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데부 - 이미지와의 만남 동문선 현대신서 184
존 버거 지음, 이은경 옮김 / 동문선 / 200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존 버거, 결코 가볍게 읽을 사람이 아니다. 그가 쓴 책들은 단순하지 않다. 하나의 이미지로부터 그가 생각해 내는 것이 얼마나 깊고 넓은지, 읽다 보면 놀랄 뿐이다.


하지만, 이렇게 어떤 사물을 바라보거나 사건을 바라보는 것, 또는 인물을 바라보는 것은 존 버가만이 할 수 있는 일이어서는 안된다. 우리 모두가 해야만 하는 일이다. 얼마나 많은 것들을 단순화 해서 보았는지를 이 책을 읽으면서 생각하게 됐다.


하나의 존재는 결코 홀로 존재할 수 없다. 하나의 존재는 수많은 다른 존재들로 얽혀 있고, 이런 존재들이 지닌 의미를 자신도 지니고 있다. 그래서 하나를 제대로 읽는다는 것, 하나를 제대로 본다는 것은 모든 것을 본다는 것과 통할 수 있다.


이 책 첫 장면은 '광부들' 사진이 나온다. 광부들 하면 우리나라에서 독일로 파견한 광부들이 생각나기도 하고, 소위 막장이라고 하는 말과 더불어 태백에 있는 광산, 광부들, 그리고 임길택 시인의 시들도 떠오르는데, 존 버거의 이 사진을 보면 영국 광부들이 떠오른다.


영국 대처 수상의 정책으로 일자리를 잃게 되는 사람들. 역사의 뒤안길로 밀려 가던 사람들. 그리고 영화 '빌리 엘리어트'도 떠오른다. 


사진 하나를 보면서 우리나라와 영국이라는 나라를 떠올리기도 하지만, 또한 광부를 다룬 문학과 영화도 떠오른다. 왜? 이 사진이 의미가 있을까? 이 이미지는 어떤 역할을 할까?


많은 생각을 하지만, 이 책에 나온 존 버거의 글이 모든 것을 말해준다고 생각한다.


나는 예술이 종종 재판관을 재판해 왔으며, 무고한 자들에게 복수하라고 탄원했으며, 과거의 고통을 미래에 보여 줌으로써 그런 고통이 결코 잊혀질 수 없었다는 점을 보여 준다고 믿는다. 나는 또한 권력을 쥔 자들이 무슨 형태의 예술이든 예술을 두려워한다는 사실 역시 알고 있다. 예술이 그런 일을 수행할 때 사람들 사이에서 그런 예술은 종종 루머와 전설처럼 떠돈다. 왜냐하면 예술은 인생의 야만성이 정당화할 수 없는 것, 다시 말해 우리의 단결을 합당한 것으로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예술은 궁극적으로 정의와 분리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예술이 이와 같은 기능을 할 때, 예술은 비가시적이고 환원 불가능하며 지속적인 배짱과 명예가 만나는 장소가 된다. (13쪽)


그렇다. 이미지들은 예술이다. 그리고 이런 예술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을, 보이지 않을 것들을 보이게 만든다. 과거를 우리에게 가져다 준다. 결코 잊을 수 없게. 그래서 과거의 권력을 단죄할 수 있게 하고, 현재의 권력에게 경고할 수 있게 한다.


미래가 단순히 권력자들의 뜻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이와 비슷한 말이 또 있다. '분노의 곶에서 실종되다'라는 제목에 있는 글이다.


작가는 그가 쓰고 있는 것에 관해 최대의 정보를 갖고 있어야만 한다. 현대 세계에서는 매시간마다 수천 명의 사람들이 (잘못된) 정치의 결과로 죽어 나가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는 정치적인 인식과 원칙에 대한 정보가 없는 한 어떤 글쓰기도 신빙성을 가질 수 없게 된다. 작가들은 유토피아적인 쓰레기를 생산해서는 결코 안 된다. (241쪽) 


단지 작가에게만 해당할까? 아니다. 존 버거의 말은 우리 모두에게 해당한다. 우리 자신들이 살아가는 세상에 대해서 최대의 정보를 갖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잘못된 정치의 결과에 희생당하지 않을 수 있다.


경제가 중요하다고 하지만 경제를 좌우하는 것은 정치다. 결국 우리 삶은 정치에 달려 있다. 그러니 제대로 된 정치가 되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정신을 똑바로 차려야 한다.


눈 앞에 보이는 것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는 눈을 지녀야 한다. 단 하나로 정리될 수 있는 일들은 없다는 생각으로, 다각적으로, 더 깊고 더 넓게 보는 눈을 가지려 노력해야 한다.


그런 연습, 존 버거의 책을 통해서 할 수 있다. 그는 하나의 이미지에서 정치, 경제, 예술을 비롯한 우리 삶을 보기 때문이다. 이렇게 그는 보이는 것을 통해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법을 이야기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