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호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코로나 19에 대한 이야기와 또다른 하나는 우리나라에서 벌어졌던 의사들의 진료거부 문제나 또는 공공의료 문제다.

 

  코로나 19는 세계를 대혼란에 빠뜨렸다. 어쩌면 이 코로나 19로 세계가 위기의식을 지니고,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기회로 삼을 수도 있다.

 

  위기는 곧 기회라고 하지 않았던가. 그럼에도 여전히 성장주의에 매몰되어 있는 세계 각국, 그리고 우리나라 모습을 보면서 이러한 재난이 앞으로도 계속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삶을 바꾸지 않으면 코로나 19와 같은 재난은 반복됨을 명심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재난으로 재난 소득이나 기본 소득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는데, 이것이 중도에 멈추었다는 생각이 든다.

 

재난 소득이나 기본 소득은 우리의 생존에 필수불가결임을 생각해야 하는데, 일회성으로 그치고 말면 안 되는데, 그렇게 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씁쓸하다.

 

이번 호에서 강남훈이 쓴 '재난소득 논쟁에 답한다'는 글은 꼼꼼하게 읽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재난 소득을 넘어 기본 소득으로 논의가 확장되어야 한다.

 

여기에 이러한 재난 상황에서 우리는 k-방역이라고 해서 성공적으로 코로나 19에 대처했다고 자화자찬하고 있다.

 

그런데, 다른 면에서 보면 과연 우리나라 공공의료가 제대로 확립되어 있나 하고 질문을 하면 그렇지 않다는 답이 나온다.

 

공공의료에 대한 지원보다는 민간의료에 대한 의존도가 훨씬 높음을, 우리나라가 k-방역에 성공했다고 하지만, 공공의료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주장에 의하면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개인적으로 정부 정책에 협조한 결과고, 또한 감염되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사전에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서 우리는 얼마나 많은 우리들의 정보를 순순히 넘겨주었던가. 내 행동 하나하나가 모두 기록되고, 남에게 알려지는 일을 이제는 아무렇지도 않게 여기는 세상이 되지 않았는가?

 

개인정보보호 운운하지만, 일거수 일투족이 모두 공개되고, 기록되는 이 세상에서 촘촘하게 짜여진 이러한 사회에서 감염은 차단되기 쉽지만, 이러한 차단의 성공으로 치료를 하는 공공의료 부분에 눈을 돌리지 못한 것이 현실이라고 한다.

 

그러니, 성공의 이면에 있는 것들. 의사들이 진료거부를 한 것이 옳다고는 할 수 없지만, 그들의 의견도 참조하면서, 개혁을 추진해야 하고, 또 공공의료 개혁이라는 명분으로 민간 의료를 더욱 확장하는 식으로 나아가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번 호에서 지적하고 있다. 

 

김종철 선생은 갔지만 여전히 녹색평론은 우리 삶에 대해서 생각하게 해준다. 지금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한 책.

 

읽고 읽고 읽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내 삶의 방식을 바꾸려는 노력을 하게 만드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