / 어크로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이 '사람에 대한 예의'다. 너무도 당연한 소리가 제목이 되었다. 왜? 당연한 일이 비범한 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고위관료라는 인간들이 국민들을 개, 돼지에 비유하기도 하니, 그들 눈에는 국민들은 사람이 아닌 것처럼 보이나 보다.

 

아니, 그들은 국민들을 자신들과 같은 사람(?)으로 보고 싶지 않은지도 모른다. 권세 있는, 소위 방귀깨나 뀐다는 사람들은 자신들은 사람이지만, 나머지 사람들은 자신들에게 봉사해야 하는 존재에 불과하다. 그들은 사람이되, 자신들과는 같은 사람이 아닌 것이다.

 

그래서 아직도 우리 사회 곳곳에서는 사람인데 사람 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그들이 자신들도 사람이라고, 사람답게 살고 싶다고 외치면 주제 넘다고, 지금은 너희들 권리를 주장할 때가 아니라고, 오히려 이기적이라고 몰아댄다.

 

그런 사회에서 [사람에 대한 예의]라는 제목을 단 책이 나올 수밖에 없다. 사람에 대한 예의는 자신과 동등하거나 또는 위에 있다고 여기는 사람을 존중하는 것이 아니라, 자진보다 못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자신과 동등한 사람임을 인정하고, 그렇게 대우하는 것에 있기 때문이다.

 

그런 사회를 만들려고 하는 노력이 바로 사람에 대한 예의다. 우리는 사람이라는 것을 우선에 두고 다른 것들을 먼저 앞세우지 않아야 한다. 다른 것들로 사람이라는 본질을 가려서는 안 된다. 하지만 그런 사회를 만들려는 노력은 번번이 실패한다. 과연 그것이 실패일까? 그런 생각을 했는데 마친 이런 글이 있다.

 

패배를 실패로 착각해선 안 된다. 패배가 상대와의 싸움에서 진 것이라면 실패는 나와의 싸움에서 진 것이다. 정정당당하게 싸워서 졌다면 실패한 게 아니다. 패배한 것이다. 정정당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이겼다면 그건 실패한 것이다. (72쪽)

 

참 좋은 말인데, 패배가 다시는 일어설 수 없는 파멸로 가는 것이 지금 우리 현실이 아닐까? 이 아름다운 패배, 실패하지 않는 패배를 할 수 있는 집단이 있을까?

 

노동자들은 패배하면 곧 죽음이다. 이들이 해고는 죽음이다라고 외친 것은 이런 맥락이다. 더 이상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패배하지 않으려 기를 쓰고 싸우는 것이다. 사회적 약자들에게 패배란 곧 실패다. 이들에게 패배는 사회에서 밀려나 죽음에 이르는 길이다. 그렇게 되지 않아야 하는데...

 

말은 쉬운데 실천은 어렵다. 아름다운 패배. 사회적 약자들에게 그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그들 개개인에게는 죽음에 이르는 길이다. 하지만, 한 개인이 아니라 여러 사람, 집단으로 보면 아름다운 패배가 될 수 있다.

 

전태일의 운동은 패배했다. 그러나 실패는 아니다. 분명하다. 전태일의 패배로 우리 사회는 다른 국면으로 접어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광주민주화운동, 누가 패배라고 하는가? 우리 사회가 지금 형식적인 민주주의나마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이런 운동 덕분이다.

 

그렇다면 사회적 약자라기보다는 사회적 약자에게는 아름다운 패배가 있다. 이들은 이런 패배를 통해서 사회를 조금씩 조금씩 바꿔간다. 그리고 움직이지 않던 집단, 관심없던 집단들을 자신들의 주변으로 끌어들인다. 그렇게 패배는 다른 국면을 만들어 갈 수 있다.

 

이런 모습을 이 책에선 '지더라도 개기자'고 했다. 언뜻보면 이해 안 되는 말이지만, 패배가 실패가 아니란 말과 같다.

 

개기는 것은 불필요한 행위로 보인다. 개겨봤자 달라지는 건 없기 때문이다. 다시 생각해보자. 개겨서 과연 달라지는 게 없는가. 달라지는 게 분명히 있다. 개기는 사람 자신이다. 개기면서 결심이 단단해지고 확고해진다. 다시 싸워야 할 때 웬만한 충격엔 흔들리지 않는다. 실패의 의미도 달라진다. 실패했을지언정 원칙을 지키고 주장함으로써 가치 있는 실패가 된다. (73쪽)

 

이런 자세를 지녀야 한다. 내 삶에 원칙이 있어야 한다. 적어도 내가 포기할 수 없는 선은 있어야 한다. 그 선을 나 스스로 넘어섰을 때 패배하지 못하고 실패하고 만다. 그렇게 되지 말아야 한다. 이점에서 정치권을 보면 한숨만 나온다.

 

특히 국회의원 선거. 이승만 정권 당시 사사오입은 욕할 가치도 없는 말도 안 되는 것이었지만, 그래도 강행이 되었는데, 그보다 더 세련된(?) 비례대표 위성정당이란 것을 만든 야당, 여당.

 

이들에게 패배란 실패다. 그래서 이들은 정당하지 못해도, 비록 꼼수란 소리를 들어도 성공하려 한다. 원칙을 지키고 주장하는 실패를 하려고 하지 않는다. 바보 소리를 듣는 정치인은 이제는 없다.

 

이런 사람들이 모여서 정치를 하면 과연 '사람에 대한 예의'를 지킬 수 있을까? 국민을 대변한다는 사람들이 이미 원칙을 잃고 자신들의 의석수만을 생각하는데... 그들에게는 정치권력에 대한 욕심은 있지만 좋은 삶에 대한, 그런 삶을 살아가도록 하겠다는 '사람에 대한 예의'는 없다.

 

여기에 최근 계속 언론을 타고 있는 검찰들의 모습. 또 다른 재벌들의 모습을 보면 과연 좋은 삶이란 무엇인지.. 이들에게는 좋은 삶보다는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거나 또는 기득권을 지켜주는 직업이 전부는 아닌지 하는 생각을 한다. 이 책에 나온 구절을 들려주고 싶다. 이들만이 아니다. 곧 수능을 보는 전국의 수험생들에게도 들려주고 싶다. 그들이 왜 대학에 가려고 하는지... 그것은 바로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일 것이라고. 그래야만 한다고.

 

직업이 전부는 아니다. 좋은 사람이 되는 과정에 직업도 있는 것이다. 직업은 좋은 사람이 되어가는 방편일 뿐이다. 삶을 직업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직업을 삶에 맞춰야 한다. (194쪽)

 

이 말이 통하는 사회였으면 좋겠다. 그렇게 우리 모두가 좋은 삶을 살려고 노력하는 사회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그런 사회에서는 '사람에 대한 예의'를 지킬 것이다. 자신과 다르다고 배제하는 그런 사회가 아니라.

 

글 한편 한편이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는 책이다. 사람에 대한 예의에는 진보니 보수니 하는 진영논리가 끼어들 틈이 없다는 것을 이 책을 읽으며 다시 생각하게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