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과 6펜스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8
서머셋 몸 지음, 송무 옮김 / 민음사 / 2000년 6월
평점 :
고갱이 직접 쓴 글인 [폴 고갱. 슬픈 열대]를 읽고 이 소설을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고갱을 주인공으로 삼은 소설이니, 사실과 허구가 어떻게 교차하고 있는지 살피는 재미도 있을 터였다.
그런데 굳이 고갱을 주인공으로 삼았다는 지식을 동원할 필요가 없다. 고갱이어도 좋고 다른 예술가라도 좋을 것이다. 예술을 위해서 삶을 포기할 수 있는 사람들, 그런 사람들이 바로 예술가이기 때문이다.
다만 타히티라는 지명과 증권중개업자라는 직업이 명백하게 고갱을 가리키고 있으므로, 고갱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다면 이 소설을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은 든다.
제목은 달과 6펜스다. 6펜스는 가장 낮은 가격을 지닌 은화라고 하던데, 우리나라 동전으로 하면 1원짜리라고 할 수 있으려나? 아니면 100원짜리 동전이라고 할 수 있으려나?
그건 중요하지 않다. 다만 달로 상징되는 예술의 세계와 6펜스로 말해지는 현실의 비루함이 대조를 이루고 있다고 보면 된다.
보통 사람들이라면 6펜스를 가지고 불리고 불려 더 많은 돈을 가지려 노력할 것이다. 그들은 6펜스의 세계를 벗어나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다. 달의 세계에 도달하려는 것이 아니라 6펜스의 세계에서 벗어나는 것만을 목표로 삼고 살아갈 것이다.
그들에게는 현실의 삶이 중요하고, 현실을 삶을 초월한다는 것은 상상을 할 수도 없다. 그러므로 6펜스의 세계는 비루한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가에게는 비루한 삶일지 몰라도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6펜스의 세계는 삶 자체일 수 있다. 6펜스보다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살아가는 삶. 그들은 그런 삶에 만족하고 살고 그것에서 벗어나려는 사람을 경원하게 된다.
이 소설에서 6펜스의 삶이라고 하면 돈을 벌지 못하는 경제적으로는 무능력한 삶. 또 주변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지 못하는 삶이다. 주인공인 스트릭랜드는 6펜스의 삶에서 벗어나려 하지 않고, 오히려 6펜스의 삶을 살아간다. 하지만 그럼에도 달을 꿈꾼다. 달은 정상의 범주에서 벗어난 사람들에게서 흔히 인용되는 대상이다.
현실의 삶과 동떨어진 이상을 추구하는 삶. 그 세계가 바로 달의 세계다. 그리고 많은 예술가들은 달의 세계를 지향한다. 그런 예술가들을 이렇게 작품에서 말하고 있다.
아스팔트에서도 백합꽃이 피어날 수 있으리라 믿고 열심히 물을 뿌릴 수 있는 인간은 시인과 성자뿐이 아닐까. (70쪽)
6펜스의 세계에 머물러 있는 사람이라면 절대로 이해할 수 없는 세계가 바로 예술가의 세계,즉 달의 세계다. 이 소설에서 스트릭랜드의 부인과 주변 사람들이 머물고 있는 세계가 바로 그런 세계다. 그런 사람들에게 달의 세계를 추구하는 스트릭랜드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사람인 것이다.
예술가가 들려주는 건 하나의 멜로디인데, 그것을 우리 가슴속에서 다시 들을 수 있으려면 지식과 감수성과 상상력을 가지고 있어야 해. (102쪽)
지식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그들에게는 감수성과 상상력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 그의 작품은 이상한 것에 불과하다. 그의 작품을 당대에 알아보는 사람은 파멸할 수밖에 없다. 그의 감식안 역시 시대를 앞서 갔기 때문이다.
6펜스의 세계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시대에 달의 세계를 엿본 사람은 현실의 세계에 적응할 수가 없다. 스트릭랜드의 작품 진가를 알아보는 스트로브가 아내를 잃고 고향으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 이를 잘 보여준다. 그가 우스꽝스럽게 표현된 것은 그에게는 예술을 알아보는 눈과 감수성은 있지만 그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이해시키는 능력은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 희화화 될 수밖에 없다.
예술가를 고정된 관념, 물질적 세계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그를 절대로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뿐만이 아니라 그의 작품도 이해할 수 없게 된다. 왜냐하면 예술가는 이런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습관이 오래되면 감각도 무뎌지게 마련이지만 그러기 전까지 작가는 작가적 본능이 인간성의 기이한 특성들에 너무 돌무하는 나머지 때로 도덕 의식까지 마비됨을 깨닫고 당혹스런 기분을 느끼는 때가 있다. 악을 관조하면서 예술적 만족감을 느끼는 자신을 발견하고 약간 놀라기도 한다. 하지만 정직한 작가라면, 특정한 행위들에 대해서는 반감을 느끼기보다 그 행위의 동기를 알고 싶은 마음이 더욱 강렬하다는 것을 고백할 것이다. (197쪽)
자기가 창조해 낸 인물에 살과 뼈를 부여함으로써 작가는 다른 식으로는 방출할 수 없는 자신의 본능에 생명을 부여하고 있는 셈이다. 작가의 만족이란 하나의 해방감인 것이다.
작가는 판단하기보다 알고자 하는 데 관심이 더 많은 사람이다. (198쪽)
소설의 화자는 결국 이러한 스트릭랜드의 세계를 이해한다. 처음에 그를 이해하지 못하지만 이상하게 그에게 끌린다. 그리고 그의 예술관을 알아가게 된다. 작가란 바로 이런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소설에서 타히티에서 함께 사는 아타는 영국에서 결혼해 살던 부인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인다. 영국의 부인은 다른 사람들을 의식하는 관습의 세계에 머물러 있다면 타히티의 아타는 오로지 스트릭랜드를 이해하는 예술의 세계에 들어섰다고 할 수 있다.
그와 끝까지 함께 하는 모습에서, 어떤 인위적인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오로지 주인공이 하고 싶은 일을 하게 하는 모습에서 달의 세계를 함께 할 수 있는 사람임을 알 수 있게 한다.
그렇다. 이 소설을 굳이 고갱이라는 실존 인물의 삶에 비추어 읽을 필요는 없다. 예술의 세계와 현실의 세계 간의 간극 속에서 예술의 세계를 추구하는 한 인물의 삶을 알아가는 과정. 달의 세계를 추구하는 사람에게 6펜스의 세계는 아무런 의미를 지니고 있지 않음을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